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정주의 시적 자서전에 나타난 기억 형상화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in Seo Jeongju's poetic autobiograph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지

Advisor
김유중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적 자서전기억자기'떠돌이' 의식세대계승지향영원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8. 김유중.
Abstract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시로 쓴 자서전『안 잊히는 일들』(1983)과『팔할이 바람』(1988)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서정주는 두 시집의 작품들을 창작하기 이전에 이미 산문 자서전과 에세이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그럼에도 산문 자서전과 대동소이한 내용을 시 형태로 새로이 두 차례나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시로 쓴 자서전 집필은 단순한 일회적 실험이 아니리라 가정할 수 있다. 시인은 자전적 소재와 시 형태의 결합에 일정한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두 시집이 자서전으로서 사실정보의 정확성을 약속하면서도, 시로서 사실정보의 문학적 각색을 동시에 공표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것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두 시집을 시적 자서전이라 부르고자 한다. 그리고 자서전으로써 개인적 기억을 정리하는 행위와 시라는 틀로써 기억을 보다 적극적으로 가공하는 행위가 각각 서정주의 일관된 시학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안 잊히는 일들』과『팔할이 바람』의 서문에는 공통적으로, 시인에게 안 잊히는 일들이 시의 소재로 취해졌다는 언급이 있다. 서정주의 어법상 안 잊힌다는 것은 어떤 경험이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는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그 내용을 글로 썼을 때 그것이 독자들에게 길이 전승되고 향유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서정주는 세대와 세대를 잇는 계승을 통해 자신의 생명을 정신의 차원에서 연장하여 영생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개인사를 정리함으로써 스스로를 독자들의 뇌리에 남을 만한 하나의 인물상으로서 제시하는 작업은 바로 이 지점에서 영원성과 관련된다.
시적 자서전 텍스트 전반을 통해 형성되는 시인의 속성은 떠돌이라는 단어로 요약된다. 시적 자서전의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시인 생애의 인상적인 사건을 다루면서도 다음 사건으로의 쉽고 간단한 이행을 강조함으로써 떠돌이로서 시인의 면모를 부각시킨다. 중요한 것은 끝없이 떠밀리기에 할 수 없이 이어지는 떠돌이의 방황이, 애초에 거처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주어지는 신의 자유와 동등하게 인식된다는 점이다. 떠돌이와 신의 공통점은 인간이 영위하는 현생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떠돌이들은 한국 역사 곳곳에 있어 왔다. 따라서 떠돌이들이 영원성과 관련되는 지점은 두 가지로 정리된다. 하나는 현생 너머의 범위까지를 활동 영역에 포함시킨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태도 자체가 통시적으로 계승된다는 점이다.
서정주는 자서전을 써내려가면서 떠돌이로서의 자기 속성을 부각시키는 데 있어 시라는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는 시라는 개념을 여러 층위로 설정하였다. 그것은 첫째로 운문 형식을, 둘째로 시에 취할 소재의 내용 평가 기준을, 셋째로 소재 내용의 잠재력을 극대화시켰을 때 형상화되는 최고의 정신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정주에게 있어 자신의 삶을 시로 쓴다는 것은, 경험한 내용을 운문 형식으로 쓴다는 뜻이기도 하고, 모든 경험이 아니라 의미 있는 경험만을 추려 쓴다는 뜻이기도 하고, 경험들이 파급하는 정서적 자극을 최대로 증폭시킴으로써 경험의 주인공인 시인 자신이 지고한 정신의 표상으로 화(化)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편『안 잊히는 일들』과『팔할이 바람』사이에는 시 한 편 속에 수용된 소재의 수, 서술의 길이, 화자의 어조 통일 여부, 각주의 유무에 차이점이 있다.『안 잊히는 일들』의 작품들은 대체로 각 시편이 하나의 사건을 다루고, 서술의 길이가 짧고, 시편마다 화자의 어조가 다르며, 각주가 달려 있다. 반면『팔할이 바람』의 작품들은 한 편이 여러 사건을 다루고, 서술의 길이가 길고, 화자의 어조가 통일돼 있으며 각주가 없다. 이를 종합하면『안 잊히는 일들』은 특히 각 사건의 핵심적인 인상을 강조하고,『팔할이 바람』은 그 인상들을 수합하고 일반화하여 동일한 주인공으로서 시인의 속성을 형상화하는 데 보다 집중한다.
