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종병(宗炳)의 산수화론과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sung Pings Essay on Painting Landscape and his philosophical background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낙규-
dc.contributor.author김석주-
dc.date.accessioned2017-07-19T09:49:58Z-
dc.date.available2017-07-19T09:49:58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115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02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학과, 2014. 8. 박낙규.-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의 산수화론인 종병(宗炳)의 「화산수서(畵山水序)」와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이다. 종병의 산수화론은 이후 중국 산수화가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예술 형식으로 자리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에 대한 연구는 크게 도가적 관점과 불교적 관점으로 이루어져왔다. 두 관점에서 중요한 점은 종병의 세계관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종병의 산수화론의 주요 문제들을 그의 사상적 배경과 결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도가적 관점의 연구는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에서 도가적 문헌으로 분류된 것에 근거하며, 당시의 사상적 배경인 현학사상의 맥락에서 해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왔다. 반면 불교적 관점의 연구는 종병의 「명불론(明佛論)」에 나타난 불교적 세계관으로 「화산수서」를 해석하는 것으로 논의해왔다. 이러한 두 관점에 대해서 본 논문은 두 가지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하나는 도가(道家)의 범주 설정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종병의 세계관에 대한 문제이다. 전자에서 당시의 주류 사상인 현학사상과 노장사상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후자의 세계관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학사상은 실체론적 세계관을 토대로 하지만 종병이 이해하는 노장사상은 비실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다고 본다. 이것은 「명불론」에서 노장의 문헌들이 불교사상을 옹호하는 근거로 사용되는 이유와 관련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기존의 도가사상과 불교사상을 구별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실체론적 사유와 비실체론적 사유로 대별하는 관점이 종병의 세계관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본다면 도가적 관점과 불교적 관점이 상충되지 않으므로, 그의 세계관을 하나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종병의 산수화론에서 주요 문제는 진리관(道), 성인관(聖人), 산수관(山水)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의 진리관은 무한한 실상을 인식하는 연기·공관(緣起·空觀)이다. 그에 따르면 세계의 모든 존재와 현상은 연기적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실체성이 없다[空]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존재와 현상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모든 존재와 현상이 연기적으로 상호의존적이며 동시적으로 존재하여 각각이 구분되는 개별자로서의 경계가 없다는 의미로 설명된다.
둘째, 그의 성인관은 당시의 불교 수용과정에서 현학적 성인 개념에 영향을 받은 불교의 부처 개념으로 설명된다. 그의 관점은 당시의 유가적, 도가적, 불교적 개념이 혼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기보다 궁극적 관점에서 동일한 것이라는 방향에서 그 개념들을 통합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셋째, 그의 산수관은 진리관과 결부된다. 그에 따르면 산수는 도가 현현한 것이며, 어떠한 존재와 현상에 대한 경계가 없이 무한한 실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는 산수와 신(神)을 결부하여 설명하는데, 신은 두 가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진리 그 자체로서 법신(法身)이며, 다른 하나는 윤회의 주체로서 자아의 정신이다. 이 두 가지 상이한 의미는 중관사상(中觀思想)에서 설명하는 이제(二諦)로 볼 때, 상호 모순되는 논리가 아닌 상즉(相卽)되는 것으로 통합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그의 창신(暢神) 개념이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은 개인의 정신이 무경계의 우주적 법신과 합일되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산수화는 주체와 객체의 분별이 사라져서 자아와 산수의 경계가 없어지는 관조 또는 명상의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것은 비실체론적 사유로서 노장사상의 물아일체(物我一體)와 불교사상의 진여불이(眞如不二)의 개념과 결부된다. 그가 제시하는 노님[遊]은 물아일체 또는 진여불이의 상태로 무한한 실상과 하나 되어 무한한 자유에 머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산수화는 도와 산수, 그리고 화가와 감상자가 감응하고 소통하여 하나 되는[爲一] 수단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산수화론은 사실적인 대상의 모방이나 재현보다 정신적 가치로서의 대상의 인식과 감응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후의 산수화 이론에서 정신적 가치로서의 진리적 추구를 근간으로 하는 계기가 된다.

주요어 : 종병(宗炳), 도(道), 성인(聖人), 산수(山水), 신(神), 유(遊)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regarding Tsung Pings Essay on Painting Landscape(the Hua shan-shui hsü, 畵山水序, Introduction to Painting Landscape) and his philosophical backgrounds during Six Dynasties in China. The preceding studi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views, which are the ideologies of Taoism and Buddhism. The important point of two views is how we understand Tsung Pings view of the world. In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review his Essay on Painting Landscape which is associated with his philosophical backgrounds.
