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전장편소설의 복장전환 화소 연구 : 韩国古典长篇小说中的异性装扮叙事情节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어진

Advisor
정병설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복장전환남장여장여화위남남화위녀여성수난담인물 묘사금기성적 욕망애정 환상흥미성오락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3. 2. 정병설.
Abstract
국문초록


이 논문은 고전장편소설에 나타난 복장전환(服裝轉換) 화소의 특징과 문학적 기능을 밝히는 데 일차적 목표를 두었다. 그리하여 조선후기 고전장편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이 화소의 존재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고전장편소설 속 복장전환은 서사적 기능에 따라 1) 애정실현형, 2) 애정갈등형, 3) 영웅부각형으로 나뉜다. 애정실현형은 복장전환이 등장인물의 애정 욕구를 실현하는 도구로서 기능하는 경우를 가리키며, 애정갈등형은 복장전환이 애정 상대로 설정된 인물 간의 갈등 형성의 계기 및 소재로서 기능하는 경우를 말한다. 영웅부각형은 복장전환이 위기와 고난에 대처하는 복장전환자의 영웅적 성격을 부조하는 데 기여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이때 한 인물의 복장전환이 반드시 한 가지 유형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고전장편소설 속 복장전환은 경우에 따라 착종(錯綜)되거나 복합적 형태를 띠고 존재하고 있으며, 세 기능이 한 인물의 복장전환을 통해 동시에 구현되기도 한다.
복장전환 화소의 서사적 효과는 1) 남성 우위의 속이기 구현, 2) 여성수난담의 형성, 3) 인물 외양 묘사의 확대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난다.
복장전환 화소가 삽입되면서 서사는 속고 속이는 이야기가 된다. 이 때 남성 복장전환자들은 복장전환을 이용해 그들이 처한 불리한 처지를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바꾼다. 불평등한 관계를 전복시키기도 한다. 남성 복장전환자들의 복장전환은 속이기의 기능을 십분 발휘하는 것이다. 한편 여성 복장전환자들은 자신의 실체가 탄로 날 것이라는 불안감에 시달린다. 그리하여 여성인물의 복장전환은 속이기로서의 효과가 반감된다. 전복의 가능성 역시 차단된다. 심지어 여성 복장전환자는 남성 인물에 의해 속이는 자에서 속는 자로 지위를 전복당하기도 한다. 복장전환 화소가 구현하는 속이기 서사는 어느 경우에나 남성의 우위를 확인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장전환 화소가 남성 중심의 시각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복장전환 화소는 여성수난담을 형성ㆍ확대하는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일부 작품 속 여성들은 정절이나 효 등 가부장제 사회가 중요시하는 덕목을 지키기 위해 남장을 하고도, 도리어 정절을 잃었을 것이라는 혐의를 입을까 수치심에 시달리며 전전긍긍한다. 이 때 여성의 심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애정을 강요하는 남성인물에 의해 여성은 수난을 겪게 된다. 여성 스스로 수치심을 느끼지 않는 경우에는 복장전환이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고 갈등으로 번져나가기도 한다. 이처럼 복장전환 화소는 여성 인물들의 수난담으로 이야기를 확장시키면서 조선사회 상층 여성의 삶의 문제들을 여실하게 담아내고 있다.
복장전환 화소는 서사 내 인물들의 외양 묘사를 확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복장전환은 옷을 통한 성별의 전환을 다루기 때문에, 복장전환 화소가 삽입되면 등장인물이 옷을 갈아입는 과정이나 옷을 갈아입고 난 후 변화된 모습이 장면전개를 통해 서사에 제시된다. 등장인물들이 복장전환자의 성 정체성을 오인하거나 실체를 파악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인물 외양 묘사가 확대되기도 한다. 요컨대 복장전환 화소는 서사적 필요에 의해 작품 내 인물의 외양 묘사를 확대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고전장편소설 속 인물 묘사는 인물의 외양 자체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복장전환 화소를 통해 확대되는 인물 외양의 묘사는 인물의 외양 그 자체에 대한 당대 향유층의 관심사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복장전환 화소는 향유층의 독서 행위와 관련하여 1) 금기의 오락적 향유, 2) 성적 욕망의 충족, 3) 남녀지기(男女知己) 환상의 실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복장전환 화소는 조선사회에서 혐오스러운 것으로 인식되던 인간의 양성성을 긍정하고 이를 즐거움의 대상으로 치환시킨다. 한편 복장전환자를 통해 자유로운 공간의 이동을 보여주기도 한다. 일상에서 금기시 되었던 요소들이 복장전환을 통해 오락적으로 향유되는 것이라 하겠다. 복장전환 화소가 형상화하는 금기의 위반과 일탈은 독자를 자유와 해방의 영역으로 이끌어 작품에 대한 몰입도를 높인다.
한편 복장전환 화소는 복장전환자와 주변인물이 주고받는 관음적 시선을 통해 독자의 성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나아가 복장전환자의 아름다움 때문에 주변인물들이 복장전환자에게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는 장면을 묘사하여 독자에게 성적 욕망의 충족을 제공하기도 한다.
복장전환 화소는 남녀 등장인물이 서로의 성별을 오해하게 하여 결연을 지연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남성끼리의 관계에서나 가능할 법한 남녀 사이의 지적 교류를 보여준다. 이는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했던 상호 평등을 전제로 한 남녀의 연애를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유층들의 남녀지기 환상을 실현시키는 의미를 지닌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0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