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東谿 趙龜命 遊記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희병-
dc.contributor.author박희수-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5:14Z-
dc.date.available2017-07-19T09:55:14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663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2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5. 2. 박희병.-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東谿 趙龜命(1693~1737)의 遊記에 대한 연구이다. 유기 텍스트를 연구하기 위해 우선 배경 사항을 먼저 정리하였다. 벌열가의 병약한 자제로서 문학에 매진한 그의 생애를 먼저 살피고 나서, 양명학적 지향을 보인 그의 사상과 개성과 주체성을 강조한 그의 문예론이 가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기 창작에 큰 영향을 준 만명 소품문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어서 이를 바탕으로 조귀명 유기의 주제적 특성을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조귀명의 유기에서 신이한 세계에 대한 관심을 나타난다는 사실을 조선 유기들과 만명 소품문 유기와 비교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그리고 예술적 매개를 통하여 자연의 심미성이 인식되는 양상을 살폈다. 다음으로는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의식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가 抒情化되는 양상을 탐구하였다.

앞선 분석에 이어 조귀명 유기의 표현적 특성을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유비와 상상력에 의한 의론화 경향이 나타남을 밝혔다. 그리고 다양한 비유법과 낯선 보조관념 이용의 구체적 방식을 살폈다. 다음으로 생략과 함축을 통한 암시적 묘사가 사용됨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追記東峽遊賞」의 독특한 문체가 원굉도와 왕사임의 유기 그리고 『山海經』 등 여러 전범들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종합하여 만든 독창적인 결과물임을 밝혔다.

조귀명의 유기에 대한 이러한 분석에 바탕하여, 조귀명 유기의 문학사적 의의를 세 가지 점에서 살폈다. 우선 조귀명 유기가 앞선 유기들의 탈주자학적 상상력을 계승하는 측면이 있음을 보였다. 다음으로 단양 산수유기 중에서 처음으로 일기체를 벗어나 小節化의 양식을 채용한 「추기동협유상」의 형식이 지닌 의의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19세기 유기 작가들에게 「추기동협유상」의 표현들이 변형된 채 받아들여지거나 인용되거나 인용표지 없이 표절되었던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귀명의 유기가 지닌 독특한 주관성과 자연관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조귀명의 유기에서 인간과 자아가 교감하는 특별한 순간이 지니는 미적 가치의 의미를 밝혔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Jo Guimyeong's travel writing. I preceded the actual explanation of the texts with an investigation on biological, philoso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author and the creation of texts. As an result I confirmed that the author himself was a high aristocrat who suffered from innate illness and concentrated on literature very seriously. Also it has been found that his philosophical thinking has shown relevance to that of Yangmingxue, one of the most prominent Neo-confucianist schools in Ming Dynasty, and his literary opinion strongly advocated individuality, all of which are very closely related with Late-Ming 'Informal Essay(Xiaopinwen)' movement, a cultural phenomenon in Joseon Dynasty at the time.

Then I undertook the actual examination of Jo Guimyeong's travel diaries, Yugi in Korean, where I identified these four main characteristics in theme: curiosity toward the mysterious, aesthetic perception mediated by art, consciousness on mortality, and lyrical transformation of the ego. These thematic characteristics reverberated in those in expression, namely: argumentation through analogy and imagination, various modes of figures of speech and unfamiliar vehicles, and syntactic anomalies and distinctive style. In doing so I have applied a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other works in Jo Guimyeongs texts, especially of those from Informal Essay movement, Yuan Hongdao and Wang Siren, and of those of a more distant origin,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Shanhaijing).

Finally, the meaning of Jo Guimyeong's travel writing in light of literary history was discussed under these three points of view: Deploying unorthodox imagination, Introducing a new form, and Setting up a new standard.

Through the process above I reached to a conclusion tha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o Guimyeong's travel writing lie in its anthropocentric subjectivity, which is unusual in East-Asian travel writing, and its continuous attempts to create one's own style from the influence of previous eminent writers. I also argued that despite its artificialness and abstruseness, Travel Account of a Previous Trip to Eastern Canyon(Chugidonghyeopyusang) displayed one of those rare moments when a man and nature sympathized with each othe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2. 예비적 검토
2.1. 전기적 사항
2.2. 양명학과 개성적 문예론
2.3. 晩明 小品文의 영향

3. 조귀명 유기의 주제적 특성
3.1. 신이한 세계에 대한 관심
3.2. 예술적 매개를 통한 심미 인식
3.3.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의식
3.4. 자아의 抒情化

4. 조귀명 유기의 표현적 특성
4.1. 類比와 상상력에 의한 議論化
4.2. 다양한 비유법과 낯선 보조관념 이용
4.3. 생략과 함축을 통한 암시적 수법
4.4. 構文論的 파격과 독특한 문체

5. 조귀명 유기의 문학사적 의의
5.1. 脫朱子學的 상상력의 계승
5.2. 小品文 형식의 정착
5.3. 丹陽 遊記의 전범 수립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9378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趙龜命-
dc.subject遊記-
dc.subject陽明學-
dc.subject晩明-
dc.subject小品文-
dc.subject袁宏道-
dc.subject王思任-
dc.subject『山海經』-
dc.subject「追記東峽遊賞」-
dc.subjectJo Guimyeong-
dc.subjecttravel writing-
dc.subjectJoseon-
dc.subject.ddc810-
dc.title東谿 趙龜命 遊記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v, 136-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