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황순원과 도스토예프스키 장편소설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Novels of Hwang Sun-Won and Fyodor Dostoevsk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민

Advisor
박성창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러시아 문학고바야시 히데오기독교적 인도주의자유책임무신론기독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4. 8. 박성창.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황순원의 장편이 도스토예프스키의 장편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밝히고 두 작가의 장편을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서구문학과 비서구문학의 관계를 우월 관계로 놓는 영향 연구의 문제점을 의식하면서, 그리고 텍스트가 하나의 시스템 속에서 만들어지는 역사적 형성 과정을 무시하는 대비 연구의 공허함을 주의하면서, 본고는 두 경향의 연구를 절충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그 동안 황순원 소설은 당대의 문학적 지형과 동떨어진, 자족적이고 고립적인 세계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 황순원은 서정성이 두드러지는 단편작가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서사성이 강조되는 장편작가로 도약하고자 하면서 새로운 창작 방법을 고안할 필요에 직면하였다. 황순원 문학세계에 일어난 양식적 변화는 '장르'의 문제를 부각시킨다. 작가는 작품을 쓸 때 문학적 양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계승하거나 변형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처럼 외국 문학이 중요한 참조점으로 작용하는 순간도 없을 것이다. 황순원은 자신의 서지목록을 밝히는 데 매우 소극적인 작가임에도 이례적으로 도스토예프스키를 상당수 언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근거하여, 본고는 황순원의 장편 창작이 도스토예프스키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황순원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을 러시아어 원본으로 접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본으로 읽었고, 유학 당시 일본 담론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도스토예프스키가 일본에서 어떻게 인식되었고, 황순원 자신이 그를 어떻게 이해하였는지를 구명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황순원과 도스토예프스키의 일대일 비교는 이러한 관계망을 구축한 후에야 가능한 것이다.
일본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1910년대에는 인도주의의 작가로, 1930년대에는 비합리주의의 작가(셰스토프) 혹은 체계적 통일성을 거부하는 작가(고바야시)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도스토예프스키의 이미지는 한국의 지식인들이 그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조연현과 김동리는 셰스토프의 맥락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비합리주의에 주목하였고, 그것으로 샤머니즘ㆍ설화의 소설화를 추구하는 자신들의 문학관을 정당화하였다. 한국 전쟁 이후 사상에 대해 환멸을 느껴 온 황순원은 고바야시의 맥락에서 철학적 논리화를 거부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었다. 황순원은 대체로 고바야시의 비평을 경유하여 도스토예프스키를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본고는 황순원-고바야시-도스토예프스키라는 복합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황순원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허윤석과 함께 번역하였다. 1955년에 완료된 『죄와 벌』의 번역은 도스토예프스키가 황순원 문학에 개입되는 시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황순원이 1955년부터 1956년까지 연재한 『인간접목』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죽음의 집의 기록』과 긴밀한 유사성을 공유한다. 고바야시에 따르면 『죽음의 집의 기록』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유형 생활을 소설화한 것이고, 그의 유형 생활은 죄수들로부터 '황금의 마음'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요약된다. 황순원의 『인간접목』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유형지'를 '소년원'으로 교체하여, 악인으로부터 천사를 발견하는 과정을 서사화한 작품이다.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도 도스토예프스키와 관련이 있다.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신현태는 자유를 추구하나 그것에 내재하는 비극성을 넘지 못한다는 점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 인간'에서 유래한 인물이다. 무엇보다 황순원의 『움직이는 성』은 무신론과 그리스도교의 대립을 중요한 축으로 한다는 점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황순원 소설에서는 무신론이 그리스도교를 보완하는 것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무신론자를 그리스도의 편으로 파악하는 고바야시의 독법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관계망을 바탕으로 본고는 황순원과 도스토예프스키의 장편을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인간접목』과 『죽음의 집의 기록』은 탈역사적 배경을 통해 인간과 악의 문제에 집중하는 공통점을 지닌다. 두 작품은 악인을 '아이'로 표상하여 그로부터 발견되는 인간성을 부각시키는데 이러한 인간성의 발견은 '고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악인을 선의로 대하고 고통을 유의미한 것으로 수용하는 두 작품의 동질성은 그리스도교적 인도주의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두 작품은 주인공과 악인의 관계를 설정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황순원이 서사의 중심을 '아이'로 삼고 이들을 약한 악의 차원인 '부정'으로 표상함으로써 악의 교화에 무게를 두었다면, 도스토예프스키는 서사의 중심을 '민중'으로 삼고 이들을 강한 악의 차원인 '죄' 혹은 이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심연'으로 표상함으로써 타자의 교화보다는 자기 자신의 '죄책'에 집중하였다.
