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숙종 대 관상감의 시헌력 학습: 을유년 역서 사건과 그에 대한 관상감의 대응을 중심으로 : Kwansanggam's 觀象監 Learning of Shixian li in King Sukchong's Reign: Focusing on the Ŭryu-year 乙酉年 Calendar Affair and the Response of Chosŏn astronomers toward i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슬기

Advisor
임종태
Major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을유년 역서 사건시헌력관상감현상신법세초류휘허원최석정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2016. 2. 임종태.
Abstract
본 연구는 을유년 역서 사건을 중심 사례로 하여 18세기 초 조선 천문학의 발전이 단지 정치·외교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역법 지식을 학습하려 했던 관상감과 그들을 후원했던 양반 관료들에 의해 17세기 후반부터 준비되었던 사업으로서 관상감과 이들을 후원한 양반 관료들이 을유년 역서 사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관상감의 천문학 운용 능력을 개선했음을 보이고자 했다.
효종 4년(1653) 조선은 청나라의 개력을 좇아 시헌력으로 개력했지만 이 새로운 역법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 관상감은 시헌력에 따른 일월식 계산이나 칠정력을 편찬 하지 못했고, 시각법 또한 이전의 대통력에 따라 운용했던 것이다. 시헌력을 배우기 위해 효종 5년(1654) 천문학자 김상범(金尙範, ?-1655)이 북경에 파견되었으나 학습에 실패했고, 역법 학습에 대한 조정의 지원이 단절되면서 관상감의 시헌력 운용 능력은 18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효종 대 개력 당시의 불완전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역법 학습의 공백기가 이어진 17세기 후반 동안 관상감은 혼천의 보수와 같은 천문학 사업에 집중했는데, 중인 천문학자들뿐만 아니라 남구만(南九萬, 1629-1711), 최석정(崔錫鼎, 1646-1715) 같은 서양 천문학에 우호적이었던 양반 관료들도 이에 참여했다. 이들은 젊고 똑똑한 천문학자들을 모아 역법 학습 모임을 조직·운영하는 등 시헌력 학습을 위한 학문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관상감의 천문학 운용 실력을 개선시킬 준비를 했다.
숙종 30년(1704) 12월, 이듬해 조선과 청나라의 역서가 월의 대소 및 절기 날짜에서 차이를 보인 을유년 역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역서를 계산했던 관원들이 처벌 받았고 관상감은 그들의 전문적 능력에 대한 조정의 비판을 받았다. 약 6개월 뒤 관상감은 그들이 역서 계산에 참고한 문자책의 연근 값이 잘못 인쇄되어 있었기 때문에 을유년 역서 사건이 발생한 것이라고 해명하면서 산법을 잘 다루는 천문학자를 북경에 파견함으로써 이 문제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숙종 31년(1705) 동지사에 천문학자 허원(許遠, 1662-?)이 참여하게 되었다.
당시 허원은 문자책 진본을 구하기 위해 북경에 파견되었으나 애초의 목적을 넘어서 흠천감 관원 하군석(何君錫, 1643-1714)에게 일월오성초면추보법(日月五星初面推步法)을 배우고 돌아왔다. 이로써 관상감은 개력 후 반세기 만인 숙종 32년(1706) 드디어 시헌칠정력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허원은 조선에 귀국한 이후에도 하군석과 서신을 왕래하며 시헌력을 꾸준히 학습했고, 두 번째 파견에서는 다양한 천문학 서책들을 구입하여 관상감의 천문학 운용 수준을 더욱 발전시켰다.
