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체화된 시뮬레이션을 통한 관객의 공감 연구 : A study of audience empathy through embodied simul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정은

Advisor
박현섭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감감정이입체화된 시뮬레이션관객의 몸관객성인지적 기능으로서의 관객 공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13. 8. 박현섭.
Abstract
본고는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embodied simulation theory)이라는 인지론적 관점을 통하여 관객의 공감(empathy)을 고찰한 논문이다. 인지론적 시각의 도입 이후 공연이론에서도 공감은 인지적 기능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으나 아직 구체적인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적 기능으로서의 관객 공감을 고찰하고,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을 통하여 관객 공감의 즉각적이고 경험적인 측면을 규명하려 하였다. 더 나아가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의 틀만을 피상적으로 빌려오는 것이 아니라 실증적인 연구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이를 관객 공감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공연이론에서의 공감과 인지론에서의 공감을 검토한 후 공감에 대한 통합적 시각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통적인 공연이론에서 공감은 관객의 배우/등장인물 동일시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관객이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을 이해한 뒤 다다르는 결과물로 받아들여졌다. 이와 달리 인지론에서는 공감 개념을 세분화하여, 공감을 정서적 공감과 관점 수용이라는 두 축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공감은 타인의 느낌과 정서라는 감정적 차원에 한정되며, 개인은 자신의 심적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인의 관점을 경험한다. 현대에 이르러 공감은 공연이론에서도 인지적 기능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공감을 의식적인 과정으로만 상정하고 유사개념과 공감을 혼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을 통한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3장에서는 체화된 시뮬레이션으로서의 공감을 검토하였다. 심리학을 비롯한 인지론에서는 우리가 타인의 마음을 어떻게 아는지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이론을 제시한다. 마음이론과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론은 상호보완적이며, 각각 하향 처리와 상향 처리 중 어디에 주안점을 두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이 중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은 공연이론에 적용될 때 관객 공감의 즉각적이고 자동적인 측면을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각광받게 되었다. 시뮬레이션 이론에서 출발한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은 거울 뉴런 체계의 발견을 통하여 형성되었다.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에 따르면, 타인의 행위와 정서는 우리 자신의 감각-운동 체계 속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경험된다.
4장에서는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을 통한 공감 이해가 현대 연극 담론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논의하였다. 감각-운동 체계의 밑바탕에 깔려있는 관객의 몸은 이제 공감의 핵심 요소로 조명된다.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이 상정하는 공감의 기반으로서의 몸과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관객은 현대 연극 담론과 공통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현대 연극 담론에서는 이 요소들을 현대 연극에 이르러 새롭게 등장한 개념으로 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연극의 오랜 역사에 따른 변화 양상에 집중한 공연이론과 처음부터 공감을 기초적 과정으로 전제한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은 비록 과정은 달랐으나 동일한 결론에 다다른다.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을 통한 접근은 공연 이론 체계 사이의 매끄러운 연결, 아이러니의 즉각적 이해, 포스트드라마에 대한 관객 공감을 설명한다.
체화된 시뮬레이션 이론의 연구 결과들이 입증하듯이, 관객의 공감은 기존 공연이론에서 집중했던 기호 해석과 의식적인 이해에 앞서 몸에 기반한 경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감의 기초적인 차원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공감의 지각적 상향 과정과 인지적 하향 과정의 통합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audience empathy from a cognitive viewpoint, an approach that can be termed embodied simulation theory. Empathy in performance studies has been considered the result of conscious understanding, and therefore,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studies about the fundamental level of audience empathy although the cognitive perspectives had been introduced.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immediate and experimental aspects of audience empathy using embodied simulation theory. Furthermore, not adopting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embodied simulation theory but examining detailed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tries to apply the examined results to audience empathy empirically.
Chapter 2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empathy because both empathy in performance studies and empathy in cognitive studies are examined. In classical performance studies, theatre theorists deem that empathy is caused by a viewer identifying with the actor/character. That is, they accept empathy as the result of a viewer understanding a characters situation. Bertolt Brecht argued that the spectators rational judgment could be hindered by empathy. In cognitive theories, the concepts of empathy are subdivided into two parts – emotional empathy and perspective taking. From this point of view, empathy is limited to affective aspects which are another persons feeling and emotion only, and the individual experiences the others perspective while maintaining his/her own perspective. In the present day, empathy in performance studies is also considered a cognitive ability. However, there are problems with regarding empathy as a conscious process only, and there is confusion between empathy and similar concept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embodied simulation approach is required.
Thus, Chapter 3 explores empathy as an embodied simulation. In cognitive theories, including psychology, two major theories are suggested concerning how we know the minds of others – theory of mind and embodied simulation theory. Both theories are complementary. The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ocus on top-down or bottom-up processing. Of the two, embodied simulation theory began to draw attention because it could explain the immediate and automatic level of empathy when applied to performance studies. Embodied simulation theory which stem from simulation theory is drawn from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 system. According to embodied simulation theory, the action and emotions of others are experienced directly through our simulations in our own sensory-motor system.
Chapter 4 argu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empathy through embodied simulation and discourses of contemporary theatre. Each audience member's body, which is the basis of the sensory-motor system, sheds light as a key component of empathy. The body as the foundation of empathy and the direct-experiencing audience are overlapped between the perspective of embodied simulation and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theatre. However, in discourses of contemporary theatre, theatre theorists consider that these new ideas only occur in contemporary theatre. This consideration marks the difference between embodied simulation theory and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theatre. Performance theory, focusing on the aspect of transition following a long history of theatre, and embodied simulation theory, presupposing empathy as fundamental process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field, are two theories reaching the same conclusion, although each process is different. The embodied simulation approach explains the smooth connection among systems in performance studies, the immediate understanding of irony, and the audience's empathy aroused by postdramatic theatre.
A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of research on embodied simulation theory, audience empathy is accomplished by experiencing with the body, prior to the interpretation of symbols and the conscious understanding. In addition to comprehension of the fundamental level of empathy, attempts to integrate a perceptional bottom-up process and cognitive top-down process of empathy are examin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7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