『나무들 비탈에 서다』와 『죄와 벌』은 자유의 비극을 탐구하는 악마적 인물과 작품 내의 비극성을 감싸 안는 여성 인물을 등장시킨다. 두 작가는 자유의 비극을 극복하는 방식을 두 가지로 제시하는데 하나는 타율적 힘에 의한 극복이요, 다른 하나는 자기 희생을 통한 극복이다. 황순원의 '전정'과 도스토예프스키의 '초인'이 전자를 표현하는 방식이라면, 황순원의 '모성'과 도스토예프스키의 '그리스도교'는 후자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전정'과 '초인'을 통한 해결은 인간을 '자유'의 존재로 파악하는 관점에서 나오기에 강제적 힘을 요청하더라도 진정한 자유를 얻는 것을 중시한다. 반면 '모성'과 '그리스도교'를 통한 해결은 인간을 '책임'의 존재로 보는 시각에서 출발하기에 어떠한 운명이 주어지더라도 그것을 직시하고 수용하는 윤리적 책임을 강조한다.
『움직이는 성』과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은 무신론자와 그리스도교도의 대립을 통해 주제를 형상화한다. 무신론자 함준태와 이반은 각각 '유랑민 근성'과 '대심문관'을 통해 인간의 약함(악)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그리스도교도 윤성호와 조시마/알렉세이는 인간의 약함(악)에 대해 책임을 지는 자로 나타난다. 함준태와 이반은 자기 지배를 통한 주권적 자유를 추구한다. 주권적 자유의 개념은 최선의 상태에 놓인 '진정한' 자아를 상정하고 그러한 자아가 자신의 삶을 지배하는 상태만을 '자유'로 인정한다. 그것은 타자를 배제하거나 지배함으로써 자유를 확립하려는 길로 나아간다. 그러나 주권적 자유의 실현은 함준태의 경우에는 타자, 이반의 경우에는 양심에 의해 가로막힌다. 이러한 결과는 세속적 윤리를 정립하려는 황순원과 형이상학적 윤리를 탐구하려는 도스토예프스키 간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윤성호와 조시마/알렉세이는 타자 중심의 책임 윤리를 강조한다. 비대칭적 관계에 놓인 타자의 존재는 주체의 자유에 제동을 걸고 타자에 대한 책임을 불러온다. 이들은 인간의 약함(악)을 힘이 아니라 사랑으로 취하는 방식을 선호하며 타자의 약함(악)을 자신의 책임으로 인식할 것을 주문한다. 무신론자와 그리스도교도를 대비시키는 구조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 사이에는 중대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그것은 함준태와 윤성호의 관계는 상호 조명하는 대립 관계이며, 이반과 조시마/알렉세이의 관계는 항구적인 대립 관계라는 사실이다. 황순원은 자율적 주체를 거쳐 자유의 추구를 형상화하였지만 자유의 최종적 실현을 주권성이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묘사한다. 즉 황순원은 함준태가 주권적 존재로 도약하려는 순간 이를 중지시킴으로써 무신론과 그리스도교의 조화를 가능하도록 했다. 반면 도스토예프스키는 신앙과 불신의 변증법적 모순을 지양하지 않고 항구적으로 존속시킨다. 인간 본성의 양극단을 바라보는 도스토예프스키에게 모순의 공존은 삶의 불가피한 양상이었던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novels of Hwang Sun-Won and Fyodor Dostoevsky in terms of intertextuality. The method involves a compromise between two methods, being conscious of the problems of the influence study that situates the western literature and the non-western literature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the inanity of the analogy study that ignores the historical formation of a text materialized in a system.
Up to now, Hwang's works have been considered as a world self-sufficient and isolated from the periods literary scene. However in the 1950s, he confronted the need to escape the existent image of lyrical short story writers and devise a new method of writing in his attempt to become a novelist. Such a change in form emphasizes the problem of "genre." In writing, an author first chooses a literary form then either inherits or changes it, the process in which the foreign literature becomes an important reference. For an author who is reluctant to publicize his bibliography, Hwang exceptionally mentions Dostoevsky many times. Based on such record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Hwang's novels coul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Dostoevsky's works. Hwang read the Japanese translation rather than the original Russian text, and he was also influenc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Japanese discourse during his oversea studies in Japan. Thus, it is imperative to examine Dostoevsky's reception in Japan and Hwang's understanding of Dostoevsky. With this basis of the relationship, the one-on-one comparison between the two authors would be feasible.
