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自+X와 本+X의 문법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창섭-
dc.contributor.author오호-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6:44Z-
dc.date.available2017-07-19T09:56:44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02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4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6. 2. 김창섭.-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현대 한국어에서 한자어 자(自)와 본(本)으로 시작하는 2자 한자어 自+X와 本+X의 문법을 살펴본다. 自+X, 本+X의 어원, 내부 문법과 외부 문법의 분석을 하고 自, 本과 관련되는 재귀성, 지시성 등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에서 쓰이는 대부분 自+X의 어원은 고전 중국어이다. 자국(自國), 자당(自黨), 자사(自社)처럼 自와 명사적 어근의 결합은 대개 일본어에서 유래한다. 한문 문법의 층위에서 보면 많은 自+X의 X가 동사인 것이 自+X의 특징이다. X가 동사인 경우에 自+X의 내적 구성은 목술구성(예: 자살(自殺))과 부술구성(예: 자각(自覺))이 있고 X가 동사 아닌 경우에 自+X의 내부 구성은 병렬구성(예: 자아(自我)), 어근접미사구성(예: 자연(自然))과 형명구성(예: 자가(自家))이 있다. 自+X의 외부 문법을 분석해 보면 自+X는 강한 조어력을 가진다. 또한 自+X의 재귀성은 自+X의 X가 동사인 경우와 명사인 경우에 각각 재귀적 행위를 표상하는 동기와 3인칭 대명사가 지니는 중의성을 해소하는 동기로부터 생겨난다.
대부분 本+X의 내부 구성은 형명구성으로, 이 구성은 다시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가(本家)류의 本은 근본이 되는, 본래의의 뜻이고 본고(本稿)류의 本은 말하는 이의 편에서 이의 뜻으로 쓰여 관형적 성격을 지닌 어근으로 볼 수 있다. 本+X의 외부 문법을 분석해 보면 한자 1자 本은 自와 달리 독립적인 단어이고 명사나 관형사로 쓰일 수 있다. 또한 本은 접두사이고 한자어, 고유어나 외래어 어근과 다 결합할 수 있다. 본 연구처럼 관형사로 쓰인 本은 한자어 지시관형사이다. 本+NP는 주로 공식적인 문어체에 쓰인다. 本+X는 화자와 관련되는 것만 지시할 수 있다. 본인(本人)이나 본격(本格) 등 本+X는 재귀성을 지닌다.
自와 本을 비교하면 둘 다 원사(元辭)나 차사(次辭)로 쓰이는데 自는 의존형태소로서만 존재하는 반면 本는 자립형태소일 수 있다. 自는 사전 표제어로 등재되지 않고 本은 표제어로 등재된다. 自는 한자어 형태소와만 결합해서 단어를 만드는 데에 비해 本은 고유어나 외래어 형태소와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自는 동사나 명사와 결합해서 단어를 형성하는 반면 本는 주로 명사와 결합한다.
自+X와 本+X는 모두 차사와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自+X의 조어력이 本+X보다 훨씬 더 강하다. 또한 自+X와 本+X는 다 지시성이 있지만 自+X는 주어를 지시하고 本+X는 화자를 지시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대상 1
1.2. 선행 연구 2
1.3. 논의의 구성 5

2. 自+X의 문법 7
2.1. 自+X의 어원 7
2.1.1. 고전 중국어 10
2.1.2. 일본어 12
2.1.3. 한국어 14
2.2. 自+X의 내부 문법 15
2.2.1. 병렬구성 17
2.2.2. 어근접미사구성 18
2.2.3. 형명구성 18
2.2.4. 목술구성 19
2.2.5. 부술구성 23
2.3. 自+X의 외부 문법 24
2.3.1. 단일어 24
2.3.2. 복합어 26
2.4. 自+X의 재귀성 33
2.4.1. X가 동사인 경우 34
2.4.2. X가 명사인 경우 38

3. 本+X의 문법 40
3.1. 本+X의 어원 40
3.1.1. 고전 중국어 43
3.1.2. 일본어 44
3.1.3. 한국어 45
3.2. 本+X의 내부 문법 46
3.2.1. 병렬구성 46
3.2.2. 어근접미사구성 46
3.2.3. 부술구성 46
3.2.4. 형명구성 57
3.3. 本+X의 외부 문법 50
3.3.1. 단일어 50
3.3.2. 복합어 51
3.4. 本+NP의 문법 57
3.4.1. 本의 문법적인 성격 58
3.4.2. 本의 분포 60
3.4.3. 本+NP의 통합관계 64
3.5. 本+X의 지시성 및 재귀성 66
3.5.1. 本+X의 지시성 66
3.5.2. 本+X의 재귀성 67

4. 自+X와 本+X의 비교 69
4.1. 공통점 69
4.2. 차이점 70

5. 결론 74

참고문헌 77

부록 83
부록1 83
부록2 84
부록3 86
부록4 87

中文摘要 8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24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自+X’-
dc.subject‘本+X’-
dc.subject어원-
dc.subject내부 문법-
dc.subject외부 문법-
dc.subject재귀성-
dc.subject지시성-
dc.subject.ddc810-
dc.title自+X와 本+X의 문법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0-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