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직 규모가 조직 분권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영한-
dc.contributor.author김해리-
dc.date.accessioned2017-07-19T07:56:15Z-
dc.date.available2017-07-19T07:56:15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773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042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14. 2. 전영한.-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직 규모가 조직 분권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조직 이론 일반에서는 조직 규모가 확대될수록 조직 분권화 수준이 높아진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실증적으로 Blau와 Schoenherr(1971)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 공공기관에 요구되는 조직 규모의 축소와 조직 분권화 수준의 강화 요청은 이러한 이론적 인식에 배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조직 규모와 조직 분권화 수준 간의 관계를 우리나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조직 이론을 바탕으로 조직 규모가 클수록 조직 분권화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세웠다. 연구 가설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Kimberly(1976)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 규모를 조직 구성원 수와 조직 자산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조직 구성원 수가 많을수록 조직 분권화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과 조직 자산이 클수록 조직 분권화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조직 분권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조직 특성변수 중 조직 유형, 조직 복잡성, 조직 안정성, 조직 공공성 등을 추출하여 이를 통제하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합회귀모형을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모델로 삼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특수성을 감안하여 추가적으로 고정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논의를 보충하고자 하였다. 통합회귀모형분석결과 독립 변수인 조직 규모 변수는 종속변수인 조직 분권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충적으로 실시한 고정효과모형 분석에서는 조직 구성원 수는 조직 분권화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 자산 크기가 조직 분권화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가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합회귀모형 분석을 통해 볼 때 본 연구 결과는 Blau와 Schoenherr(1971)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조직 규모가 커질수록 조직 집권화 수준은 낮아진다는 Aston Group(1968)의 연구 결과 역시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직 규모가 조직 구조 변수인 조직 분권화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조직 규모가 조직 구조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Blau(1970), Pugh 등의 Aston Group(1968
-
dc.description.abstract1969), Child(1972) 등의 논의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직 구조에 관한 연구는 조직 행태 연구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특히 공공기관의 조직 구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직 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이론적, 현실적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오늘날 공공기관에 요구되는 조직 규모의 축소와 조직 분권화 강화라는 동시적 요청이 보다 면밀하고 조심스러운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제2절 연구 대상과 범위 3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7
제1절 공공기관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7
제2절 조직 분권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10
1. 조직 분권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 10
2. 조직 분권화에 관한 선행연구 13
제3절 조직 규모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15
1. 조직 규모에 관한 이론적 논의 15
1) 조직 규모의 개념 15
2) 조직 규모의 크기 : Daft(1998) 논의를 중심으로 17
2. 조직 규모와 조직 구조에 관한 이론적 논의 18
1) 조직 구조 결정요인 18
2) 조직 구조 결정요인 논의에 대한 논쟁 19
제4절 조직 규모와 조직 분권화에 관한 선행연구 21

제3장 조직 규모와 조직 분권화에 관한 연구가설 24
제1절 연구가설의 설정 24
제2절 연구 가설 강화를 위한 보충 논의 26

제4장 연구 설계 및 분석방법 28
제1절 연구문제와 분석틀 28
1. 연구문제 28
2. 연구의 분석틀 28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자료의 수집 30
1. 종속변수 : 조직 분권화 30
2. 독립변수 : 조직 규모 33
3. 통제변수 37
1) 조직 유형 37
2) 조직 안정성 39
3) 조직 복잡성 40
4) 조직 공공성 41
4. 자료의 수집 44
제3절 연구 설계와 방법론 46
1. 조직 분권화 수준에 관한 통합회귀모형 46
2. 보충 : 조직 분권화 수준에 관한 고정효과모형 47

제5장 실증분석결과 49
제1절 기술통계분석 50
1. 공공기관 조직 분권화에 관한 기술통계 50
2. 조직 규모에 관한 기술통계 51
3. 통제 변수에 관한 기술통계 52
1) 조직 유형에 관한 기술통계 52
(1) 법률에 따른 조직 유형 53
(2) 정책수단에 따른 조직유형 54
2) 조직 안정성에 관한 기술 통계 55
3) 조직 복잡성에 관한 기술통계 56
4) 조직 공공성에 관한 기술통계 57
제2절 실증분석결과 59
1. 통합회귀분석 59
1) 통합회귀분석의 가정 검증 59
(1)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진단 59
(2) 이분산성(Heteroscedasticity)의 진단 61
2) 통합회귀분석결과 62
2. 보충분석결과 : 고정효과모형분석결과 65
1) 하우스만 검정 67
2) 보충 : 고정효과모형분석결과 68
3. 가설검정과 해석 70

제6장 결론 74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74
제2절 정책적 함의 75
제3절 연구의 한계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718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기관-
dc.subject조직 규모-
dc.subject조직 분권화-
dc.subject.ddc350-
dc.title조직 규모가 조직 분권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0-
dc.contributor.affiliation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