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탈단백 우골을 이용한 측방 접근 상악동 거상술의 5년 방사선 추적 관찰 : A 5-year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ith lateral window approach using deproteinized bovine bone graf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진

Advisor
허성주
Major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Height change of bone graftResidual alveolar ridg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3. 8. 허성주.
Abstract
1. 연구목적
상악 구치부의 골밀도는 하악 전치부의 골밀도의 5~10분의 1에 해당하는 빈약한 골질을 보이며, 피질골이 거의 없거나 얇고 대부분이 망상골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치아가 상실된 후 잔존 치조제의 위축과 상악동 함기화(pneumatization)로 인하여, 임프란트 식립에 제한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상악동 거상술은 이런 상악 구치부의 해부학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으로 추천되는 시술이다. 상악동 거상술과 임프란트 생존률, 성공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다수 있지만 상악동 내에 이식된 골대체제의 높이나 부피 변화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학적 계측을 통하여 상악동 거상술 및 골 이식술 후 이식재의 높이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고찰하는 것이다.

2.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7년 10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측방 접근법으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임프란트 식립을 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상악동 골이식술을 시행한 환자의 수술직후(T0), 1년(T1), 2년(T2), 3년(T3), 5년(T4) 경과 시에 촬영된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하였다.
네 개의 측정 지점을 이용하여 방사선 사진 분석을 시행하였다. 네 지점은 다음과 같다. 수복한 각각 임플란트 플랫폼 원심부에서의 상악동 높이(L1), 식립된 다수 임플란트의 중간 위치에서의 상악동 높이(L2), 최후방 임플란트의 3mm 원심에서의 상악동 높이(L3), 술 전 남아있던 치조제 높이의 최저값(L0).
상악 구치부의 증가된 잔존 치조골의 높이를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량과 측정 위치, 임프란트 동시 혹은 지연 식립 여부, 임플란트 표면 특성, 지대주와의 연결 방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3. 결과
술 전 상악골의 평균 높이는 3.19 ± 1.25mm이었고, 상악동 골이식술 직후 평균 높이는 증가량은 17.85 ± 2.46mm이었으며 골이식술 5년 후 높이 감소량의 평균은 2.20mm로 12.3%의 감소율을 보였다. 각 기간 및 모든 측정위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이식재 높이의 감소를 보였다(p<0.001). 초기 1년 기간 동안의 감소량이 1.25mm으로 반 이상(56.8%)의 흡수가 이 기간에 나타났다. 임플란트 지연 식립시에 동시 식립 보다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첫 일년 기간에 유의하게 많았으나 (p<0.05) 장기적인 차이는 없었다. 술 전 잔존치조제의 높이와 이식재의 높이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임플란트 표면 특성, 지대주와의 연결 방식에 따른 이식재의 감소율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Objectives.
The posterior maxilla is composed of mostly cancellous bone and little cortical bone, and the bone density of posterior maxilla is 5~10 times lower than that of anterior mandible. And implant installation in posterior maxilla is often restricted by the resorption of alveolar ridge and the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is a recommended procedure to overcome these anatomical limitations.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showed survival or success rates of implants with sinus floor elevation, long-term volume or height changes of grafted maxillary sinus had rarely been investiga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height changes in 5 year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using deproteinized bovine bone grafts by radiographic measuring and to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se chang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ere included. Panoramic radiographs in each patient were taken and inspected during 5-year period: preoperatively, at the time o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T0), 1 year after elevation (T1), 2 years after elevation (T2), 3 years after elevation (T3) and 5 years after elevation (T4). Bone heigh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four locations: at the most distal point of the implant platform (L1), at the halfway between implants (L2), at the 3mm distal point from the most posterior implant (L3) and the initial lowest residual bone height preoperatively (L0). The changes of augmented alveolar bone heights were traced and evalua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whether factors such as locations, residual bone height, the timing of implant placement,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implants and the connection types between fixtures and abutments had an effect on these changes.

Results.
The mean initial bone height was 3.19 ± 1.25 mm and the mean augmented bone height was 17.85 ± 2.46 mm after sinus floor elevation. The mean decrease of height in 5 years was 2.20 mm (12.3%). Repeated measures ANOVA showed that at all three locations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of bone height in time (P < 0.001) and a greater reduction (1.25 mm) was present in the first period than any other three periods. Delayed implan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esorption in the first year than simultaneous implantation group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fterwards. However, the factors such as locations, residual bone height,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implants and the connection types between fixtures and abutm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se chang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1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