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Korean College EFL Students' Use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신우

Advisor
박용예
Major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담화표지 기능한국 대학생영어 토론망설임 표지담화 화용적 관점discourse marker functionsKorean college EFL studentsEnglish discussionshesitation markers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2014. 8. 박용예.
Abstract
국문 초록

Korean College EFL Students' Use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남 신 우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담화표지 (English discourse markers) 사용을 담화 화용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담화표지를 적절하게 구사하는 것은 구어 영어 (spoken English)의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비원어민들 (non-native speakers)이 영어를 유창하게 말하기 위해 배워야 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화용론적 연구 분야에서 비원어민들의 영어 담화표지 사용에 관한 연구는 원어민들 (native speakers)의 그것에 비해 비교적 연구가 덜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원어민인 한국 대학생들이 영어 토론 중 얼마나 자주 담화표지를 사용하고 어떠한 기능으로 그들을 사용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두 가지 출처에서 비롯된다. 첫 번째 자료는 비원어민인 한국 대학생들이 수강하는 교양영어 수업의 기말시험을 음성 녹음한 자료이다. 각 수업은 TEPS 시험 성적 700점에서 799점 사이의 중급 영어 수준의 한국 학생들로 이루어졌으며, 녹음된 자료는 두 명의 학생들이 주어진 주제에 관해 5분간 영어로 토론을 진행하는 기말고사를 녹음한 것이다. 한국 학생들 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MICASE (Michigan Corpus of Academic Spoken English)에서 차용된 원어민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자료는 18명의 원어민 대학생들의 수업 토론을 녹음한 것이다. 녹음된 두 자료는 모두 대화분석 (Conversation Analysis)의 전사방법에 따라 전사되었다.
우선 17개의 담화표지들 (well, I mean, you know, now, kind of, like, but, and, so, or, oh, then, yeah, also, because, I think, actually)을 선택한 후 그들의 빈도를 살펴보았다. 선택된 담화표지들은 빈도수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어졌는데, 이 가운데 첫 번째 그룹은 해당 담화표지들 중 한국 학생들에 비해 원어민들이 훨씬 더 빈번하게 사용한 표지들을 포함한다. 담화표지 well, I mean, you know, now, kind of, like가 이 그룹에 속한다. 이 그룹의 표지들이 원어민들의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형적인 담화표지들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한국 학생들이 해당 표지들을 훨씬 덜 빈번하게 사용한다는 것은 이들이 원어민들의 자연스러운 구어 담화 (spoken discourse)로부터 노출이 부족했다는 점을 반영한다. 이 그룹에서 well, you know, like를 선택하여 이 표지들의 몇몇 기능들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두 번째 그룹은 원어민들과 한국 학생들이 빈도수에 있어서 비교적 비슷하게 사용한 담화표지들을 포함한다. 담화표지 but, and, so, or, oh, then이 이 그룹에 속하는데, 해당 표지들은 대부분 접속사들 (conjunctions)이거나 한국 학생들에게 익숙한 단어들이다. 이것이 원어민들과 한국 학생들의 해당 표지들 사용 빈도수가 비슷한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 그룹의 표지들 중 so의 몇몇 기능들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마지막 그룹은 원어민들에 비해 한국 학생들이 훨씬 더 빈번하게 사용한 표지들을 포함한다. 담화표지 yeah, also, because, I think, actually가 이 그룹에 속하는데, 해당 표지들 역시 한국 학생들에게 친숙한 단어들이다. 한국 학생들이 이 친숙한 단어들을 익숙하지 않은 다른 적절한 표지들을 대신하여 사용한다고 추정해 볼 때, 한국 학생들이 해당 표지들을 훨씬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향은 이들이 해당 담화표지들을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아는 관리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반영한다. 이 그룹에서 yeah, I think, actually를 선택하여 이 표지들의 몇몇 기능들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발견한 흥미로운 사실은 한국 학생들이 actually를 제외한 모든 해당 담화표지들을 망설임 표지 (hesitation marker) 기능으로써 사용했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논문은 비원어민들의 영어 담화표지 사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한국 학생들이 특정한 담화표지들을 어떠한 이유에서 원어민들보다 훨씬 덜, 혹은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학생들이 그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담화표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구어 영어의 모든 요소들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보다 자발적인 환경에서 영어를 배워야 한다는 교육적 함의를 갖는다.


주요어: 담화표지 기능, 한국 대학생, 영어 토론, 망설임 표지, 담화 화용적 관점

학번: 2007-22683
ABSTRACT

Korean College EFL Students' Use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Nam, Shin-Wo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by Korean college EFL students from a 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 A good command of employing discourse markers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spoken English, and therefore very important to be learned for non-native speakers to speak English fluently. However, the study of the use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by non-native speakers is relatively unexplored as of yet in pragmatic research compared to those by native speakers. Thus,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on analyzing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Korean college EFL students to see how often they use discourse markers and within which functions they use them in English discussions.
The data for this study come from two sources. The data for non-native speakers consist of audio-recordings of Korean college EFL class finals, where each pair of students in intermediate level had discussions on a given topic for five minutes. Next, to compare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Korean students, the data for native speakers, adopted from MICASE (Michigan Corpus of Academic Spoken English), are also used. Here, the data come from a class discussion by 18 native college students. All these data are transcribed following the Conversation Analysis conventions.
For the analysis, first, 17 discourse markers well, I mean, you know, now, kind of, like, but, and, so, or, oh, then, yeah, also, because, I think and actually were selected from the transcribed data, and their distribution was examined. Then, the discourse mark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frequency. The first group is for the markers that are used substantially more by native speakers. The markers well, I mean, you know, now, kind of and like belong to this group. Considering that these are the typical discourse markers that native speakers frequently use in their everyday conversation, the underuse pattern of these markers by Korean students may reflect their lack of exposure to naturally occurring spoken discourse. Among these, the functions of well, you know and like are analyzed in detail. The second group includes the markers that show relatively similar frequency between native speakers and Korean students. The markers but, and, so, or, oh and then are in this group. Most of these markers are conjunctions or words that Korean students are familiar with, and this may cause the similar frequency between them. In this group, the functions of so are analyzed in detail. The last group is for the markers that are used substantially more by Korean students. The markers yeah, also, because, I think and actually are in this group. Most of these markers are also familiar lexical items for Korean students,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y may replace these familiar markers with the appropriate markers which they are not familiar with, so the overuse pattern of these markers by Korean students may reflect their lack of the management skills of using these markers properly. Several functions of yeah, I think and actually are analyzed in detail. What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analysis of the study is that except for the marker actually, Korean EFL students used all these discourse markers as the function of a hesitation marker.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English discourse markers used by non-native spea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why some of the discourse markers are substantially underused or overused by Korean students. This study also offer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that the Korean EFL students need to be taught English in a more spontaneous setting where all the aspects of spoken English features including proper ways of using discourse markers are naturally displayed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Keywords: discourse marker functions, Korean college EFL students, English discussions, hesitation markers, 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

Student Number: 2007-22683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19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