In Japan, Dostoevsky was perceived as a writer of humanism in the 1910s and an author of irrationalism or a refusal of the systematic unity in the 1930s. These images of Dostoevsky were used in the Korean authors' understanding of the author. In Shestov's context, Cho Yeon-Hyeon and Kim Dong-Ri focused on Dostoevsky's irrationalism and used this understanding to justify their literary perspective aiming for shamanism and a narrativization of legends. Hwang, disillusioned about ideology after the Korean War, understands Dostoevsky's refusal of philosophical rationale in the context of Kobayashi's criticism. As a result, the study considers this complex relationship among Hwang-Kobayashi-Dostoevsky in proceeding the comparative study.
Hwang and Heo Yun-Seok co-translated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Completed in 1955, the translation serves as a proof of the point at which Dostoevsky's literature enters Hwang's literature. Hwang's Human Grafting, published from 1955 to 1956, shares similarities with Dostoevsky's The House of Dead. According to Kobayashi, The House of the Dead is a narrativization of Dostoevsky's exile, and here the exile could b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finding the "heart of gold" in the prisoners. In Human Grafting, Hwang changes the setting to the "juvenile retention center" and tells the story of finding an angel in a villain. Also, Hwang's Trees on a Slope is also related to Dostoevskys work. The novel's character Hyon-tae originates from Dostoevsky's "underground man" in that he aims for freedom even though he is unable to overcome its inherent tragedy. Moreover, Hwang's The Moving Castle, in presenting the opposition between atheism and Christianity as an important plot setting, shares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Dostoevsky's The Brothers Karamazov. In Hwang's novel, atheism supplements Christianity, and this depiction seems to reflect Kobayashi's reading of an atheist being on the Christ's side.
Based o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compares the novels of Hwang and Dostoevsky. Human Grafting and The House of the Dead share the commonality of the post-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theme of humans and evil. The two works represent the evil as a "child" and emphasize the humanity found in it, and such a discovery of humanity is possible through "suffering." The way that the two works deal with the villains with a good will and the suffering as meaningful seems to originate from Christian humanism. However, the novels differ in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s and the villains. Whereas Hwang stresses the reformation of the villain by putting the "child" at the plot's center and representing it as the weak level of evil or "defilement," Dostoevsky focuses on one's own "guilt" rather than the reformation of the other by locating the "people" at the narrative core and representing them as the strong level of evil or "sin" or the "abyss" that is hard to logically comprehend.
Both Trees on a Slope and Crime and Punishment present the evil characters studying the freedom's tragedy and the female characters who embrace the tragedy. The authors suggest two methods of overcoming the freedom's tragedy, either an external power or a self-sacrifice. Hwang's "pruning" and Dostoevsky's "overman" are examples of the former, and Hwang's "maternity" and Dostoevsky's "Christianity" are examples of the latter. Viewing humans as "free" existence, the cases of "pruning" and "overman" focus on gaining a true freedom even if it means demanding a forced power. In contrast, the cases of "maternity" and "Christianity," due to their view of humans as "responsible" beings, must confront the given destiny and accept it as their moral responsibility.
The Moving Castle and The Brother Karamazov present the theme through the opposition between the atheists and the Christians. The atheist Chun-tae and Ivan raise issues against the human's weakness (evil) through the "nomad mentality" and "Grand Inquisitor" respectively, the Christian Song-ho and Zosima/Alexei often appear in the novels as those responsible for the human's weakness (evil). Chun-tae and Ivan aim for a sovereign freedom through a self-mastery. The concept of self-mastery sets the "real" self at its best and accepts the state of "freedom" only when the self governs its own life. And it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freedom through the exclusion or governing of the other. Nevertheless, Chun-tae's attempt at a sovereign freedom is obstructed by the other
Ivan's, the consciousness. This difference could arise from Hwang's attempt at establishing the secular ethics and Dostoevsky's study of metaphysical ethics. On the other hand, Song-ho and Zosima/Alexei stress the responsibility ethics surrounding the other. In an asymmetric relation, the existence of the other impedes the subject's freedom and demands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They deal with the human weakness (evil) as a means of love rather than power and call for recognizing the other's weakness (evil) as one's responsibility. Even within the structural commonality of the opposition between atheism and Christianity, the two works also differ from each other
whereas Chun-tae and Song-ho share the oppositional relationship that reflect each other, Ivan and Zosima/Alexei share the perpetual, oppositional relationship. Hwang expresses the figure of freedom through an autonomous subject but nevertheless portrays the enactment of ultimate freedom not in sovereignty bu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Hwang, thus, enables the balance with atheism and Christianity by stopping Chun-tae at his moment of becoming a sovereign entity. On the contrary, Dostoevsky does not reject the dialectical contradiction of belief and unbelief but perpetually maintains it. For Dostoevsky who considers the human's polar extremes, the contradiction's co-existence is an inevitable condi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1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