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직행태변수와 코레일 조직성과의 인과관계 분석 :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KORAIL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Behavior variab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철환

Advisor
김순은
Major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직몰입직무만족리더십커뮤니케이션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3. 8. 김순은.
Abstract
국토교통부의 철도정책이나 최근 거론되고 있는 공기업 합리화와 효율화 그리고 코레일의 개혁활동들을 종합해보면 코레일의 조직성과 향상이라는 공통의 분모를 가지게 된다. 기존 시스템적·구조적 변화에 치중하였던 코레일의 개혁은 현재 서서히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보다 가시적인 성과 체감을 위해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의식구조의 변화를 통한 실질적인 변화로 고성과 조직(High-performance organization)으로 변화를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조직행태변수(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었다.
이에 코레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해 기존 코레일에서 사용하던 조직문화지수의 요인(조직몰입, 직무만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지역본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결정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적절한 관리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로 기존 코레일에서 사용하던 조직문화지수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변수가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속변수인 조직성과는 능률성, 효과성, 공정성을 포함한 개인의 인지된 성과수준의 측정결과로 선정하여 분석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수행방법으로 코레일 12개 지역본부별 표본차이에 의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단순무작위추출로 2,400개의 표본을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정도구(설문)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을 위해 4개 조직행태변수를 묻는 32개 문항 및 종속변수 3개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과 크론바흐알파(Cronbach's 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고 개별 가설별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과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세부요인별 다중회귀분석을 추가로 시행하였는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구(설문)의 타당성(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결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의 독립변수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이 4개의 요인으로 잘 분류되었으며 4개 독립변수의 신뢰도(크론바흐 알파) 분석결과도 조직몰입은 0.782, 직무만족은 0.900, 리더십은 0.950, 커뮤니케이션은 0.894로 나타났고 종속변수인 조직성과의 경우도 크론바흐 알파 값이 0.863으로 나타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 높은 내적일관성을 가지고 있어 측정도구의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이 종속변수인 조직성과에 대해 각각 0.512, 0.489, 0.516, 0.616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성과가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개 독립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문제가 되는 0.9 이상의 상관계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조직성과와 결정요인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조직몰입, 리더십,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그 중에서도 커뮤니케이션이 0.414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의미를 요약하면 다른 요인들이 통제되었을 때 커뮤니케이션의 만족도가 한 단위 증가하면 조직성과는 0.414만큼 증가한다.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조직행태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는 직무만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던 것은 그 세부 요소인 보수에 있어 준시장형 공기업 16개 중 12위의 임금수준이라는 것과 2005년 이전 공무원 당시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진 평균임금으로 인한 만족 등 인식의 혼재 및 세부요소인 업무상 자율성에 있어 외부적으로 국회, 감사원, 국토부 등의 이해관계와 내부적으로 차량, 시설, 전기 등 다양한 직렬 이해관계를 조절하여 일반 국민에게 공평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규정과 지시가 우선시 되는 조직규범이 혼재된 결과로 추측된다.
결론적으로 코레일이 고성과 조직으로 변화하기 위해 관리해야 할 조직몰입, 직무만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변수는 커뮤니케이션을 매개로 또는 독립변수 그 자체로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코레일의 고성과 조직으로의 변화는 커뮤니케이션이 결정한다고 정리할 수 있으므로 조직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 피드백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두 가지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구성원들의 인지된 수준으로 측정된 조직성과와 관련된 이론과의 접목을 통해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기업 분야에서 4개의 복합적 조직행태 변수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과 둘째, 안전행정부가 발간한 조직진단 매뉴얼에도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변수를 조직성과와 연계하여 연구하였다는 점 그리고 기존 국내 선행연구 중 군 조직, 호텔기업, 보육교사, 민간기업 연구원 등 특정 업무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 외에 실제 공기업 조직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Analyzing KORAIL(Korean Railroad) affect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Organizational behavior variables analyze, as verified by previous stud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Was to analyze empirically determine the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propose appropriating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udy the variables affe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dership, communication, respectively.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munication variable is high needing for intensive management to change the high performance organization. Constant attention and improve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feedback should be perform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5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