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방문 관광객 유치의 영향요인 연구 - 대외 관광마케팅 사업 효과를 중심으로 - : Determinants of Foreign Tourist Arrivals to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함경준

Advisor
김동욱
Major
행정대학원 정책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Keywords
관광마케팅관광수입한국방문 외국관광객한국관광공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대학원 정책학과, 2016. 2. 김동욱.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의 대외 관광마케팅 사업이 한국방문 국제관광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면서, 송출국의 소득, 송출국 화폐에 대한 원화환율로 보정된 송출국과 한국간의 물가수준, 북한관련 안보 위기 및 세계적인 규모의 사건이 송출국별 방한객의 규모와 한국 여행중 지출하는 소비액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따라 독립변수를 한국관광공사 국외지사의 마케팅 총비용, 송출국의 국민총생산(GDP), 원화환율로 보정된 상대물가와 사건 더미변수로서 2010년 11월의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과 2007년 3/4분기부터 2008년간에 걸쳐 발생한 세계금융위기 사태를 설정하고, 종속변수를 송출국별 방한객 입국자수와 그들로부터의 관광수입으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국가는 주요 방한 관광객 송출 6개국이며, 2001년 1/4분기부터 2014년 4/4분기까지의 분기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 관광객 유치 마케팅 사업의 효과는 분석대상 6개국 중 홍콩, 미국, 중국에서 발견되었고, 중국, 홍콩, 미국의 순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즉, 관광객 입국자수를 종속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는 홍콩과 미국의 경우 당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중국의 경우에는 시차가 경과한 1기 이후(t-1)와 3기 이후(t-3)에 각각 그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관광수입을 종속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는 미국이 당기에, 중국은 3기 이후(t-3)에 그 효과가 관찰 되었다. 따라서 한국방문 관광객 유치 마케팅 사업의 효과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일부 국가의 경우에 당기 혹은 시차를 두고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송출국의 국내총생산(GDP)을 대리변수로 사용한 소득규모와 추이는 거의 모든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같이 방한객 입국자수와 관광수입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보편적인 요인임이 다시 한 번 실증되었다. 즉, 관광객 입국자수를 종속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 일본, 대만, 독일, 홍콩, 미국, 중국의 순으로 분석 대상 6개국 모두에서 탄력적으로 종속변수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임이 추계되었고, 관광수입을 종속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도 일본, 대만, 홍콩, 중국, 독일, 미국의 순으로 추계되었으며, 시차를 고려한 모형에서도 이러한 영향력의 크기와 경향성은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다만, 일본의 경우 각 종속변수에 대해서 강한 음(-)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추계되었는데, 이는 일본인들에게 한국은 자국내 혹은 한국 이외의 국가로의 관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등한 목적지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셋째, 송출국과 한국과의 상대물가 수준은 홍콩, 독일, 중국의 경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송출국별 한국 방문객 입국자수를 종속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 홍콩이 탄력적인 것으로, 독일이 비탄력적인 것으로 추계되었고, 관광수입을 종속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는 중국과 홍콩에서 그 효과가 추계되었다.

넷째, 국지적 혹은 국제적인 규모의 충격적 사건, 사고의 방한객 입국자수와 관광수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기 위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과 세계금융위기를 더미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평도 포격 사건은 중국만이 관광객 입국자수와 관광수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세계금융위기는 입국자수를 종속변수로 한 모형에서는 중국과 홍콩에서, 관광수입을 종속변수로 한 모형에서는 중국, 미국, 홍콩에서 영향력이 관찰되었다. 이는 세계금융위기와 같이 세계적인 범위의 사건 변수가 연평도 포격 사건과 같은 국지적 사건보다 장기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추론을 해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논문은 방한 관광 마케팅 사업이 방한객 입국자수와 관광수입에 미치는 효과가 당기 혹은 시차를 두고 발생한다는 것을 실증 분석함으로서 이러한 활동이 한국방문 국제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the overseas marketing activities of Korea impacts on Korea's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and to analyze simultaneously the effects on the inbound tourism volume and spending caused by income, price level revised by exchange rate between Korean Won and departure country's currency, security crisis related with North Korea and global issue. As independent variables, total marketing expenditure of KTO(Korea Tourism Organization)'s overseas branch offices, GDP of departure countries, relative prices revised by exchange rate, North Korea's bombardment on Yeonpyeong island in November 2010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tarted from third quarter in 2007 through 2008 are selected, and as 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tourist arrivals and tourist receipt from each departure country are used. The case countries are 6 major origin countries for Korea's inbound tourist arrivals and the quarterly data from 2001 to 2014 are us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impact of Korea's overseas marketing activities is found in Hong Kong, USA and China of 6 case countries and the impact scale is China, Hong Kong and USA in order. In other words,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arrivals as dependent variable, overseas marketing activities have impact on Hong Kong(0.286, p<0.05) and USA(0.199, p<0.01) in same period, and China after 1 quarter(t-1
0.198, p<0.1) and 3 quarter(t-3
0.353, 0<0.01) as time passed.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receipt as dependent variable, they have impact on USA(0.200, p<0.01) in same period, and China(0.381, p<0.01) after 3 quarters(t-3).

Second, like previous studies, it is once again verified that the income whose proxy variable is the gross national product(GDP) in this study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number of arrival to Korea and tourist receipt.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arrivals as dependent variable, it strongly and elastically affects Japan(-4.471, p<0.01), Taiwan(3.424, p<0.01), Germany(2.076, p<0.01), Hong Kong(1.758, p<0.01), USA(1.203, p<0.01) and China(1.051, p<0.01) in order respectively.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receipt as dependent variable, it also affects Japan(-4.873, p<0.01), Taiwan(4.059, p<0.01), Hong Kong(1.860, p<0.01), Germany(1.127, p<0.01) and USA(0.632, p<0.01).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Japanese consider the travel to Korea as inferior goods comparing with their domestic or overseas travel because the regression coefficient shows strongly negative impact.

Third, it is verified that the relative price impacts on Hong Kong, Germany and China.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arrivals as dependent variable, it affects Hong Kong(1.276, p<0.01) and Germany(0.593, p<0.01).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receipt as dependent variable, it affects China(0.831, p<0.05) and Hong Kong(1.462, p<0.01).

Fourth, in order to verify the impact on the tourist arrivals and receipt when the shocking events take place regionally or globally, North Korea's bombardment on Yeonpyeong island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re included into each regression model as dummy variables. North Korea's bombardment on Yeonpyeong island impacts only on China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arrivals(-0.547, p<0.1) and tourist receipt(-0.668, p<0.1) as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ffects China(-0.335, p<0.05) and Hong Kong (-0.399, p<0.01)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using tourist arrivals as dependent variable and China(-0.673, p<0.01), USA(-0.101, p<0.1) and Hong Kong(-0.594, p<0.01) in case of tourist receipt as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global issue has wider, more prolonged impact on Korea's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4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