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Prevalence of TMJ Osteoarthritis in Korean TMD Patients : 한국인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발생률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길용

Advisor
이정윤
Major
치과대학 치의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emporomandibular jointtemporomandibular disordersosteoarthritisprevalen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4. 2. 이정윤.
Abstract
측두하악장애는 교합상태, 외상, 정서적 스트레스, 심부통증유입, 이상기능활동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측두하악관절을 이루는 관절과 인대 및 저작근의 생리적 내성을 초과할 때 발생하는 다중요소적 질환이다. 이러한 측두하악장애 가운데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관절내 연골 및 골조직의 변성과 파괴를 특징으로 한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에 대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임상증상만을 포함한 의무기록이나 방사선학적 기록 중 어느 한 자료에 편중하여 수행되어 왔다. 그로 인해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발생 비율이나 그 예후에 관한 신뢰할만한 자료를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충분한 크기의 표본으로부터 임상기록 및 방사선학적 기록을 수집하여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역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한편, 종적 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를 축적하는 일은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병인의 이해와 치료법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학적 자료를 통하여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발생의 역학적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향후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2010년 한 해 동안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 턱관절안면통증 클리닉에 측두하악장애와 관련된 통증 및 기능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한 사람의 측두하악장애 전문의에게 측두하악분석검사를 시행한 환자 10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1038명의 2076개 관절에 대한 자료로부터 CT로 확진된 골관절염 발생의 비율, 골관절염 발생과 연령별, 성별, RDC/TMD 진단 사이의 상관관계를 카이제곱검정과 이원화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환자군에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유병율은 18.11%(1038명 중 188명)이었으며, 여성환자군의 경우 21.05%(741명 중 156명), 남성환자군의 경우 10.77%(297명 중 32명)의 유병율을 보여, 여성환자에게 1.94배(P<0.001) 호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임상검사와 일반방사선사진을 바탕으로 진단한 측두하악장애연구진단기준에 따라 골관절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발생 위험도가 15.79배 높았다(P<0.001).
3. 그러나 연령, 측두하악장애연구진단기준에 따른 근육통 유무 및 관절원판 변위 유무는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발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근육통이나 관절잡음이 있다고 해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발생의 위험도가 높다고 할 수 없다는 점을 의미하고,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이 중년 이후에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일반적인 골관절염의 경우와 다른 발생 양상을 보이며, 이는 골관절염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인 기능적 부하와 생리적 내성간의 불균형이 측두하악관절의 독특한 조직 및 기능해부학적 특징과 함께 다른 관절과는 다른 방식으로 발생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특히 성장기의 어린 연령에서 비교적 높은 발생율을 보이는 점은 골파괴가 악골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에 대한 조기진단, 조기치료 및 골파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 기술의 개발을 위한 보다 심도 있고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Osteoarthritis(OA) is a progressive joint disease characterized by an imbalance of articular cartilage biosynthesis and degradation attributed to both inflammatory and biomechanical factors. In temporomandibular joint(TMJ), OA is also an age-related disease like other joints. And some epidemiological researches have established higher prevalence of TMJ disease and temporomandibular pain in females than mal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TMJ OA in Korean TMD patients based on computed tomographs(CT) images to provide the epidemic characteristics of TMJ OA.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clinical records and radiographs taken of 1,038 patients(297 male and 741 female, mean age 31.1 ± 17.4 years and 34.0 ± 16.2 years, respectively) who visited a clinician, associate professor Jeongyun Lee at the TMJ & Orofacial Pain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their TMD symptoms examined in 2010. The plain radiograghs include orthopantomogram, TMJ orthopantomogram, and transcranial radiographs, which were routinely taken in the TMD diagnostic procedure and CT, which was taken to verification of TMJ osteoarthrit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MJ OA is 18.11%(188 patients in 1038 patients). The prevalence of TMJ OA in female patients is 21.05%(156 patients in 741 patients), 1.94 times(P<0.001) higher odds than that in male patients(10.77%, 32 patients in 297 patients), and relatively high in young adult, in their third decade.
2. The positive TMJ OA patients group according to RDC/TMD including plain radiograghs has 15.79 times(P<0.001) higher odds than the negative group.
3. However, the prevalence of TMJ OA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in both genders. Likewise, the prevalence of TMJ OA h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sent of pain and the disc displacement diagnosed by only clinical examination based on the RDC/TMD.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TMJ OA in TMD patients is higher in female than male, and there is no correlations between the prevalence of TMJ OA in TMD patients and age unlikely the other joints. Furthermore, the prevalence of TMJ OA in TMD patients has no relationships with the clinical signs like pain and disc displacement.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TMJ OA differs from those of other joints, and a more extensive study based on the general population is necessar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0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