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Writing as Righting : Human Rights, Arendtian Action and North Korean Refugee Life Writings : 탈북난민 수기 읽기: 인권, 그리고 아렌트의 행위 개념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민주

Advisor
Eli Park Sorensen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human rightsHannah Arendtactionlife writingKang Chol-hwanShin Dong-hyuk탈북자인권아렌트행위수기강철환신동혁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15. 2. Eli Park Sorensen.
Abstract
본 논문은 두 탈북자 강철환과 신동혁의 수기를 대상으로, 인권—즉 인간(人)으로서의 인문학적, 그리고 권리(權)로서의 정치적 독해를 통해 탈북난민 수기의 가치를 조명한다. 인권의 논의에는 한나 아렌트의 근대적 인권사상에 대한 비판과 인간의 근본 활동으로서의 행위(action) 개념을 그 이론적 토대로 삼는다. 본 논문은 강철환과 신동혁의 글쓰기가 담지하는 복잡성과 다성성에 주목하여, 이들의 수기가 드러내는 탈북난민자이자 서술된 대상으로서의 자아 및 저자 혹은 증언자임에도 때로 다른 정치적 힘에 포획된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목소리들을 추적한다.
목소리내기, 혹은 정치행위를 통한 개성적 인격의 현시를 진정 인간적인 것이라 하였던 아렌트적 관점에서 조명하여 볼 때, 강철환과 신동혁의 탈북 수기는 독재 전체주의 정권 하에서나 민주주의의 자유세계 그 어디에서도 스스로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상황을 묘사함으로써 탈북난민의 수기는 끔찍한 지옥으로부터의 탈주와 그로 인한 인권회복의 단순한 이동서사라는 일반적인 이해에 저항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탈북난민 수기가 회고록으로서의 장르적 위치에 더하여 폐쇄국가이자 정치 및 이념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북한을 주제로 한다는 점에 있어, 자신의 진실성을 끊임없이 변론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짐을 지적한다. 이때의 진실성 문제는 정치적 무관성, 증언의 사실성, 그리고 저자로서의 주체성의 세 가지 갈래를 통해 탐색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강철환과 신동혁의 탈북 수기는 평면적인 탈주기억의 회고록에서 나아가 자신의 목소리 찾기/내기를 찾아가는 과정을 기록한다는 점, 또 이 서사 행위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존재로서의 개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아렌트의 행위를 구성한다고 본다.

주요어: 탈북자, 인권, 아렌트, 행위, 수기, 강철환, 신동혁
The purpose of my dissertation is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North Korean refugee life writings, particularly the narratives by Kang, Chol-hwan and Shin, Dong-hyuk, in the light of human rights discourse—both in the context of humanities (human) and politics (rights). Suggesting Hannah Arendts idea of action, I investigate how the narratives of Kang and Shin reveal that they are complex and multilayered texts that resist any simple, straightforward reading that labels them as a journey of escape from hell to the world of freedom. I give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olitical status of refugee writers, first as a refugee or a narrated self in and out of North Korea and its prison camps, and then as a narrator or an author who sometimes firmly claims his rights and sometimes seems to be exploited by other political agencies.
I argue that the narratives, which at first seemed to be plain descrip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that embrace uncritically the modern notion of human rights, actually problematize it by revealing that neither the totalitarian state nor the world of freedom have seen its true realization. The continued frustration and confusion in Kang and Shins attempt to have their voice heard, I contend, is an articulation of Arendtian revision to the common perception of the notion of human rights. Moreover, following the threefold challenge of truthfulness that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face—political innocence, factual accuracy, and the subjectivity of the narrator—I argue that the given texts which shows anxiety, ambivalence and contradiction in their testimonies, are escaping not only from the totalitarian state, but also from the competing voices of the democratic free world. Reminding Arendtian idea of action—i.e. an individual with personality that acquires the meaningfulness of their existence amongst men, which I suggest as an alternative to the common reception of human rights, I contend Kang and Shins act of writing itself, which records the narrators progress of acquisition of his or own voice in the form of storytelling, become action—hence writing as righting.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 human rights, Hannah Arendt, action, life writing, Kang Chol-hwan, Shin Dong-hyuk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7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