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onceptualizing Celebrations in Pyeongyang: A Study on the "Welcoming Ceremonie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 平壤의 향연을 그리다: 피바디에섹스박물관 소장 <平安監司饗宴圖>에 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ilviaChang

Advisor
장진성
Major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고미술사학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학전공, 2015. 8. 장진성.
Abstract
국문초록

미국 매사추세츠주 피바디에섹스박물관(Peabody Essex Museum) 소장 는 새로 부임한 평안도 감사를 위해 열린 연회 장면이 그려진 8폭의 병풍이다. 피바디에섹스박물관은 1927년에 이 작품을 구입하였으며 그림은 현재 각 폭이 따로 나뉘어 보관되어 있다. 2003년에 정병모는『조선시대 음악풍속도 II』에서 각 8폭의 장면을 監司行迎, 到任歡迎, 宣化饗宴, 練光遊宴, 浮碧夜宴, 大同船遊, 月夜船遊, 監司巡祖로 명명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이 그림들의 시대적, 회화적, 사상적 특성과 의의들을 살펴보았다.
평양은 고대부터 오랜 역사를 지닌 한반도의 중요 거점 도시 중 하나이다. 평양은 기자조선이래 기성으로 불렸으며, 고구려시대에는 수도로서 번영을 누리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평양은 동성(東城)으로 지칭되며 수도 한양에 못지 않는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로 크게 발전하였다. 특히 평양은 조선의 동쪽 경계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중국과 일본 사신들이 거쳐가는 정치외교상의 거점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평안도의 중심도시인 평양에 부임하는 평안감사는 관민을 거느리고 조선의 군사외교적 평화를 지키는 중요 직위 중 하나였다. 이러한 평양의 정치외교적 특수성과 경제적 번영 때문에 평안감사도임 축하연은 매우 성대하게 개최되곤 했다. 따라서 평안감사라는 지위는 조선시대 양반 관료들에게 선망의 대상으로 손꼽히곤 했으며, 이상적인 일생을 묘사한 의 한 장면으로서 즐겨 그려지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평양 관련 고전문헌 자료 및 조선시대 궁중회화 자료를 검토하여, 피바디에섹스박물관 소장 이 어떻게 그리고 어떤 목적으로 제작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우선 평양이 일찍부터 출판 문화가 발달한 도시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16세기 윤두수(尹斗壽, 1533-1601)의 『평양지(平壤志)』를 비롯하여 평양에서는 일찍부터 이 지역의 지리, 경제, 사회구조, 인물, 건축, 농업, 가무 등 주요 요소들이 기록된 문집이 지속적으로 출판되었다. 특히 평양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평양팔경(平壤八景)」 혹은 「관서명승(關西名勝)」의 제재는 평양의 외관을 묘사한 와 제작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또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8세기 조선시대에는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후원으로 크게 성장한 도화서(圖畵署)를 통해 다량의 기록화가 그려졌으며, 활판인쇄의 발달에 힘입어 다량의 의궤(儀軌)가 출판되었다. 그 중에서도 1795년 정조가 화성(華城, 오늘날의 수원)으로 행차하는 모습 및 당시 열린 행사들이 기록된 과 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여덟 장면으로 이루어진 의 회화적 구성을 가 따랐다는 사실이다. 정조는 1795년 화성 행차시 모친인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1735-1815)의 회갑연을 비롯하여 기로회(耆老會)등 여러 의례를 함께 거행하였다. 조선시대 회화에서 왕의 모습은 어진(御眞)을 제외하고는 그려질 수 없었으므로 에도 정조의 모습은 묘사되지 않았으며, 대신 어좌(御坐), , 가마 등이 상징적으로 왕을 나타냈다. 각 폭의 회화적 주인공들은 일견 의례를 행하는 인물들로 보이지만, 모든 의례의 실질적이고도 핵심적인 주체는 사실상 정조였으며, 이 모든 회화적 재연은 그가 조선을 평화롭게 다스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시각적 장치였다.
는 평안감사가 평양에 새로이 부임하여 왕의 대리인으로서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 마찬가지로 이 그림의 주인공 역시 평안감사라기보다는 그를 통해 대리된 통치행위를 관할하고 있는 조선의 국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례의 외관적 주체인 평안감사가 아니라, 국왕을 정점으로 이루어지는 통치행위의 위계적 질서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위해 를 로 새롭게 지칭하고 국왕, 평안감사, 목민관, 그리고 그보다 더 낮은 지위의 인물들이 회화적으로 재연되고 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해보았다.

