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BCT를 이용한 Radix Entomolaris 의 원심설측 치근의 3 차원적 위치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원우

Advisor
금기연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pical surgeryradix entomolarisCBCTmandibular canalbuccal cortical bonelingual cortical bon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5. 2. 금기연.
Abstract
치근단 수술을 하는데 있어 해당 치아의 치근단 부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radix entomolaris (RE) 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의 경우 해부학적 제한 때문에 수술 적 접근 시 어려움이 있어 술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E 를 갖는 한국인의 하악 제1대구치 distolingual(DL) root의 3차원적 위치와 만곡방향을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하악 제1대구치 DL root 의 수술 적 접근 시 필요한 3차원 위치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2014년 6, 7, 8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20세 이상 성인 139명의 하악 CBCT 영상을 분석하였다. 278개의 하악 제1대구치 중 DL root를 가지는 72개를 선별하였다. DL root tip에서 하악관, 협측 피질골, 설측 피질골, DB root tip까지의 거리와 DL root tip의 만곡방향을 측정 하였다.
DL root tip에서 하악관 까지의 평균 거리는 남성에서 8.50mm, 여성에서 6.90mm 이었다. 협측 피질골 까지의 평균 거리는 남성에서 10.20mm, 여성에서 9.74mm 이었다. 설측 피질골 까지의 평균 거리는 남성에서 4.31mm, 여성에서 3.75mm 이었다. 인접한 DB root tip 까지의 평균 거리는 남성에서 6.96mm, 여성에서 6.33mm 이었다. 72개의 치아 중 40개의 치아가 distobuccal 방향으로, 3개의 치아가 distolingual 방향으로, 25개의 치아가 mesiobuccal 방향으로, 4개의 치아가 mesiolingual 방향으로 만곡 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DL root tip의 인접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평균 거리는 남성의 경우가 여성에서보다 멀었다. DL root tip에서 가장 가까운 해부학적 구조물은 설측 피질골 이었고 DB root tip, 하악관, 협측 피질골 순으로 멀어졌다. 대부분의 RE에서 buccal 방향의 만곡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해부학적 정보는 외과적 근관 치료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troduction: Precise anatomical information about periapical region is important to perform apical surgery. Especially in case of mandibular first molar which has radix entomolaris(RE), caution is required to surgeon because of anatomical limitations to approach the lesion. In this study Korean mandibular first molars which have RE were investigated. 3D position and curve direction were analyzed b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3D positional information which is needed when surgical approach is performed to DL root of RE.

Methods: Mandibular CBCT images of 139 adults who took the imag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on June, July and August, 2014 were examined. 72 mandibular first molars which have DL root were selected among 278 teeth. Distance from distolingual(DL) root tip to mandibular canal, buccal cortical bone, lingual cortical bone and adjacent distobuccal(DB) root tip and curve direction of DL root were measured.

Results: The average distance to mandibular canal was 8.50mm in male and 6.90mm in female. The average distance to buccal cortical bone was 10.20mm in male and 9.74mm in female. The average distance to lingual cortical bone was 4.31mm in male and 3.75mm in female. The average distance to adjacent DB root tip was 6.96mm in male and 6.33mm in female. Among 72 teeth, 40 had distobuccal curve direction, 3 had distolingual curve direction, 25 had mesiobuccal curve direction, 4 had mesiolingual curve direction.

Conclusions: In case of male, the average distance from DL root tip was generally farther than female. The nearest anatomical structure from DL root tip was lingual cortical bone and DB root tip, mandibular canal and buccal cortical bone were next. Most of RE had buccal curve directi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ich is needed when surgical approach is performed to DL root of R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7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