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에서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운용

Advisor
우지숙
Major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공기관서번트리더십직무만족직무몰입직무스트레스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3. 8. 우지숙.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21세기에 적합한 리더십으로 주목받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공공기관에서 조직원의 행복과 조직발전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번트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농어촌공사에 재직중인 2급이하 직원 5,0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중 유효한 1,027부의 설문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직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즉, 기존의 권위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부하를 배려하고 지원하는 상사의 행동은 부하직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직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상사가 부하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율적인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고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경우 부하직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몰입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보여주는 점이다.
셋째,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부하직원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부하직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In the Public Enterprise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Lee Woon Yong
The department of public enterprise policy
The Graduate School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both happiness of individuals at a job and the prosperity of organizations, which is considered as desirable leadership in 21 centur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them.
1,027 significant questionnaires selected from the survey administered to
5,058 employees working for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whose rank is 2 grade and below, were used in real statistic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Servant leadership has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It means that leader's genuine cares and assistance for his subordinate can ease the job stress of employees.
Second, Servant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It means that if leader give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his subordinate and assist him to improve job skill, It would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hird, Job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wo dependent variables :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herefore it is proven that servant leadership has influence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hrough the process of easing job stres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5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