시적 자서전 집필 작업의 논리적 토대를 구성하는 안 잊힘, 시 개념, 세대계승 논리 등은 이 시기에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차근차근 형성돼 왔다.『화사집』으로 대표되는 서정주 초기 시에서는 화자를 유혹하면서도 화자로부터 달아나는 여성 대상이 자주 등장한다. 공통적으로 화자는 여성 대상에게 물리적으로 가 닿음으로써 하나의 총체(the Whole)가 되기를 꿈꾼다. 그러나 지귀도 연작에서 이러한 총체성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고, 이후 서정주는 육체의 죽음 너머에 펼쳐지는 영혼의 세계로 급격하게 이행한다. 어떤 대상에의 도달 자체가 아니라 도달하는 과정 및 운동을 긍정하기 시작하면서, 시 작품에서는 시인의 현상학적 지향이 서사의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서정주는 이야기의 소재를 고안된 자연물에서 실재했던 인물들의 일화로 바꾸어, 소재의 실재성을 보강함으로써 영원성의 현실성 결여 문제에 대응한다. 따라서 그의 시에서 역사적 이야기의 형상화는 영원성 성취를 위한 시인의 기획 의도를 다분히 내포하고 있다. 리쾨르에 따르면 역사적 이야기는 실재성 때문에 허구적 이야기와 현저하게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그 둘은 서로에게 필요한 요소를 제공하면서 공통적으로 글쓴이의 의도를 형상화한다.
나아가 자기 생애와 존재를 시세계의 논리 작동을 입증하는 데 사용하여 시의 소재에 가장 의심하기 어려운 실재성을 기했다는 점에서, 시적 자서전 작업은 영원성의 시학 전개에 단순히 속할 뿐만 아니라 그 정점에 해당한다. 현존하는 자기 존재의 분명함은 아이디어의 현실성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디어의 내용들은 아직 의미가 부여되지 않은 날것의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 시이면서도 자서전인 양식의 창안은 시인의 이상(理想)과 시인의 현실을 완미하게 일치시키겠다는 의욕에 기인한 것이며, 그것이 곧 시인이 줄기차게 추구하던 영원성의 성취인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일견 개연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시와 자서전의 각 규약이 일으키는 충돌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개연성이 주어지는 바로 그 지점에 모순 또한 존재한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Seo Jeongju's two autobiographies, 『Unforgettable Things』(1983) and 『8/10 was the Wind』(1988), which were written in verse. Seo Jeongju had already published many autobiographical books and essays before writing these two versed works. Nevertheless, the fact that he wrote not just one but two versed autobiographies that are nearly identical in content to their prose counterparts gives us the reason to suppose that his versed autobiographies are not one-time experiments. Instead, the poet seems to imbue certain mean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autobiographical materials and the versed form of poetry.
This thesis focuses on the shared quality of these two versed works that strive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autobiographical information while simultaneously presenting the adaptation of the autobiographical information in the poetic versed form. We will categorize the two works 'poetic autobiography' to emphasize these aforementioned aspects. In addition, this thesis explains that the act of organizing personal memory in an autobiographical format and more actively dramatizing the same memory in the versed form of poetry bears relation to Seo Jeongju's consistent poetics.
In the preface of both the『Unforgettable Things』 and 『8/10 was the Wind』, the poet mentions that the 'unforgettable' events from his life were chosen as the materials for his verses. In Seo Jeongju's diction, 'something unforgettable' refers to specific personal experiences that remain in his memory, but they are transmitted in a written, versed poetry to the readers for their pleasure. Seo Jeongju believed that connecting the succeeding generations with poetry was the way to achieve immortality. The presentation of himself as a memorable image of his character to the readers, by organizing his personal history into a sequence of lyrical poems, is crucial to the 'eternity' that he seeks.