숙종 36년(1710) 허원은 ??현상신법세초류휘(玄象新法細草類彙)??를 저술하여 그때까지 학습한 시헌력 지식을 정리했다. 그는 이 책을 역법을 직접 계산했던 천문학자들이 맞닥뜨린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계산에 필요한 핵심 알고리듬을 간략하게 수록했다. 이후 관상감은 숙종 39년(1713) 조선에 방문한 오관사력 하국주(何國柱, ?-?)를 통해 시헌중성법(時憲中星法) 등의 지식을 배우는 등 ??세초류휘??의 부족한 부분을 차츰 보완해 나갔다. 시헌중성법에 대한 학습은 조선의 시각 제도를 개편하려는 시도로까지 이어졌다. 관상감은 숙종 40년(1714) 중성 계산에 필요한 자료들을 쉽게 참고할 수 있는 형태로 간행하고, 4년 뒤인 숙종 44년(1718) 실제 시각을 관리한 주시관(奏時官)들에게 시헌중성법을 교육시켰다. 당시 시헌력 체제에 따른 시각 제도를 확립하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이는 관상감이 조선의 시각 제도를 개정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음을 시사한다.
This thesis examines how Chosŏns understanding of calendrical science improved in the early 18th century, focusing on the ŭryu-year calendar affair and how Kwansanggam astronomers dealt with it. This study argues that improvement could be made because there had already been a preparation in the late 17th century, made by Kwansanggam astronomers who desired to learn the way to calculate Shixian li from Qing and by a few yangban 兩班 officials who believed western calendrical knowledge was accurate.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astronomers and the yangban officials made use of the ŭryu-year calendar affair so as to make their calendrical astronomy better.
In 1653, despite of a calendar reform to the Shixian li, Kwansanggam astronomers barely understood its principle. They could not calculate the solar and lunar eclipses, the ephemeris, and the time system according to the Shixian lifa 時憲曆法 at all. The ability of making calendar was never the better, although they sent an astronomer Kim Sangbŏm 金尙範 (?-1665) to Beijing to learn Qings calendrical knowledge in 1654. Moreover, Chosŏn court even cut off the support for learning of Shixian lifa, and due to this astronomers could not make calendar exactly,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Kwansanggam concentrated their efforts mostly on the project of mending armilary spheres. Not only astronomers but also yangban officials, such as Nam Kuman 南九萬 (1629-1711) and Choe Sŏkchŏng 崔錫鼎 (1646-1715) took part in this project, and it led those yangban officials to realize Kwansanggams poor situation, which they would make efforts to improve. While Nam and Choe gathered a group of young and smart astronomers and had them study calendrical astronomy, they also lay a systematic foundation to learn Shixian lifa.
In the 12th month of 1704, the ŭryu-year calendar affair that the Chosŏns calendar had discrepancies with Qings in the length of months and the timing of the 24 fortnight periods occurred. Those astronomers who computed the calendar were punished, and Kwansanggam was also accused of their incapability. After 6 months later, while Kwansanggam elucidated that th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book of table (文字冊) which printed a wrong number only for the ŭryu-year, they asserted the incorrect book of table could be rectified by dispatching an astronomer Hŏ Won 許遠 (1662-?) to Beijing.
Even though Hŏ Won was sent to Beijing to solve the book of table problem at first, he learned the elementary way to calculate the Shixian ephemeris through a Chinese astronomer named He Junxi 何君錫 (1643-1714). Thus Chosŏn astronomers was finally able to publish the Shixian ephemeris in 1706. After returning to Chosŏn, Hŏ Won was in correspondence with He Junxi to study Qing calendrical astronomy, and he bought many astronomical books in his second visit to Beijing. Therefore, Chosŏn astronomers could gradually improve their skills.
In 1710, Hŏ Won compiled the calendrical manual, the Classified Compilation of Calculation Manuals according to the New Calendrical System (Hyŏnsang sinbŏp secho ryuhwi 玄象新法細草類彙), with information or knowledge hitherto learned from books and especially from He Junxi. He composed this concise book of the Shixian li algorithms, for astronomers were able to refer it in making the Shixian calendars. Some deficient parts of the book, like the method of meridian stars according to the Shixian lifa, were supplemented henceforward by Hŏ Won. Once Hŏ Won learned the method of meridian stars, Kwansanggam tried to revise the time system by using it. They published Yixiang zhi 儀象志, which was an integral to the meridian stars computation, in 1714, and then instructed the method of meridian stars to the men who were in charged of time signal in 1718. Although the time system was not adjusted right away to the new method, it still testified to the fact that the Chosŏn astronomers were capable of revising the time system at that tim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2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