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eople, Plants, Place & Process: A Landscape Ethnography through the Gardens of an Urban Village Kaemi-Maeul, Soedaemun-gu, Seoul, Korea : 인간, 식물, 장소와 과정: - 도시마을의 텃밭 정원으로 경관민족지학 분석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개미마을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Wybe Kuitert-
dc.contributor.authorJarod Farn-Guillette-
dc.date.accessioned2017-07-19T07:13:56Z-
dc.date.available2017-07-19T07:13:56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50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77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6. 8. Kuitert, Wybe.-
dc.description.abstract1945년부터 집단이주는 주요한 세계현상이었지만 요즘 들어 이 현상은 둔화되며 줄어드는 추세이다. 한국 전쟁과 경제, 세계화와 기술들은 국경선을 건너고, 농촌지역을 벗어나 도시 안으로 들어가는 대중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1950년 6월25일, 한국전쟁은 많은 농촌지역과 농민들의 경관을 바꾸고 도심지 산업의 급속한 변화를 주었다. 이 거대한 유입은 이미 서울의 붐비는 도시마을이나 부락, 도시의 사람이 살지 않는 많은 산비탈 등의 남아있는 조경설계가 되지 않은 일반주택 양식으로 들어와 주로 경제적으로 빈곤한 난민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런 마을 중 하나가 개미 마을이다.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동 인왕산 자락의 빽빽하게 접어 놓은 이곳은 작은집과 정원의 집합체이며 매머드도시 안의 있는 농촌의 오아시스이다.
마을주민들은 주로 전쟁난민이나 그들의 후손으로 다른 경관 또는 다양한 농업지식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 마을 사람들의 예스러움과 그림 같은 아름다움, 특별한 색감을 표현하기에는 최적의 마을이다. 정원을 가꾸는 노하우도 한계상항에 맞게 가지고 있다. 또한 개미마을은 극한 환경에 제한된 공간을 가지고 있다. 현실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마을 주민들은 그들의 지역 조경활동으로 농업을 계속하고 있다.
이 논문은 조경 체계 분석과 민족지학적인 방법으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마을의 지리적, 지질학의 관한 정원에 대해 배우고 설명한다. 이 마을주민들의 조경에 대한 인식과 현재 전통적으로 잘 알려진 정원 방법을 민족 식물학적, 민족지학상의 방법으로 이용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개미마을 주민들의 조경에 토양, 지형적 특색, 계절과 식물을 증거를 들어가며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 부지의 철저한 분석으로 조경의 실질적인 방법을 입증함을 민족지학적 방법으로 담고 있다.
핵심어 : 이주, 한국전쟁, 전통 지식, 서울, 조경설계 되지 않은 일반주택 양식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HAPTER ONE 1
1.1 GHOSTS, MEMORIES & GARDENS 1
1.2 A LANDSCAPE ETHNOGRAPHED 3
1.3 LITERATURE REVIEW & RESEARCH PURPOSE 8

CHAPTER TWO 17
2.1 METHODS & PROCESS: A COMBINATION IN ETHNOBOTANY, ETHNOGRAPHY & LANDSCAPE SYSTEMS ANALYSIS 17
2.2: METHODS: ETHNOBOTANY & LANDSCAPE SYSTEMS ANALYSIS 20
2.3 METHODS: ETHNOGRAPHY 22
2.4 METHODS: THE COMBINATION EXPLAINED 25
2.5 METHODS: CLOSING THOUGHTS 35

CHAPTER THREE 36
3.1 LANDSCAPE SYSTEMS ANALYSIS: GEOLOGY, SOIL, PEOPLE 36
3.2 WATER & GARDENS 45
3.3 THE TERM MAEUL 46

CHAPTER FOUR 47
4.1 THE HISTORY OF A VILLAGE (PAST) 47
4.2 CONTEMPORARY HISTORY 50
4.3 SOCIOPOLITICAL ISSUES 52

CHAPTER FIVE 55
5.1 GARDEN TYPOLOGIES 55
5.2 THE LANDSCAPE ETHNOGRAPHY OF KAEMI-MAEUL: PLANTS & SEASONS 75
5.2.1 Gourds & Pumpkins 77
5.2.2 Cabbages 83
5.2.3 Peppers 84
5.2.4 Spinach 86
5.2.5 Lettuces 88
5.2.6 Potatoes & Sweet Potatoes 89
5.2.7 Beans 90
5.2.8 Sunflowers 92
5.2.9 Others 93
5.3 FIELD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94
5.4 LANDSCAPE MANAGEMENT & GARDENS 96
5.5 MEMORIES & GARDENING 98

CHAPTER SIX 101
6.1 DISCUSSIONS & CONCLUSIONS 101
6.2 ETHNOGRAPHY IN LANDSCAPE PRACTICE 102
6.3 RESEARCH LIMITATIONS 103
6.4 CONCLUSIONS 104

EPILOGUE 105

Indexes & Appendix 106
APPENDIX A 106
APPENDIX B 125
APPENDIX C 126
APPENDIX D 128
APPENDIX E 129
REFERENCES: ENGLISH 134
REFERENCES: KOREAN 13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3309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dc.subject환경조경학과-
dc.subject.ddc712-
dc.titlePeople, Plants, Place & Process: A Landscape Ethnography through the Gardens of an Urban Village Kaemi-Maeul, Soedaemun-gu, Seoul, Korea-
dc.title.alternative인간, 식물, 장소와 과정: - 도시마을의 텃밭 정원으로 경관민족지학 분석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개미마을 --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제라드-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38-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