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공어초와 환경요인이 제주도 연안해역 어류군집에 끼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준성

Advisor
이도원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rtificial reeffish assemblagesmarine ecosystembiodiversityindicator speciesenvironmental variable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학과, 2015. 2. 이도원.
Abstract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생물다양성은 연안에서 외해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연안의 생물다양성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과다 어획, 연안 오염, 연안 개발, 쓰레기 투기 등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서식지 파괴의 증가는 해양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때문에 인공어초가 파괴되고 있는 해양서식지를 복구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비록 인공어초가 가지는 해양수산자원 위집 및 증식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어초와 특정 환경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1) 인공어초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들을 분석하고, 2) 인공어초의 다양한 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종들을 선정하였다.
조사는 2007년 3월, 2008년 3월과 8월, 2009년 10월, 2010년 5월과 9월, 2011년 7월과 10월에 실시하였다. 제주도 연안해역에 시설된 인공어초 어장 110개 정점과 대조구 어장 81개 정점을 조사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요인들과 어류군집 지수를 산출하였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경요인들 중 수온, 인공어초의 재질, 인공어초가 시설된 저질의 상태가 어류군집 지수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어서 수온의 차이, 인공어초의 재질, 저질 상태를 바탕으로 인공어초 어장을 서식지 유형별로 분리하고, 각각의 서식지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 어류종을 Indicator value analysis (IndVal) 를 통해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어초 어장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표종을 선정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대표종의 선정에 있어서 주로 양적으로 많이 출현한 종이 우선시 되었지만, 이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IndVal 분석을 활용하여 지표종을 선정하였다. 이 방법은 인공어초 적지선정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보다 분석적인 도구를 활용하여 해양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향후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A biodiversity which is an index on the evaluation of ecological health for marine ecosystem tends to be higher in coastal area compared to open ocean. However, the biodiversities of coastal areas are degrading by human disturbances to coastal ecosystems, including habitat loss, climate change, overfishing, pollution, exploitation, tourism, as well as waste dumpings. In particular, increased habitat loss is of great concern due to its severe adverse effects on marine ecosystems. For the reason, artificial reefs have been suggested as alternatives for the restoration of marine habitats. Although effects of artificial reefs in terms of enhancement for the marine fisheries resources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artificial reef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eems to be somewhat limit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1) to analyze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fish assemblages of artificial reefs, and 2) to select fish species which are indicators of various habitats of the artificial reefs.
Data collections have been made on March 2007, March and August 2008, October 2009, May and September 2010, July and October 2011. Total of 110 artificial reefs and 81 control plots have been investigated along the coasts of Jeju island, Korea. Fish assemblages as well as environmental parameters have been investigated and measured respectively, and their relationship has been statistically analyze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ish assemblages and certain environmental variables viz. temperature, material of artificial reef, and bottom types. Artificial reefs wer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hree variables. Finally, the indicator species of each habitat type has been designated based on the indicator value analysis (IndVal).
This study successfully address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fish assemblages of artificial reef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largely focused on quantitative method for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species, the systematic and IndVal has been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which appeared to be efficient for the selection of proper type of artificial reefs in the study area. This may provide better opportunity and analytical tool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conservation of marine ecosystem.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9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