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봉사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립 경찰 대학생을 중심으로 - :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민제

Advisor
김준기
Major
행정대학원 정책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SM조직사회화공공봉사동기 결정요인경찰대학경찰대학생공공봉사동기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책학과, 2012. 8. 김준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 경찰대학생의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공공봉사동기란 공공조직에 나타나는 특유한 동기요인으로 그동안의 연구는 공․사 부문 비교연구를 통한 공공과 민간부문이 추구하는 동기구조가 다름을 확인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그 간의 연구가 공무원을 대상으로 입직 전 가족 사회화나 봉사활동 등 일반사회화를 통한 공공봉사동기 형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경찰 대학생이라는 공무원 임용을 전제로 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한 집단을 대상으로 일반사회화 뿐 아니라 조직사회화 요인이 공공봉사동기에 주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첫째로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Perry(2000)의 일반사회와 요인을 중심으로 검증해보았다. 미국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Perry의 이론이 한국사회의 맥락에 적용되는지 특히 경찰 대학생이라는 특수한 집단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으며, 둘째로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조직사회화 요인(재학기간-학년)이 공공봉사동기에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가지는지 분석하여 공공봉사동기는 일반사회화 뿐만 아니라 조직사회화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는 최근의 연구를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재학기간에 따른 공공봉사동기 수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찰간부로서의 희생정신과 봉사정신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경찰대학 교육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보고자 했다.
집단 간 분석과 회귀방정식을 사용한 실증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가족 사회화 수준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아졌다. 이는 특히 공공봉사동기 측정변수 중 동정심과 희생정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봉사동기 전체로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종교 활동 수준과 공공봉사 동기 수준과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직사회화 변수인 경찰대학생의 재학기간이 길수록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았다. 4학년은 1학년에 비해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2학년과 3학년은 거의 비슷했으나 전학년을 비교해 볼 때 학년이 높아질수록 전반적으로 공공봉사동기 수준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공공봉사동기의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기타 가계소득이나 재수 경험 같은 개인 특성들은 공공봉사동기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 논문은 첫째로 가족사회화, 봉사활동 등 일반사회화 변수가 공공 봉사동기 수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기존의 연구들을 지지한다. 또한 경찰 대학생이 1학년과 비교할 때 4학년 학생의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았다는 것은 공공봉사동기는 입직 전 일반사회화과정을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입직 후 조직 내에서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도 형성되기도 한다는 일련의 연구들을 지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PSM is a peculiar motivation that appears in public organizations, and, so far, studies on confirming the desired motiv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have predominated the field. If these research have put emphasis on the formation of PSM through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such as family socialization or voluntary service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This study not only focuses on general socialization of students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a special group of students that is being educated to be appointed on public positions, but also attempts to analyze how the factors of organization socialization affect PSM.

First,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ich elements affect PSM in reference to Perry's socialization factors. The study tries to verify whether Perry's theory, a model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in the United States, could apply to those in South Korea, especially to students of the KNPU. Second, it attempts to verify a recent study that proposes that PSM is not only determined by general socialization, but also b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is is done by an analysis on an often neglected factor of attendance period and year. In addition, through similar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ance period and PSM level, the study tries to verify whether education in Police University is capable of cultivating the sprit of dedication and commitment to the public.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ing multi regression analysis among groups, the followings can be found. First, as family socialization level was higher, PSM level also became high. Among measuring variables of PSM, this phenomenon wa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areas of sympathy and self-sacrifice, and PSM as a who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ligious activity level and PSM. Third, as voluntary work experiences increased, PSM also increased. Fourth, longer the students attendance period was, the higher the PSM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seniors and freshmen was significant, and although the sophomores and juniors showed similar levels, in overall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Fifth, factors such as sex, household income, and gap year experience sometimes showed difference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research supports the existing studies that argue variables such as family socialization and volunteer activity posi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PSM. However, it also agrees with study results that state although PSM develops before entering Police University, it also could develop after. Conversely, this result of seniors having higher PSM than freshmen could indicate that the 4 years of education i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spirit of dedication and commitment which are appropriate for police executiv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4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