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집중현상을 통해서 본 제기동의 도시공간 특성 연구 : The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f Jegi-dong Viewed from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김영은-
dc.date.accessioned2017-07-19T07:13:10Z-
dc.date.available2017-07-19T07:13:10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33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77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도시설계 전공), 2016. 8. 김세훈.-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현대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들의 일상여가생활에 대한 욕구는 증가하였으며, 노인들의 활동관련 서비스 제공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경로우대라는 무임승하차제도의 사회적 혜택을 받으면서 노인의 이동성은 이전보다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노인들은 그들의 근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을 찾아 나서면서 특정 도시공간에 노인집중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집중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제기동을 공간적 범위로 지정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을 제기동에 방문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떠한 노인들이 도시공간을 선택하고 이용하고 있는지 주목하여, 노인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변화된 도시공간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는지 물리적, 인문사회학적, 경제적 3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도출해 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기동은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이자 노인들에게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권이 주어지는 다양성을 지닌 공간이다. 노인들의 일상여가를 유기적으로 잘 연결하고 있는 이 도시공간은 최근 노인들의 기호에 맞춰 복합화된 형태의 공간으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처럼 제기동이라는 도시공간은 노인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과 공간들이 잘 엮여 나타나는 일상-여가의 융합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집중현상이 나타나는 제기동은 사회적 교류의 공간이다. 노인들의 사회적 교류활동은 제기동의 도시 공간 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각 공간마다 사회적 교류활동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분석을 통해, 노인들은 공간이 구획된 것보다 주로 오픈되고 넓고 확 트인 공간에서 사교활동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제기동은 다른 도시에 비해 시장이 위치해 물가가 저렴하며 경제력이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인 노인들이 즐길 수 있는 도시이다. 이 도시공간은 매달 연금 30만원 이상 받는 노인들에 맞춰 하루에 10,000원씩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잘 세팅되어 있으며 이는 철저한 경제적 구조에 의해 구성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노인들은 그들의 소득수준으로 일상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찾아 나서고 있으며 제기동은 철저하게 잘 짜여진 경제적 구조로 노인들을 수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기동은 노인들의 소득수준에 최적화된 도시공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은 덜 트렌디하고, 오래된 것, 비용이 덜 드는 곳을 선호하고 있다. 노인들이 선호하는 이러한 특징들은 도시공간에서 지속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을 수용하는 공간적 특성을 노인집중현상이 나타나는 제기동에서 발견하였으며, 이는 전체 도시로 확장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노인집중현상에 주목하여 노인들의 특성을 밝히고 노인들이 선호하는 공간의 특징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가 제기동에 방문하는 노인들로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일반적 노인들의 특성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예비노인층(50세-60세)을 포함한 미래의 노인들은 현재의 노인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이에 연구결과가 다소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대상지 선정 이유 3
2. 연구의 범위 4
3. 연구의 방법 5
3절. 연구의 진행과정 8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9
1절. 노인의 정의 및 특성 9
1. 노인의 정의 9
2. 노인의 특성 10
2절. 노인의 일상여가활동 공간 및 통행특성 11
1. 노인의 일상여가활동 특성 및 공간 11
2. 노인의 통행 특성 18
3절. 도시의 노인집중공간 사례연구 20
1. 일본 동경 스가모 거리 20
2. 서울 종묘공원 24

제3장 노인집중공간으로서의 제기동 특성 28
1절. 노인공간으로서 제기동의 형성과정 28
1. 노인 집중현상의 흐름 28
2. 제기동 일대 도시변화의 흐름 30
2절. 제기동을 방문하는 노인의 특성 34
1. 제기동을 방문하는 노인의 거주지와 통행수단 34
2. 제기동을 방문하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40
3절. 제기동을 방문하는 노인들의 활동과 공간특성 47
1. 콜라텍 및 무도교습소 47
2. 노인들을 위한 커피숍 및 다방 51
3. 지하철 쉼터 및 가로 공간 54

제4장 노인집중현상에 의해 나타난 제기동의 도시공간 분석 56
1절. 멀티플렉스화된 일상-여가 융합 공간 56
2절. 친숙한 사회적 교류 공간 64
3절. 노인의 소득수준에 최적화된 소비 공간 68

제5장 결론 73

참고 문헌 76

부록 80

Abstract 8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8651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dc.subject노인-
dc.subject제기동-
dc.subject집중현상-
dc.subject일상여가-
dc.subject도시공간-
dc.subject.ddc712-
dc.title노인집중현상을 통해서 본 제기동의 도시공간 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f Jegi-dong Viewed from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oung E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ⅶ, 84-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