주요어: 평안감사, 평양성도, 화성능행도, 평양팔경, 평생도
학 번: 2011-24006
Abstract
Chang, Silvia Hari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Welcoming Ceremonie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collection of the Peabody Essex Museum depicts eight different celebratory scenes honoring the newly appointed provincial governor at Pyeongyang city. This screen acquired in 1927, is currently in eight separate panels but was once in a folding screen format. According to the catalogue, Joseon Dynasty Genre Scenes of Music II: Source Materials for Korean Musicology, depicted are the following scenes, in no particular order: Greeting the Governor, Entering Pyeongyang Fortress, Banquet at Seonhwa Pavilion, Gathering at Seonhwa Pavilion, Banquet at Yeongwang Pavilion, Banquet at Bubyeok Pavilion, Crossing Daedong River, and Night Boating on Daedong River. This thesis will also use these classifications to discuss the panels in art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Pyeongan Province, first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1392?1910), consists of the major city of Pyeongyang, which boasts a long history dating back to Gija Joseon (??194 BCE) and also being named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910?1392). During Joseon, Pyeongyang became to be known as the Eastern Capital and developed its economy and culture more efficiently than any other city. It was particularly important as a barrier and front for the eastern border, becoming an important place of cultivation for traveling Chinese and Japanese emissaries to rest. The provincial governor of Pyeongan, hence, held great importance in keeping peace as a representative of the Joseon court, and the king himself. Due to the vital role of the provincial governor and the thriving economic circumstances that Pyeongyang enjoyed, lavish celebrations were able to be held in honor of newly appointed governors as well as for other important events. Thus, the office of provincial governor of Pyeongan became a goal for an upper class official to achieve and even became one scene of the popular genre paintings, highlights of an illustrious lifetime.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how this painting theme developed by examining documents related to Pyeongyang as well as other related upper class and court paintings. Pyeongyang had an advanced printing culture. In the fifteenth century, Yun Dusu (1533?1601) wrote the first of a long tradition, the Pyeongyang Gazetteer that recorded Pyeongyangs geography, economy, social structure, important figures, places, architecture, agriculture, music, dance, and many other aspects of the city and its culture. This gazetteer as well as famous poets who remarked upon Pyeongyangs beauty through prose, gave birth to paintings such as the eight scenic spots of Pyeongyang, eight scenic spots of the Western Province, and most importantly, complete view of Pyeongyang screens. Moreover, in the eighteenth century through King Jeongjos (r. 1776?1800) patronage of art,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was able to grow, resulting in advancements in printing with movable type as well as greater production of record paintings. Of these, Jeongjos infamous journey to Hwaseong (todays Suwon) in 1795 was recorded in royal protocol books (uigwe) as well as in painting screens. King Jeongjos Royal Procession to Hwaseong in 1795 is an eight-panel screen that depicts a different celebratory scene in each panel. The king is never depicted since it was only allowed to portray a king in royal portraits. Instead, he is represented by an empty royal throne with a screen of sun, moon, and five peaks behind it or at other times by a royal carriage or royal horse. While each celebration taking place is to honor different individuals such as the kings mother or honorary officials who passed the state exam, the actual protagonist of the painting is King Jeongjo, whom without none of these celebrations would have been able to take place. His royal authority is reflected in the painting, showing the peaceful prosperity that his reign has brought to Joseon.This concept can be applied to the welcoming ceremonie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While each panel depicts scenes to honor the new governor, in actuality, the true honorary figure is the king who is only depicted through use symbols of royal authority, such as the dragon flag, five-colored tassel banner, and royal scroll. Thus, this set of eight panels can actually be designated as Celebrations in Pyeongyang, to honor the kings prosperous rule that the provincial governor as well as his other government officials dutifully fulfill in their prescribed roles.

Keywords: Pyeongyang, Pyeongan Province, celebratory paintings, record paintings
Student number: 2011-24006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2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