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그림에 대한 경험으로서의 'seeing-in': 월하임의 착상과 로페스의 확장 : seeing-in as Pictorial Experience : Wollheims Conception and Lopes Expansion of seeing-i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훈

Advisor
오종환
Major
인문대학 미학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회화적 경험seeing-in이중성동시성seeing-in의 다양성월하임로페스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학과, 2015. 8. 오종환.
Abstract
본 논문의 목표는 재현적 그림들에 대한 우리의 다양한 경험들을 seeing-in을 통해 설명해내는 것이며, 그리하여 회화적 경험으로서의 seeing-in에 대한 최선의 이해를 구성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eeing-in에 대한 월하임의 해석을 로페스의 해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림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더 적절한 방식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우리가 그림을 보는 경험에는 그림의 채색된 표면을 보는 경험과 그 그림에서 묘사된 것을 보는 경험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그림에 대해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런 두 측면의 경험을 가진다는 의미에서 회화적 경험은 이중적이다. 월하임은 회화적 재현의 이러한 이중적 성격을 seeing-in으로 정의했는데, 이 때의 seeing-in은 그림 표면과 묘사된 것에 대한 동시적 주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회화적 재현에 대한 경험을 seeing-in이라는 개념으로 포착하여, 그 경험이 갖는 이중적 측면들을 부각시켰다는 점은 월하임의 분명한 성과이다. 하지만 이중적 측면들에 대한 동시성 요구로 인해 그의 이론은 전형적인 회화 작품 일부에만 적용될 뿐, 재현적 그림 일반에 대해서는 설명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로페스는 이중성과 동시성을 동일시한 월하임의 견해를 강한 이중성으로 분류하고, seeing-in의 이중적 성격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월하임과 로페스 모두 그림에서 묘사된 것을 본다는 의미로 seeing-i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로페스는 seeing-in을 월하임의 강한 이중성을 필연적으로 함축하지 않는 개념으로 간주하며, 이를 통해 seeing-in의 다양한 종류들에 대한 논의가 전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그의 전략은 seeing-in을 다양한 양상을 가진 것으로 확장함으로써, 우리가 갖는 다양한 회화적 경험들을 seeing-in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회화적 경험의 다양성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회화적 경험의 다양성이 묘사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로페스는 월하임처럼 seeing-in에 대한 일원적 설명을 취하는 대신에 다원적 설명으로의 선회를 시도한다. 이러한 다원적 접근이 옳은 방향이라는 것은 월하임의 주장을 수정하려 했던 레빈슨과 나네이의 논증 모두 다원적 설명에 기초하여 seeing-in에 대한 다른 해석들을 내리고 있다는 점에서도 입증된다.
로페스는 다섯 가지 종류로 구분되는 seeing-in의 다양성을 제안한다. 우선 로페스는 월하임의 이중성 이론이 주장한 seeing-in을 이중성 보기로, 곰브리치의 환영론이 주장한 seeing-in을 자연주의적 보기로 구분한다. 그리고 눈속임 그림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seeing-in의 한 종류로 간주하여 눈속임 그림 보기로 규정한다. 그런데 로페스의 작업은 단순히 기존의 묘사이론들에서 논의되었던 회화적 경험들을 seeing-in의 관점에서 정리한 것에만 그치지는 않는다. 로페스는 추가적으로 유사-이중성 보기와 현실주의적 보기를 seeing-in의 새로운 다양성으로 제안한다. 유사-이중성 보기의 사례로 제시된 달마시안 이미지나 현실주의적 보기의 사례로 제시된 재스퍼 존스의 과녁 그림 등은 일반적 그림이라기보다는 예외적 그림들이다. 따라서 로페스의 제안이 의미가 있는 것은 seeing-in에 대한 그의 분류가 이러한 특이한 그림들에 대한 경험까지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구분이 된다는 점이다.
