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stablishing Effective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s in the Ghana Civil Service : 가나공무원을 위한 효과적인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영-
dc.contributor.author프레드릭-
dc.date.accessioned2017-07-19T07:49:46Z-
dc.date.available2017-07-19T07:49:46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247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32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13. 8. 이수영.-
dc.description.abstract업무평가시스템은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공공부문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혁정책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업적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과 장애물이 있기 때문에 관리적 측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효하고 정확한 업무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직원들을 평가하게 되면 인적자원관리제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가나에서 성과관리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들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원동력으로서는 여전히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직원성과개선 전략으로서 업무평가제도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공무원들이 현재의 업무평가시스템을 어느 정도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는지 여부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현 제도의 효과적 집행과 활용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가나의 중앙인사위원회(Office of the Head of the Civil Service, OHCS)와 교육부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밖에도 공무원교육훈련원을 통해서 다른 많은 부처의 공무원들의 의견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또한 질문을 제시한 후 이에 대해 응답한 설문조사 자료로 부터 수집한 자료 또한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 대상은 이상 언급한 기관의 공무원들로서 최소한 업무평가를 1회 이상 경험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크기는 200명이었으며(OHCS 60명, 교육부 80명, 기타부처 60명) 그 중 173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1차 자료로서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서 고위직과 하위직을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밖에도 2차 자료로서 간접적인 자료들도 활용하였다. 질적자료의 해석은 표와 그림 등을 통해서 제시하였으며 심화인터뷰를 통해 확보한 자료는 연구질문에 관련된 본문에서 서술하였다. 설문자료는 엑셀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업무평가제도는 공무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한 원인을 확인하였는데, 공무원들은 현재의 업무평가제도가 조직의 전략적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전반적으로 현 제도에 부정적 인식이 강하였다. 또한 성과 감시와 피드백이 잘 안되고 있으며, 업무평가 결과 활용이 법적으로 강제되지 않고 있으며, 성과가 보상과 제제와 연결되지 못하고 끝으로 공무원들은 현 제도에 상당히 불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공무원들은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상의 모든 원인들 때문에 가나의 공무원에 대한 업무평가제도는 효과적 집행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다.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정책대안을 제안하자면, 명확한 업무평가 목표가 제시되어야 하며 이를 모두가 공유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목표는 상사와 부하직원이 공동으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정당한 평가절차는 평가자 및 평가대상자 모두에 의해 준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니터링에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사와 부하직원간의 의사소통과정 역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조직에 대한 성과평가가 전체 공무원 조직의 전체적인 사명과 전략적 목표와 연계되어야 한다. 또한 평가결과가 실제적으로 유효하게 사용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평가자와 평가대상자가 업무평가제도의 효과적 집행을 위해 교육받을 필요도 있다. 각각의 부처별로 각기 업무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업무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업무동기가 높을수록 업무성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평가제도의 공정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참여자들에 의한 검토와 이의제기 과정 또한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ABLE OF CONTENTS
ABSTRACT iii
LIST OF TABLES viii
LIST OF FIGURES ix
CHAPTER ONE: INTRODUCTION 1
1.1 Study Background………………………………………………………………………………………..1
1.2 Overview of Performance appraisal in the Ghana Civil Service……………………2
1.3 Problem Statement 5
1.4 Study Objectives 7
1.5 Research questions 7
1.6 Significance of the Study 8
1.7 Limitations of the Study 9
1.8. Organization of the study 10
CHAPTER TWO: LITERATURE REVIEW 12
2.1 Definition of Performance Appraisal 12
2.2 Necessity of Performance Appraisal 14
2.3 Essential Features of an Effectiv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17
2.4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23
2.5 Supervisory behaviours during a performance appraisal 24
2.7 Challenges of performance appraisal 27
CHAPTER THREE: MODEL SPECIFICATION 31
3.1 Research Design 31
3.2 Population of the Study 32
3.3 Sampling Technique 32
3.4 Sources and Methods of Data Collection 34
3.5 Questionnaire 35
3.6 Analysis of Data 36
3.7 Validity and Reliability 37
CHAPTER FOUR: DATA ANALYSIS AND RESULTS 39
4.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39
4.2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45
4.2.1 Organizational strategy 45
4.2.2 Perception of Performance Appraisal 50
4.2.3 Performance monitoring and feedback 56
4.2.4 Uses of Performance Appraisal Results 62
4.2.5 Compensation and Benefits 67
4.2.6 Performance Appraisal and Employee Satisfaction 70
4.2.7 Suggestions for improving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75
4.2.8 Responses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 for Management Staff 76
CHAPTER FIVE: DISCUSSIONS AND CONCLUSIONS 79
5.1 Summary of Key Findings 79
5.2 Conclusion 86
5.3 Recommendations 88
References 92
APPENDIX A 101
APPENDIX B 108
APPENDIX C 111
APPENDIX D 112
ACKNOWLEDGEMENT 11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175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Performance appraisal system-
dc.subjectGhana Civil Service-
dc.subject.ddc350-
dc.titleEstablishing Effective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s in the Ghana Civil Service-
dc.title.alternative가나공무원을 위한 효과적인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Frederick Opoku Denkyira-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16-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