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인력 활용이 공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emale worker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public sect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형기

Advisor
김봉환
Major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인력다양성 관리고정효과모형공공기관Female workerDiversity managementFixed effect modelPublic compan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4. 8. 김봉환.
Abstract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대통령 취임 후 새 정부는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 및 양성평등 구현 등을 국정 과제로 하여 공공분야의 여성관리자 확대를 위한 목표제와 평가제 도입, 정부위원회 여성참여율 40% 달성과 10만 여성 인재풀 확충을 목표로 하였다. 한편으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는데 이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여성임원 비율을 2016년까지 10%, 2019년까지 30%로 늘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말 기준 공공기관 288곳의 임원 2천 993명 중 여성은 9.1%인 272명, 여성이 기관장인 곳은 전체의 5.6%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여성근로자 확대 정책은 2006년도에 시행된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의 일환으로, 이러한 정책들은 법적, 사회적인 근거에 의해 여성인력의 확대를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최근 조직내 여성인력 증가로 인한 성 다양성의 확보를 통해 조직의 경영성과와 효율성 제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여 왔으며, 이러한 논의는 국내외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한편, 공공부문은 주로 성평등 차원에서 여성인력 및 여성관리자 확대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여성인력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최근에 와서야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여성인력과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그간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공기업의 경우 더욱 그러할 것이므로, 여성인력이 공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독립변수를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자 비율로, 28개 공기업의 노동생산성, 고객만족도 및 1인당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여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패널데이터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여성인력을 여성근로자와 여성관리직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행한 결과, 노동생산성 및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인당 매출액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기업에 있어 여성인력이 증가할수록 1인당 매출액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업을 유형별(시장형, 준시장형), 규모별(중간값 이상, 이하) 및 연령별(중간값 이상, 이하)로 구분하여 동일한 분석을 실행한 결과 앞서 28개 공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현재 공기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연근무제도(탄력근무, 원격근무, 시간제근무)를 다양성 친화제도로 정의하여 여성인력이 공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조절작용을 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우선적으로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는 달리 계량적으로 측정된 공기업의 지표들을 사용하여 분석함에 따라 분석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의 한계를 들 수 있다. 패널데이터 분석으로 기업 고유의 특성을 통제할 수 있다고 하나, 대표적인 속성(기업연령, 기업규모, 산업분류 등)에 대한 통제만으로 공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적절하게 통제되었는지 의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공공부문의 기업 내부정부에 대한 정보공개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보완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여성인력 채용 현황에 따르면 민간부문 대비 여성인력 채용 및 여성관리자 수 등 저조한 여성의 대표성과 이러한 상황에서 공기업에 대한 총 정원 및 직급별 정원 등에 대한 승인권을 소유하고 있는 정부의 통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여성인력을 경쟁우위 요소로 활용하기 위한 인사정책에 대한 자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여성인력 활용이 공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기에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연근무제도의 공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본 연구에 포함된 다양성 친화제도가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데이터 기간이 짧으며, 성상헌(2006)의 연구에서와 같이 채용, 승진 및 교육 등 다양성 친화제도와 관련한 변수를 적절히 추가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장하는 결론은 정부의 적극적 조치와 공기업 여성임원비율의 경영실적평가 반영 등 정책들은 성평등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여성인력을 확대시키고자 하는 목적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책들이 공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토 및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져야 공기업의 경쟁우위 요소로서 여성인력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t's analized the effect of female workers on the business performances of public companies. To analyze the effect of female workers on the business performances, public companie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ratio of female workers and female manager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labor productiv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 sales. Using the data from 2008 to 2012 years, I used the fixed effect model.
As a results, It's not consistently observed the effects of the female workers in the labor productiv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ut female worker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 sales.
And I seperated the type of public companies(market-type, quasi-market type), by size(above, below median) and by age(above, below median) and performed the same way.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est, female workers affec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per sales.
In addition, I defined the flexible work place(flexible working, remote working, part-time working) as the moderate variables, and tested whether the moderate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s, all moderate variabl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ason for this results, this study used quantitative index of public companies so available datas were limited. Despite Using fixed effect model available to control the specific properties of companies, it's questionable whether the appropriate control had been made. These problems,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f public companies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would be available to research. Second, considered the low level of female worker's recruitment and the government control of the human resource policies in the public companies, it is difficult to affec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public companies.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study more about the effect of female workers recruitment on the public companies like private companies. And then female workers are taken into account as an element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5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