The view of Taoism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 Taoist text from the Li-tai ming-hua chi(歷代名畵記, Records of Famous Painters in History) and the context of neo-Taoism(玄學) which was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ose days. Whereas the view of Buddhism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Ming fo lun(明佛論, Discourses Illuminating the Buddha) which advocates a Buddhist position. In matters of two views, this study raises two questions. One is the problem of placing under the category of Taoism, and the other is that of Tsung Pings view of the world. The former is regarding philosophical Taoism, neo-Taoism, and religious Taoism, that influences the understanding of his view of the world. That is associated with philosophical Taoism and Chinese Mahayana Buddhism, which are non-substantialism. This study suggests Tsung Pings understanding of Taoism is based on non-substantialism, because his texts advocate a Buddhist theory which contain many of Taoist texts. In this point, this study suggests the distinction substantialism between non-substantialism is useful to understand Tsung Pings view of the world.
In Tsung Pings theory of landscape main points are the truth(道, Tao), the sages(聖人) and the landscape(山水). First, his view of the truth is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and void which is realized by infinite existence. According to his thought, all beings and phenomena consist of the relation of causality and those substantiality is void. This point of view is not to mean nothing of all beings and phenomena but to mean no boundary of all beings and phenomena.
Second, his view of the sages is explained by the concept of Buddha in the adoption process of Chinese Buddhism which is influenced with the concept of neo-Taoist sages. His view is mixed by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and he did not distinct each idea but integrate one concept that is same in the end.
Third, his view of the landscape is related to his view of the truth. According to his theory, the landscape is manifested by the truth(Tao) and all beings and phenomena exist in the infinite existence. He explains that the landscape is related to the mind(神) which has two meanings. One is Dharmakāya(法身) as the truth itself, and the other is the mind of self as the main agent of samsara(輪廻, the eternal cycle of birth). These meanings are unified by Madhyamaka thought(中觀思想). If this point of view were accepted, the concept of expanding the spirit(暢神) should be understood. That is the progress that the mind of self is unified with cosmetic Dharmakāya of no boundary.
In this point of view, the landscape is explained by contemplation or meditation which banishes the boundary of the mind and the landscape by disappearing the distinct of subject and object. This is related with object and human oneness(物我一體) of Taoism and Suchness(tathāta, zhen-ru, 眞如) and non-division(不二) of Buddhism. The roaming(遊) is remaining free infinitely. According to this point, the landscape is the method that the truth and the landscape, the painter and the appreciator are inducing and communicating each other for unification. So his theory aims to pursue not the imitation or representation but the truth, and since then that influences the landscape theory for the pursuit of the truth as a spiritual value.

Keywords : Tsung Ping(宗炳), Tao(道), Sage(聖人), Landscape(山水), Mind(神), Roaming(遊)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i
I. 서론 1
II. 종병의 「화산수서」 분석 13
1. 「화산수서」의 내용 분석 13
2. 「화산수서」의 주요 문제 도출 29
(1) 산수화의 동기와 구성요소의 대응관계 29
(2) 산수와 산수화 31
(3) 신(神)의 의미 : 법신(法身)과 정식(情識) 35
(4) 유(遊)의 의미 : 소요유(逍遙遊)와 열반(涅槃) 44
(5) 산수화의 제작과 감상 47
(6) 산수화의 목적 49
III. 종병의 산수화론의 주요 문제와 사상적 배경 52
1. 종병의 사상적 관점 검토 53
2. 현학사상과 산수화론 59
3. 노장사상과 산수화론 66
(1) 도와 성인 : 무경계적 세계관 67
(2) 물아일체와 소요유 73
4. 불교사상과 산수화론 82
(1) 반야사상 : 실상의 인식과 소요유 83
(2) 중관사상 : 「명불론」의 구조와 신의 해석 93
5. 종병의 사상적 관점과 산수화의 목적 101
IV. 결론 103
참고문헌 108
영문초록 11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065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산수화론-
dc.subject종병(宗炳)-
dc.subject도(道)-
dc.subject성인(聖人)-
dc.subject산수(山水)-
dc.subject신(神)-
dc.subject-
dc.subjectTsung Ping-
dc.subjectTao-
dc.subjectSage-
dc.subjectLandscape-
dc.subjectMind-
dc.subjectRoaming-
dc.subject.ddc111-
dc.title종병(宗炳)의 산수화론과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sung Pings Essay on Painting Landscape and his philosophical background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eokjo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ii, 115-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미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