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하악전돌증 환자 교정을 위한 하악 setback 수술 후 연조직의 변화 : 3D Soft-Tissue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of Mandibular Prognath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준태

Advisor
최진영
Major
치과대학 치의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하악 setback 수술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SSRO)연조직 변화bigonial width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3. 2. 최진영.
Abstract
1. 목 적

이 논문의 목적은 하악 전돌증 환자에 있어서 악교정 수술 후 연조직 변화를 3D 스캐너로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2. 방 법

하악 전돌증을 주소(chief complaint)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해서 악교정 수술을 받은 골격형 Class III 환자들 중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하는 환자 24명을 선택했다.

1) 상악은 LeFort I osteotomy, 하악은 BSSRO(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수술을 받은 환자
2) 수술 전(T0), 수술 직후 1개월 이내(T1), 수술 후 6개월 이후(T2)에 연조직 계측점들을 삼차원 스캐너로 측정한 환자

이렇게 선택한 24명의 환자를 2개의 그룹(group)으로 나누었다. Group I은 상악은 LeFort I osteotomy 하악은 BSSRO 수술을 받은 group이고, group II는 상악 LeFort I osteotomy, 하악 BSSRO, gonial angle reduction 수술을 받은 group이다.

3. 결 과

악교정 수술을 한 group I의 연조직 bigonial width는 T1(수술 후 1개월)에서 bigonial width가 T0에 비해 평균 8.3mm(T0의 약 2%) 증가하였다. T2(수술 6개월 후)에서 group I의 bigonial width는 T0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Group II의 T1에서 bigonial width는 T0와 비교해서 또한 group I의 T1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는데, T0와 비해서 평균 21.6mm 감소하였다. Group II의 T2일 때 bigonial width는 T0에 비해서 평균 32.7mm 감소하였다. 연조직 bigonial width는 하악의 setback량과 무관하였으며, gonial angle reduction 수술을 했을 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상악골과 관련된 연조직 분석을 수행한 결과, nasolabial angle은 상악을 1mm 전진(advancement)시킬 때 약 4.5도 가량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악골의 posterior impaction에 따라 nasolabial angle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문의 시스템에서는 계측점 Nasal ala가 상악 수술의 전진/후퇴에 따라 의미있게 전후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la base width는 수술 후 한달(T1)에서는 평균 1.4mm가 증가하였다가 수술 후 6개월(T2)에서는 0.7mm로 감소하였다. 상순에 존재하는 계측점인 labiale superius는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지만 상악골 1mm 전진/후퇴에 따라 평균 0.38mm가량 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하악과 관련된 계측점인 Labiale inferius, Lower lip bow point, Soft tissue B point (B), Soft tissue pogonion (Pog), Soft tissue menton (Me)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후방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하악의 setback량에 비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코와 관련된 연조직 Pronasale, subnasale 계측점들은 이 논문의 시스템에서는 변하지 않는 점들이었다. lip length는 양악 수술 후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09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