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예술작품의 해석과 예술가의 의도의 관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Interpretations of Artworks and Artistic Inten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주한

Advisor
이해완
Major
인문대학 미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의도해석비평비평철학의도주의가설의도주의레빈슨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학과, 2013. 2. 이해완.
Abstract
예술가의 의도가 예술작품의 해석에 얼마나, 혹은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분석적 미학의 영역에서 예술작품의 해석, 혹은 비평과 관련하여 가장 첨예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 중 하나이다. 어떤 학자들은 예술작품의 해석과 예술가의 실제 의도 사이에 불가결한 관련이 있다고 보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예술작품의 해석과 예술가의 실제 의도 사이에는 어떠한 논리적 필연성도 없다고 주장한다. 전자를 의도주의, 후자를 반의도주의라고 부르는데, 양자는 주장의 강도와 성격에 따라 다시 강한 의도주의, 반의도주의, 온건한 의도주의, 가설의도주의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강한 의도주의와 반의도주의는 전통적인 입장이며, 온건한 의도주의와 가설의도주의는 전통적인 입장들의 논리적, 실제적 난점을 보완하여 최근에 제안된 입장이다.
본고는 (1) 예술작품의 해석과 예술가의 의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적 미학의 영역에서 제기되어 온 논의들과 그 흐름을 면밀히 검토하고, (2) 이를 바탕으로 의도와 해석의 관계에 대한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1)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필자는 분석적 미학의 영역에서 이 논의들이 어떠한 설명력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고 공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각 논의들이 제시하고 있는 논변들을 분명하게 정리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삼는다. 또한 필자는 앞에서 소개한 네 입장들 중 필자에 의해 보완된 가설의도주의가 의도와 해석의 관계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함으로써 (2)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서 의도와 해석의 개념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이어 본고에서 다루게 될 논의들의 지형도를 그린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앞으로 전개될 논의들의 성격과 상호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Ⅱ장에서는 전통적인 논의인 반의도주의와 강한 의도주의의 주장과 논변들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반의도주의의 논변은 크게 의도의 딜레마, 동일성 논제 비판, 존재론적 논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논변들은 반의도주의의 근본적 입장을 비교적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만일 우리가 반의도주의를 해석 이론으로서 받아들인다고 했을 때, 예술작품의 정체성과 맥락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예술가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해석에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함을 보인다. 한편 강한 의도주의의 논변은, 만일 우리가 저자의 의도에 대한 관념을 포기한다면, 예술작품에 대한 해석의 타당성을 논할 근거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예술작품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도 없다는 주장을 논증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는 우리의 실제 해석 관행과는 다소 동떨어진 독단적인 전제에 근거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어지는 Ⅲ장과 Ⅳ장에서는 후속 논의인 온건한 의도주의와 가설의도주의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온건한 의도주의는 작가의 의도가 성공적일 경우에만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해석이 서로 관련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주장은 우리의 일상적 대화에서 일어나는 해석과 예술작품에 대한 해석이 다를 바 없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대화적 관심 논변에 의해 근본적으로 지지된다. 필자는 이 논변이 일상적 해석과 예술작품에 대한 해석의 유사점에 지나치게 주목한 나머지, 양자의 차이점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마지막으로 가설의도주의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가설의도주의에 따르면, 우리는 어떤 예술작품을 해석할 때, 그것의 정체성과 맥락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가의 공적 정보를 활용하여 예술가의 의도를 가설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예술작품의 의미로 귀속시킨다. 이러한 해석 모델 역시 우리의 일상적 해석과 예술작품의 해석 사이에 유사한 지점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가설의도주의는 또한 예술가의 실제 의도를 담고 있다고 여겨지는 어떠한 증거도 우리의 가설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가설의도주의가 일상적 해석과 예술작품의 해석 사이의 공통점뿐만 아니라 양자 간의 중요한 차이점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필자가 온건한 의도주의보다 가설의도주의를 지지하는 주요한 이유들 중의 하나이다. 덧붙여 필자는 가치최대화 이론을 통해 가설의도주의를 보완함으로써, 의도와 해석의 관계에 대한 더 발전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온건한 의도주의와 가설의도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우리가 온건한 의도주의보다 가설의도주의를 선택해야 한다는 필자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더욱 명확하게 상술할 것이다.
