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유어와 한자어의 음절 구조 비교 연구 - 2음절어를 중심으로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규-
dc.contributor.author마야 아타예바-
dc.date.accessioned2017-07-19T09:58:44Z-
dc.date.available2017-07-19T09:58:44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25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216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2016. 8. 김성규.-
dc.description.abstract고유어와 한자어의 음절 구조 비교 연구
─ 2음절어를 중심으로 ─

마야 아타예바

본고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고유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유형, 음소 배열, 제1·2음절, 제1음절 종성과 제2음절 초성의 연쇄를 살피고 이들 간에 존재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 모어화자가 모르는 단어를 들었을 때에는, 직관적으로 그 단어에 대해 고유어일 가능성과 한자어일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러한 직관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확인하였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서 CVCCVC, CVCVC, CVCV, CVCCV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그런데 한자어에서는 CVCCVC처럼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2음절어가 일반적인데 비해 고유어 2음절어에서는 CVCVC이나 CVCV처럼 자음과 모음이 연결되는 2음절어가 가장 일반적인 것이 확인되었다.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에서도 자음과 모음이 연결되는 VCVC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한자어 2음절어에서는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VCCVC가 가장 일반적이다. 활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에서는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GVCCV가 가장 일반적이고 한자어 2음절어에서도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GVCCVC가 가장 일반적이다. 즉, 자음과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서는 자음과 모음이 연결되는 2음절어가 일반적이지만 한자어에서는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2음절어가 가장 일반적인 것이 고유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차이점이다. 한편, 활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와 한자어 모두에서 자음과 자음이 연결되는 2음절어가 일반적인 것은 고유어와 한자어의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한자어 2음절어에서 제1음절 초성과 제2음절 초성에 장애음(ㄱ, ㅅ)만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고 제1음절 종성과 제2음절 종성에서도 공명음(ㅇ(ŋ), ㄴ)만이 높은 비율을 보인다. 고유어 2음절어에서는 제1음절 초성과 제2음절 초성에 장애음(ㄱ, ㅅ, ㄲ)만이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이 아니고 공명음(ㄹ)도 높은 비율을 보인다. 또한 제1음절 종성과 제2음절 종성에서도 마찬가지로 장애음(ㄱ)과 함께 공명음(ㄴ, ㄹ)도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이 한자어와 다른 점이다.
한국어 모어화자가 모르는 단어를 들었을 때에는 고유어를 한자어로 인식할 수도 있고 한자어를 고유어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인식 과정이 잘못 되는 이유를 본 연구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잘못 인식될 수 있는 단어를 찾아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로는 음절 구조 유형의 비율이 고유어에서 높은 한자어가 고유어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유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제1음절이나 제2음절을 가진 한자어가 고유어로 인식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한자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제1음절이나 제2음절을 가진 고유어가 한자어로 인식될 수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절 구조 유형의 비율이 고유어에서 높은 한국어에서 존재하지 않는 단어가 고유어로 인식되는 것과 음절 구조 유형의 비율이 한자어에서 높은 한국어에서 존재하지 않는 단어가 한자어로 인식되는 것도 실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사 검토 2
1.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

2. 기본적 논의 10

3. 고유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13
3.1. 자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13
3.1.1. 평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13
3.1.2. 경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21
3.1.3. 격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25
3.2. 모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28
3.2.1.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29
3.2.2. j 활음과 w 활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 31

4.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34
4.1. 자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34
4.1.1. 평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34
4.1.2. 경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40
4.1.3. 격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41
4.2. 모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45
4.2.1.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46
4.2.2. j 활음과 w 활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 2음절어 48

5.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 비교 52
5.1. 자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52
5.1.1. 평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52
5.1.2. 경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57
5.1.3. 격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58
5.2. 모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63
5.2.1.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64
5.2.2. 활음으로 시작하는 고유어 2음절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절 구조 비교 66
5.3. 고유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제1음절과 제2음절 분석 71
5.3.1. 평음으로 시작하는 제1음절 71
5.3.2. 경음으로 시작하는 제1음절 88
5.3.3. 격음으로 시작하는 제1음절 92
5.3.4.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제1음절 98
5.3.5. 활음으로 시작하는 제1음절 101
5.3.6. 평음으로 시작하는 제2음절 103
5.3.7. 경음으로 시작하는 제2음절 122
5.3.8. 격음으로 시작하는 제2음절 131
5.3.9.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제2음절 138
5.3.10. 활음으로 시작하는 제2음절 140
5.4. 고유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소 배열과 제1음절 종성·제2음절 초성 연쇄 142
5.4.1. 고유어와 한자어 2음절어의 음소 배열 142
5.4.2. 고유어와 한자어 2음절어에서 제1음절 종성과 제2음절 초성 연쇄 비교 145
5.5. 설문 조사 158

6. 결론 177

참고 문헌 181

부록 187
[부록 1] 187
[부록 2] 216
[부록 3] 243

ABSTRACT 24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641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음절 구조 유형-
dc.subject음소 배열-
dc.subject제1음절-
dc.subject제2음절-
dc.subject제1음절 종성-
dc.subject제2음절 초성-
dc.subject.ddc810-
dc.title고유어와 한자어의 음절 구조 비교 연구 - 2음절어를 중심으로 --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250-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