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도민

Advisor
정용욱
Major
인문대학 국사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한미대사관무초이승만민주주의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2012. 8. 정용욱.
Abstract
본고는 1948∼50년 주한미사절단의 일부로 한국에 설치된 주한미특별대표부와 이후 승격된 주한미대사관의 조직과 위상, 정무활동 등을 고찰한 글이다. 미국은 미군정이 종료하고 주한미군 철수를 확정했음에도 한국을 포기하지 않았다. 1948년 8월 미국은 대사관이 총괄하는 미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했다. 미국은 미사절단을 통해 한국에서 여전히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미사절단은 신생 대한민국의 안정화와 한국에서 반공보루 구축이라는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활동했다. 미대표부는 1949년 1월 1일 미국정부의 한국정부 정식 승인이 발표된 이후 본격적인 인적 구성을 갖추었으며 1949년 4월 미대사관으로 승격했다. 이렇게 설치된 미대사관의 인적 규모는 전 세계에서 가장 거대했다. 나아가 대사관 서기관급 직원 중 정치 담당자가 거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대사관은 정치적 활동에 집중됐다.
미대사관은 대한민국 수립 이후 6.25전쟁 발발까지 한미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상을 차지했다. 미대사관은 미국 영향력이 한국정부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통로였으며 한국정부의 가장 중요한 고문기구 역할을 담당했다. 한국정부는 미국원조뿐 아니라 한국 내 주요 현안까지 미대사관의 자문을 구했다. 미대사관도 사안에 따라 한국정부 내정에 직접 개입했다.
미대사관의 기본적 정무활동은 한국 내 정보를 수집하고 미 국무부에 정세를 보고하는 것이었다. 공식적·비공식적 통로에서 수집된 정보는 작성자의 관점에 따라 가공됐으며 이후 대사관의 상급자들을 거치면서 일부 내용이 누락되기도 했다. 미대사관은 수집된 정보와 정세판단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펼쳤다. 나아가 미대사관의 정세판단은 미 국무부가 대한정책을 수립하는 데 주요한 참고자료였다.
1948∼49년 미대사관의 정무활동은 신생 대한민국 안정화에 집중됐다. 미대사관이 판단하기에 미군정기 해결되지 못한 친일청산이라는 탈식민 문제와 국회의 민주주의 실현 노력은 안보불안에 시달리는 한국 행정부 안정화보다 중요하지 않았다. 한국 국회의 행정부 비판은 갓 태어난 이승만정부를 흔들어 한국 안정화를 해치는 것일뿐더러 외세권력에 억눌려온 특수한 한국역사에서 기인하는 민족적 분노와 원한의 산물에 불과했다. 따라서 미대사관은 1949년까지 이승만정부의 반민주적 조치들을 묵인하거나 변호했으며 나아가 외부 개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방패막이 역할을 담당했다.
그런데 미대사관의 태도는 1949년 말 돌변했다. 1949년 말 한국 내 안보상황은 호전됐으나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특히 미대사관이 판단하기에 한국경제 위기는 국가재정을 멋대로 운영하는 이 대통령의 독선 때문에 발생했다.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대통령을 견제하려던 미대사관과 미 국무부는 1950년 5월 국회의원선거에 직접 개입했다. 이승만은 선거연기를 시도했으나 대사관과 미국은 신속하게 개입하여 이승만의 선거연기를 철회시켰다.
미국은 개입하면서 한국의 전체주의 국가화 방지를 표방했다. 그런데 미국이 내세운 민주주의 수호라는 정책적 수사 이면에는 독단적인 이승만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미국은 1년 전 식민잔재 청산과 국회 독립성 훼손이 문제시될 때 한국정부를 방관 혹은 옹호하던 입장을 철회하고 적극적으로 한국정부에 개입했다. 결국 이 시기 미대사관은 한미 간 외교현안을 해결하는 일반적인 대사관의 위상을 넘어 한국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독특한 고문기구 역할까지 수행했다.
1948∼50년 시기 미대사관과 한국정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미관계는 이후 한국현대사에서 반복되는 탈식민과 민주주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일정한 역사적 맥락을 제공할 것이다.
The United States Embassy in Korea and its political activities from 1948 to 1950

This study examines the installation process, organization, status and especially political activities from 1948 to 1950 of the United States Embassy in Korea which was approved from the Mission of the United States Special Representative in Korea in April 1949.
Although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ended with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ROK) in Aug. 1948 and the withdrawal of the US armed forces in Korea(USAFIK) had already been decided by then, US ultimately did not intend to give up the ROK. In the interest of maintaining the influence of US in ROK, The US Government sent the enormous American Mission in Korea(AMIK) which consisted of four agencies: the US Embassy in Korea, the Korean Military Advisory Group, the Economic Cooperation Administration Mission on Korea and the Joint Administration Services. The AMIK worked in various fields of activity in order to make ROK an anti-communist fortress in the Far East Asia.
The US Embassy in Korea stood the most important in the Korean-American relation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a newly-independent nation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ll phases of U.S. Government activity in Korea should be unified in a combined American Mission in Korea under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American Ambassador" in conformity with the rules of 「A REPORT to the PRESIDENT by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on THE 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WITH RESPECT TO KOREA THE PROBLEM, March 22, 1949」(「NSC 8/2」). US could in other words exercise political leverage over Seoul through its embassy.
On the other hand, the ROK government also regarded the US Embassy in Korea as the most significant instrument through which it can reach Washington. The ROK government asked for the advices not only about US aid but also about other serious pending issues. In reality, US embassy and government interven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in Seouls internal affairs.
Politically, the basic activities of the US Embassy in Korea were to collect information and send reports to Washington.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routes was at first process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eparing members of the Embassy. Then it was reprocessed by senior staffs such as Ambassador Jone J. Muccio or Councilor Everett F. Drumright once more. These information and reports were used for the Department of State to establish the US policy regarding Korea as well as for US Embassy to do its work in Seoul.
After closely examining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US Embassy in Korea from 1948 to 1949, this study states that the focus of its activities changed since late 1949. From 1948 to 1949,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Embassy was focused on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newborn ROK. During this period, its situation was in turmoil due to some pending issues: the punishment of the pro-Japanese Koreans which had been yet to be solved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Rhe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In these circumstances, the US Embassy decided that the stability of Rhee administration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problem of decolonization or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al Assembly. Its judgement was that up to late 1949 the national security of South Korea was still very insecure. It also judged that the Korean National Assemblys criticism on the administration was not the same thing as in the Western democracies, being nothing more than some national resentment or anger springing from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of Korea. The US Embassy therefore overlooked or justified the anti-democratic measures of Rhee administration, and went so far as to behave as ROK's protector from external intervention.
From December 1949, however, the US Embassy and the Department of State took a dramatic turn of attitude. The security of ROK at that time was highly improved, but inflation arose. They thought that the economic crisis of South Korea originated from the arbitrary decisions and policies of president Syngman Rhee who had been conducting the national finance on his own authority.
At the point when the US was checking president Rhee in the interest of solving South Korea's economic problem, Rhee was attempting to postpone the scheduled election in May 1950. The US Embassy and the Department of State quickly intervened in Rhees endeavor, and in the end he stepped back from his initial stance. Intervening in this political issue, US claimed to advocate the protection of democracy in South Korea. But behind the rhetoric of political slogans was its masked intention to check Rhee's arbitrariness. Recanting its non-involvement policy of just some months ago, the US performed an active role.
In sum, throughout these two years, the US Embassy was not only an institution that dealt with diplomatic issues generated in the Korean-American relations but also an advisor that directly intervened in South Korea's domestic affair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1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