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창작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고찰 -<김종욱 찾기>, <총각네야채가게>, <투란도트>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설화

Advisor
오희숙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 창작뮤지컬한류동아시아창작뮤지컬창작뮤지컬창작뮤지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연예술학전공, 2017. 2. 오희숙.
Abstract
최근 중국에서는 한류의 영향과 특유의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한국의 창작뮤지컬이 활발히 수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에 수용된 한국 뮤지컬 중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준 세 편의 창작뮤지컬을 대상으로 한국창작뮤지컬의 중국내 수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가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두 편의 소극장 창작뮤지컬과 한 편의 대극장 창작뮤지컬이다. 특히 소극장 창작뮤지컬 와 는 한국 작품으로서는 최초로 논-레플리카 방식으로 중국에 수용된 작품이며, 중국 내에서 소극장 뮤지컬로서는 처음으로 장기적인 공연형식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형 창작뮤지컬 는 한국 창작뮤지컬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뮤지컬 페스티벌에서 대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초정공연 형식으로 지속적으로 공연되는 작품이다.
본고는 중국의 뮤지컬 수용 역사 및 한국 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세 편의 한국 창작뮤지컬의 작품 구성 및 줄거리, 서사적 특성, 음악적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이어 이 작품들이 중국 내에 수용될 때 어떻게 변화했는지 논의하고, 이 작품들이 중국 내에서 성공적으로 수용된 원인을 탐구하였다. 더 나아가 이 세 작품을 바탕으로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 뮤지컬의 발전에 미친 영향 및 한국 창작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이 갖는 의의를 고찰하였다.
논의를 통해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에 성공적으로 수용된 까닭을 외적 요인과 작품 내적 요인으로 나눠 정리할 수 있었다. 최근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새로운 문화예술 콘텐츠를 원하는 새로운 대중이 부상하고 있다. 이런 환경 아래에서 다양한 서양 뮤지컬들이 중국에 소개되고 있으며 자국의 창작뮤지컬 제작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서양 뮤지컬 수용의 경우 중체서용과 토착화 논리를 기반으로 하는 탓에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창작뮤지컬의 경우에도 다양한 측면에서 비판이 잇따르며 변화한 중국 대중의 취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추세다.
반면 한류 및 한국 대중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 창작뮤지컬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중국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라는 강점이 있다. 또한 한국 뮤지컬은 단순히 서양 뮤지컬의 대체물이 아닌 한국 뮤지컬만의 특징을 발전시켜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내 새로운 뮤지컬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런 측면들은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 대중에게 큰 호응을 이끌어 내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더 나아가 본고에서 분석한 세 편의 한국 창작뮤지컬이 성공적인 중국 진출사례를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대본과 음악 등의 작품 내적인 측면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였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런 모습은 초창기 한류 콘텐츠의 일환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던 수많은 한국 창작뮤지컬들이 큰 관심을 받지 못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7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