한편 브래들리는 seeing-in에 대한 로페스의 구분이 상당 부분 축소되어야 하며, 로페스가 추가한 유사-이중성 보기와 현실주의적 보기는 seeing-in의 진정한 종류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브래들리의 주장이 비일관적일 뿐만 아니라, 그 주장을 뒷받침할 설득력 있는 논거 또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케이브던-테일러가 seeing-in의 여섯 번째 종류로 제안했던 유사-현실주의적 보기에 대해서만, 필자는 브래들리와 동일하게 자연주의적 보기로 환원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 필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seeing-in에 대한 분류는 로페스가 제안했던 다섯 가지 종류들로 정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seeing-in의 다양성에서 실제적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이러한 다섯 종류의 구분은 우리의 회화적 경험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our various experiences of representative pictures in terms of seeing-in, and to constitute best understanding about seeing-in as pictorial experience. For this end, by comparing Richard Wollheims interpretation of seeing-in with Dominic Lopes, I will draw a more appropriate way to elucidate our experiences of pictures.
In our experience of seeing a picture, there are two aspects. One is the experience of seeing the marked surface of the picture and the other is the experience of seeing the depicted object(s) in the picture. Pictorial experience is twofold in the sense that we generally have these two aspects in one experience. Wollheim defines this twofold character of pictorial representation as seeing-in, and he thinks that this seeing-in involves simultaneous attention on both picture surface and the depicted. Wollheims achievement is that he captures our experience of pictorial representation by means of the concept of seeing-in and brings out these twofold aspects of the pictorial experience. However, because of the simultaneity requirement on twofold aspects, there is a limit in his theory. Simultaneity requirement holds in the case of some typically painterly pictures but does not apply to all representative pictures, so losing its power as a theory of picture in general.
Dominic Lopes classifies Wollheims position identifying twofold -ness with simultaneity as strong twofoldness, and tries to divide twofold character of seeing-in in various ways. Both Wollheim and Lopes use the term of seeing-in as referring to seeing the depicted in a picture. But Lopes regards seeing-in as a concept that does not necessarily imply strong twofoldness, makes it the foundation to discuss the varieties of seeing-in. His strategy is to put diverse pictorial experiences into seeing-in by expanding seeing-in as having various modes. The reason that we should accommodate the variety of pictorial experiences is the fact that the variety of pictorial experiences reflects the variety of depiction. Therefore, Lopes turns to a plural account of seeing-in instead of unitary account like Wollheims. What makes this plural approach right is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both argument of Jerrold Levinson and that of Bence Nanay trying to modify Wollheims view unintentionally suggest interpretations of seeing-in based on the plural account.
Lopes classifies the variety of seeing-in into five distinctive kinds. Firstly, he names seeing-in argued by Wollheims twofoldness theory as Twofoldness and seeing-in for the cases of Gombrichs illusion theory as Naturalism. And he classifies our experience of trompe-lœil into Trompe-lœil by counting the experience as one kind of seeing-in. By the way, Lopes work does not simply end up arranging pictorial experiences discussed in previous depiction theories in terms of seeing-in. Additionally, Lopes proposes Pseudo-twofoldness and Actualism as new varieties of seeing-in. Dalmatian image for the case of Pseudo-twofoldness and Jasper Johns target paintings for Actualism are not usual pictures but, rather, exceptional ones. Accordingly, what makes Lopes proposal significant is that his classification of seeing-in can explain all kinds of pictures including exceptional ones.
On the other hand, Helen Bradley argues that Lopes taxonomy of seeing-in sh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Pseudo-twofoldness and Actualism added by Lopes are not genuine kinds of seeing-in. However, I think that Bradleys claim is inconsistent and also she fails to suggest persuasive argument for her claim. Concerning Pseudo-actualism as a sixth kind of seeing-in proposed by Dan Cavedon-Taylor, I agree with Bradley and take the position that Pseudo-actualism must be an instance of Naturalism. Consequently, what I would like to hold in this thesis is that the distinction of seeing-in can be sorted out into five kinds proposed by Lopes. The classification of these five kinds to secure practical space in the variety of seeing-in will be a useful tool to explain our pictorial experience systematicall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