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국 내 북한인권법의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 NGO의 네트워크 권력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민교-
dc.contributor.author박윤희-
dc.date.accessioned2017-07-19T07:54:58Z-
dc.date.available2017-07-19T07:54:58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3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40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13. 8. 구민교.-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국제정치이론 중 구성주의시각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권력이론 분석틀에 따라 NGO가 미국 북한인권법의 제정 및 확산과정에서 어떻게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분석한다. 현실주의적 시각에서는 국가를 개별적 행위주체로 보며, 국제정치적 현상을 각 국가가 권력과 이익을 최대한으로 추구함으로써 일어나는 결과물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이에 개별국가차원 미국의 북한인권법을 북한을 압박하기위한 수단 즉, 정치적산물이라고 본다. 하지만 이 시각은 EU, 일본, 캐나다 등 북한과 직접적으로 이해를 공유하지 않는 국가들까지도 북한인권법 혹은 결의안을 제정하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자유주의적 시각에서는 개별적 국가의 이익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공공선 즉, 인류 보편적 가치로서의 인권을 위해 각 국가가 연합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초국가기구(UN)에 의한 압박수단으로서 2005년부터 UN차원에서 대북인권결의안을 통과시킨 현상은 잘 설명할 수 있지만, 개별국가 미국의 북한인권법을 설명하기에는 설명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미국의 북한인권법은 UN에 1년 앞선 2004년 제정되었다. 반면, 구성주의는 인지공동체가 규범의 담지자로서 가치의 확산에 기여하여 개별 국가는 공유된 문제인식을 형성하며 행위자들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온다고 설명하여 일국 미국의 북한인권법 제정 및 확산 현상뿐만 아니라 초국가기구 UN의 대북인권결의안 통과 현상까지도 잘 설명할 수 있다.
미국 내 북한인권법의 제정 및 확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2000년대 초 처음 북한 인권문제가 주목받기 시작해 최초의 북한인권 전담NGO가 결성되었다. 북한인권 NGO의 첫 번째 형태로 문지기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이슈 내 동종네트워크 간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기존 인권단체의 하위이슈로 다루어지던 북한인권 이슈의 전담NGO가 형성될 수 있었다. 이슈의 심각성에 여러 기타 NGO가 공감함에 따라 북한인권NGO연대가 형성되었으며 미국 북한인권법 초안 작성 및 제정촉구운동을 벌였다. 이에 북한인권법(H.R.4240)이 2004년에 제정되었고, 그들을 중심으로 시위 및 가치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는 북한인권 NGO의 두 번째 모습으로 중개인 역할을 수행한 시기이다. 동종네트워크 간 상호작용과 더불어 법안의 초안을 작성하는 등의 내용적변화도 수행했다. 10년이 지난 현재, 북한인권법의 2회 재승인에 더하여 탈북고아입양법안(H.R.1464) 및 탈북자 보호 결의안, 납북자 송환촉구 결의안 등 각종 북한인권 관련 결의안이 제정되었다. 이는 3시기로 북한인권 NGO가 변환자 및 해석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 결과이다. 변환자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이종네트워크와 적극적인 상호작용 결과 북한인권법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동시에 북한인권 NGO네트워크 내에 속한 개별 NGO들이 해석자 역할을 함으로써 다른 종류 네트워크와 활발하게 의사소통하며 새로운 이슈를 소개하는 등의 내용적 변환도 수반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일견, 북한인권법의 확산 현상은 의원 및 관료 등 공식적 행위자들의 정치적 산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NGO가 규범의 담지자로서 미국 북한인권법 제정 및 재승인에 역할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각종 결의안과 탈북고아법안이 제정되는 등 북한인권 관련 법안과 결의안이 확산되어가는 현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즉, 북한인권 이슈에 대응하여 NGO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구성주의적 관점에 의해 이슈 내에서 NGO의 역할을 일관되게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nalyzes how human rights NGO perform initiative roles in enacting and diffusing of Americas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using the analytic frame of network power theory.
The realism perspective considers the nation as an individual subject of behavior and assumes that phenomena of international politics are outcomes obtained after each country pursued power and interests the mostly. Liberalism implies that each country can be united for not only individual country's interests but also common goods of the whole world. And, conductor's behavioral changes caused by pressure of supranational entity can be explained well. On the other hand, constructivism explains that each country forms shared awareness of problems and brings changes of conductor's behavior while cognitive community contributes the diffusion of values as a bearer of norm.
The enactment and diffusion of Americas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are as follows. In this thesis, it was trying to examine total 3 periods of diffusion process of NKHRA 2004 in accordance with 'network power theory in process' and role change of NGO and there are outcomes on each period.
In the 1st period it was the time for generating individual performers who are interested in human rights of North Korea and act for it. They paid attention to notify serious condi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For example, they help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enter America for testifying their story in hearing of America. Theoretically, they played a role as a gatekeeper and because they provided interactivity at the physical level, they could dominate street corner which must be passed and control time․situation․direction of its door. In this process, they could gain the power.
The 2nd period started from generation of NGO (HRNK
-
dc.description.abstractThe Committee or Human Rights in NK) which is fully in charge of human rights of North Korea at first and it was trying to carry out compilation works for the report of the condi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Moreover, it is the time for forming associations of various NGOs which became to be interested in human rights of North Korea. At that time, various types of NGOs (Think tanks, human rights groups, Christian groups, Judism human rights groups, previous bureaucrats, and so on) have been involved with it gradually. They performed various activities for making an outline of the law of NKHRA 2004 and passing this law, by which NKHRA 2004 was acted. Theoretically, they played a role as a broker and they provided interactivity at the social level (role of intermediary for people who have the same interest but also have communication gap due to time and space limitation).
In the 3rd period, they tried to interact with assembly and administration actively and put them into the network for Human rights of North Korea, so that various laws and resolutions are generated. Because issues for human rights of North Korea have been developed, various interactions among performers have also been generated. Followings are 2 features of them. ⓛDemand for active implementation of NKHRA 2004 (Asking allocation of budget and appointment of ambassadors) was accepted and it enabled to suspend this law twice. Theoretically, it has a feature of transformer(Providing compatibility after controlling threshold at the quantitative level). Moreover, ②After making an outline and delivering it to the assembly, NGOs active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for passing various laws and resolutions in relation to human rights of North Korea such as all resolutions(resolution for refusing 08 Beijing olympic, resolution for repatriation of 6.25 war prisoners and abductees (H.RES.376)) and North Korean Child Welfare Act of 2012(H.R. 1464), and so on. Theoretically, it played a role as a interpreter' and has a feature of the compatibility at the meaning level(interpreter who helps communication involving somewhat meaning changes).
At first sight, diffus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can be thought as the political outcome of public conductors such as congressman, bureaucrat, etc. But, this thesis will examine that NGO plays roles initiatively for enactment of Americas North Korea Human Rights Act and its reapproval as a bearer of human rights NGO and contributes greatly to the diffusion of acts and resolutions related to north korea human rights by enacting all kinds of resolutions, North Korea Refugee Orphan Adoption Act, etc. In other words, it will verify that NGO played initiative roles for the issue of north korea human rights. This thesis is significant to analyze roles of NGO consistently by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within the issu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목 차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1
제2절 연구범위와 대상 4
제3절 연구사례 소개 6
제4절 논문의 구성 8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 및 이론적 논의 10
제1절 선행연구의 검토 10
1. 북한인권법에 대한 현실주의적 접근 10
2. 북한인권법에 대한 자유주의적 접근 12
3. 북한인권법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13
제2절 네트워크 권력이론 15

