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hape and location of calcified carotid atheroma on panoramic radiographs compared with CT images : 전산화단층영상에서 관찰된 경동맥석회화의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의 형태와 위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민석-
dc.contributor.author박해랑-
dc.date.accessioned2017-07-19T08:33:27Z-
dc.date.available2017-07-19T08:33:27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376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110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2. 8. 허민석.-
dc.description.abstract1. 목 적
경동맥석회화 진단을 위한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진단 기준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부족하였다. 이에 CT영상에서 확인한 경동맥석회화를 대상으로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는 경동맥석회화의 위치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2. 방 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하여 전산화단층촬영(CT)과 파노라마방사선촬영을 모두 시행한 55세 이상 환자 3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 명의 구강악안면방사선학 전공자가 CT영상을 판독하고, CT영상을 참고하여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경동맥 석회화를 진단하였다. CT영상에서 관찰되는 경동맥석회화는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는 것과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는 경동맥석회화의 형태를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고, 설골, 경추, 하악각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평가하였다.
3. 결 과
연구대상 342명 중 143명의 환자의 CT영상에서 총 223례의 경동맥석회화가 관찰되었으며, 이 중 82명의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총 114례의 경동맥석회화가 관찰되었다. CT영상에서 관찰되는 경동맥석회화 증례를 위치별로 분류하면 경동맥석회화가 총경동맥에만 위치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 중 30%만이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었다. 경동맥석회화가 내경동맥에만 위치한 경우는 그 40%가 외경동맥에만 위치한 경우는 그 50%가 파노라마영상에서 관찰되었으며 총경동맥, 내경동맥, 외경동맥 모두에 위치한 경우는 70%가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었다. CT영상에서 관찰되는 경동맥석회화 증례 중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지 않는 경우는 관찰되는 경우에 비해 최대 CT값과 크기가 유의하게 작았으며 수직 위치 분포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는 경동맥석회화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다수의 플라크 형태가 38례(33.3%)로 가장 많았으며, 한 개의 플라크 형태, 무정형, 관형, 선형, 타원형 순으로 관찰되었다. 경추를 기준으로 한 경동맥석회화의 위치는 3번 경추에 인접한 경우가 49례(43.0%)로 가장 많았으며, 3, 4번 경추 사이에 인접한 경우가 40례(35.1%)로 뒤를 이었다. 설골의 대각 부위를 기준으로 한 경동맥석회화의 위치는, 상하로는 상방에서 관찰되는 경우가 46례(40.4%)례로 가장 많았으며, 내외측으로는 동일 선상에서 관찰되는 경우가 67례(58.8%)였다. 하악각 부위를 기준으로 한 경동맥석회화의 위치는 내측이 7례(6.1%), 동일 선상인 경우가 16례(14.0%), 외측이 91례(79.9%)로 관찰되었다.
4. 결 론
CT영상에서 경동맥석회화가 관찰되더라도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관찰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경동맥석회화는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고, 플라크 형태가 가장 많았다. 위치를 분석하였을 때 수직적으로는 설골의 상방, 경추의 3번에 인접하여 주로 관찰되었으며, 수평적으로는 하악각의 외측, 설골 대각 부위와 같은 위치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
dc.description.abstract1. Objectives
A number of reports have suggested that panoramic radiography might be useful to aid in detecting calcified carotid atheroma (CCA). The shape and location of calcified carotid atheroma on panoramic radiographs were described by many authors, based on the experimental knowledge, but there has been no report present objective evidenc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evaluation of the location and shape of CCA on panoramic radiograph. Computed tomographic (CT) images were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2. Materials and Methods
The CT images of 342 patients (124 men, 218 women: average age 66.9 years, range 55-95 year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1 were reviewed by a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patients were also reviewed to detect CCAs with aid of the corresponding CT images. The correlation of radiographic findings between CT images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evaluated. The shape of the CCAs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were allocated to one of 6 types such as single plaque-like, multiple plaque-like, tubular, oval, linear and amorphous type. The relative position to hyoid bone, cervical vertebra, and mandibular angle were evaluated on panoramic radiographs.

3. Results
The 223 sides of 143 patients were diagnosed from CT images as having CCAs and the 114 sides of 82 patients were diagnosed from panoramic radiographs also. The most common location on the CT images was common carotid artery only (75 sides), but 33.3% of them were also detected on panoramic radiographs. Meanwhile, 14 sides of CCAs were detected on the CT images at the common, internal, external carotid artery simultaneously, and 70% of them were also detected on panoramic radiographs. The detection of CCAs on panoramic radiograph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ximum Hounsfield unit value on CT images, the maximum diameter, the number of cuts and vertical location on CT images.
Regarding the shape of CCAs on the panoramic radiographs, the multiple plaque-like type was most common, followed by single plaque-like, amorphous, tubular, linear and the oval type was least.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CCAs relative to cervical vertebra was at the level of C3 (43.0%) and followed by the level of intervertebral space C3-4 (35.1%). Regarding the location relative to the tip of greater horn of hyoid bone, CCAs were located at the superior to the tip in 50% vertically and the same level of the tip in 58.8% horizontally. Regarding the location relative to the mandibular angle horizontally, CCAs were located medially in 6.1% medially, 14.0% at the same level, and 79.9% laterally.

4. Conclusion
Although the shape of calcified atheroma on panoramic radiographs varied, the Plaque-like type was most common.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he CCAs was at the level of C3 and superior to the tip of greater horn of hyoid bone vertically and same level of the tip of greater horn of hyoid bone, posterior of mandibular angle horizontall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ontents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Ⅵ. References
국문초록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023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Atherosclerosis-
dc.subjectCarotid artery-
dc.subjectPanoramic radiography-
dc.subjectComputed tomography-
dc.subjectVascular calcification-
dc.subject.ddc617-
dc.titleShape and location of calcified carotid atheroma on panoramic radiographs compared with CT images-
dc.title.alternative전산화단층영상에서 관찰된 경동맥석회화의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의 형태와 위치-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e-Rang Par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xxxii, 32-
dc.contributor.affiliation치과대학 치의과학과-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