In 『Unforgettable Things』, the poet's image of his character, which is formed through out the text of his poetic autobiography, is summarized in the word 'the wanderer'. The individual pieces of this poetic autobiography commonly deal with a series of impressive events from the poet's life, emphasizing on the sure and simple transition from one event to another. This sure flow of transitions between the potent events draws out the poet's image of himself as 'the wanderer.' It is important that the wanderer is endlessly pushed to continue his destination-less journey, which is in fact recognized by the poet to be like having the freedom of God, because from the beginning God was also given no residence. What 'the wanderer' and God both have in common is that they do not cling to the present life that ordinary people enjoy, and the poet insists these lost figures like God and Seo Jeongju's wanderer have existed throughout Korean histor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wanderers' and 'eternity' allows us to conclude two distinct points. One is that Seo Jeongju's autobiographical poetics includes the afterlife as the field of poetic/living activity, and the other is that the attitude itself is succeeded through the generations diachronically.
In writing these poetic autobiographies, Seo Jeongju used 'poetry' to emphasize his poetic image as 'the wanderer'. He set up the concept of 'poetry' in several levels. First of all, there is the traditionally poetic form of verse. Secondly, there is the criteria for the selective content for the autobiographical material to be put into poetry. Thirdly, there is the highest spirit that is embodied when the potential literary power of the autobiographical content is maximized in the poetic versed form. Therefore, for Seo Jeongju, writing his own life as 'poetry' means writing his experience in the form of verse: writing only meaningful experience rather than all the experiences, the poet himself is transformed into the symbol of sublime spirit by amplifying the emotional stimulus that the experience gives in its versed form.
『Unforgettable Things』 and 『8/10 was the Wi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differ in the number of the autobiographical content that is included in each poem. They have different narrative lengths. They are different in the unification of the narrator's tone and in the presence of footnotes in one and in not the other. Generally, in 『Unforgettable Things』, each poem deals with just one event, the length of each narrative is short, and the narrator's tone in each poem is different, and it has footnotes throughout the pages. However, in 『8/10 was the Wind』, each poem deals with several events, the length of each narrative is longer, and the narrator's tone is unified and there are no footnotes. To sum up, 『Unforgettable Things』 specifically emphasizes the essential impression of each event while 『8/10 was the Wind』 focuses on embody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poet as the identical protagonist putting together and generalizing those impressions.
'Unforgettableness', the concept of 'poetry', and the succession of generations that constitute the logical foundation of writing a poetic autobiography did not suddenly emerge in Seo Jeongju's work in this period. They had been formed step by step from the past. In Seo Jeongju's early poetry, exemplified by 『Poetry of Flower-Snake』, a female character frequently appears, who seduces the narrator and, at the same time, runs away from the narrator. Commonly, the narrator dreams to become the Whole by physically reaching and possessing this female character. However, in the sequence of 'Jigui-island', the expectations to be the Whole shatters for the poetic speaker, and afterwards, Seo Jeongju dramatically transitions his poetry to embrace the spirit world that goes beyond the death of the body. This turning point begins to affirm the process and the action of trying to reach a certain subject rather than the reaching and the possessing in and of themselves. Ultimately, the phenomenological intention of the poet appears as a form of narrative in his poetry.
In this process, Seo Jeongju responds to the lack of 'eternity's' actuality by changing his narrative's main source of poetic material from the designed natural object to the anecdote of real people, which reinforces the reality of the subject. Therefore, in his poetry, the embodiment of history implies the poet's motive to achieve 'eternity'. According to Ricoeur, history seems to be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narrative fiction for its reality, but, in fact the two commonly embody the poet's intention to provide the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each other.
Furthermore, the poetic autobiography works not only because it simply belongs to the development of the poetics of 'eternity', but also because it is the peak of poetry in that the poet gave the most undoubted reality to the material of his poems, using his life and existence to confirm the logical operation of his poetic world. The clarity of self-existence solves the reality problem of ideas, and the contents of ideas give meaning to the natural life that is not yet given any meaning. The creation of the form that is both poetry and autobiography resulted from the arrogant aspiration of matching the poet's ideal with his reality. That is the achievement of 'eternity' the poet continuously pursued. These versed autobiographical works are meaningful because they look to have the probability of an immortal idea, but there is also a contradiction in that the probability is intertwined with the conflict that the respective pact of poetry and autobiography caus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