In the arena of analytic aesthetic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s whether artists intentions can have bearing on the interpretations of artworks, or how the former can influence the latter. Some argue that there is essential relevance between an artist's intention and his/her artwork, while others claim that there is no logical necessity between them. The idea the former supports may be termed 'intentionalism', and the argument the latter defends can be called 'anti-intentionalism'. Both ideas can be classified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strength or features of the arguments as 'strong intentionalism', 'anti-intentionalism' (traditional positions), 'moderate intentionalism', and 'hypothetical intentionalism' (relatively recent positions that revise the logical and practical problems included in traditional ones).
This thesis is set off (1) to thoroughly examine the theories themselves and their flow, (2) and thereby suggest a more persuasive explanation on the relevance between intentions and interpret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aim, I arrange the arguments that each position presents, and then examine the validity of these arguments so that we can judge with more precision and fairness how much explanatory power the theories have in the field of analytic aesthetics. I attempt to accomplish the second aim by demonstrating that among others, hypothetical intentionalism can provide the most valid explanation on this issue if it is complemented.
This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Prior to the full-scale discussion, I briefly consider the main concepts of this thesis: intention and interpretation. Afterwards, I give an outline of the debates so that we can comprehend the features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heories. (Chapter Ⅰ)
Second, I review the arguments of anti-intentionalism and strong intentionalism, which I classify as traditional positions. Anti-intentionalism includes three main arguments: 'dilemma of intention', 'criticism of identity thesis', and 'ontological argument'. These arguments can support the essential idea of anti-intentionalism to some extent, but if anti-intentionalism is accepted as a theory of interpretation of artworks, we must also accept a critical weakness of the theory as we cannot observe how the information about an artist, one of most critical matters in composing the identity and context of his/her artworks, is reflected in 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 of strong intentionalism is presented to insist that we would no longer have a ground for validity in interpretation and to suggest that we could not properly evaluate artworks if we give up the notion of artistic intention. However, this argument may be criticized for being based on a dogmatic premise, which is far from our actual interpretive practices. (Chapter Ⅱ)
On the basis of such an analysis, in the following chapters, I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cent positions: moderate intentionalism and hypothetical intentionalism. Moderate intentionalists suggest that an interpretation of artworks has much relevance to the intention of its creator only if the intentions are successfully realized. This idea is supported by the 'communicative interest argument', which is based on the intuition that there is no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retations made in our ordinary discourse and the ones of artworks. I maintain that this argument lacks cogency as distinctions between the ordinary interpretations and artistic ones are overlooked due to the excessive focus plac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Chapter Ⅲ)
Next, we turn to hypothetical intentionalism. According to hypothetical intentionalism, when we interpret an artwork, we hypothetically construct the artistic intention by using public information of its creator, which affects the identity and context of an artwork. We then attribute this 'hypothetical intention' to the meanings of the artwork. This interpretation model is also based on the notion that the interpretation of artworks has similarities with ordinary interpretation. Nevertheless, hypothetical intentionalists argue that no evidences regarded as including 'actual' artistic intention can influence on our 'hypothesis' because hypothetical intentionalism pays attention to the distinctions between ordinary interpretation and artistic interpretation as well a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why I support hypothetical intentionalism over moderate intentionalism. In addition, I try to present a more developed explanation about the relevance between intentions and interpretations by arguing that hypothetical intentionalism can and must be complemented by value-maximization theory. (Chapter Ⅳ)
Lastly, I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between moderate intentionalism and hypothetical intentionalism, and thereby elaborate why I prefer hypothetical intentionalism as an interpretation theory to moderate intentionalism. (Chapter Ⅴ)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