제3장 연구 설계 18
제1절 미국 내 북한인권 관련 입법의 확산 18
1. 북한인권법의 제정 및 연장 18 2. 기타 북한인권 관련 결의안과 법 19
제2절 NGO의 네트워크 권력 20
1. 문지기 21
2. 중개인 21 3. 변환자 22 4. 해석자 22
제3절 분석의 틀 23
제4절 연구방법 24

제4장 문지기(Gatekeeper) 시기(1997~2001.09) 26
제1절 북한인권 관련 NGO 형성 이전(1990~1997년) 28
제2절 동종 스위칭 : 비공식 행위자의 등장 30
제3절 형식적 스위칭 : 미 의회 청문회의 역할 34제4절 문지기 스위처 : 동종-형식적 스위칭 37

제5장 중개인(Broker) 시기(2010.09~2005.02) 40
제1절 동종 스위칭 : 북한인권회(HRNK) 및 북한자유연합 결성 42
제2절 내용적 스위칭 : 보고서 편찬과 북한인권법 골자 마련 52
제3절 중개인 스위처 : 동종-내용적 스위칭 57

제6장 변환자(Transformer) 및 해석자(Interpreter) 시기 (2005.03~2013.03) 60
제1절 이종-형식적 스위칭 : 변환자 62
1. 북한인권법의 적극적 시행 요구 63
2. 새로운 행정부에대한 북한인권 이슈 관심 촉구 68
제2절 이종-내용적 스위칭 : 해석자 81
1. 중국 내 탈북자 보호 결의안 82
2. 6.25전쟁포로와 납북자 송환촉구 결의안 89 3. 탈북고아 입양법 93
제7장 결 론 103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03
1. 연구결과의 요약 103
2. 연구의 시사점 107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연구과제 109
1. 연구의 한계 109
2. 향후 연구과제 제시 11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944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북한인권법-
dc.subject인권-
dc.subjectNGO-
dc.subject네트워크 권력-
dc.subject거버넌스-
dc.subject.ddc350-
dc.title미국 내 북한인권법의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 NGO의 네트워크 권력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arolyn Par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ⅴ, 111-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