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夢遊桃源圖〉 卷軸과 世宗代 書畵合璧 硏究 : A Study of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and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Sejong Perio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윤회

Advisor
장진성
Major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서화합벽(書畵合璧)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세종(世宗)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비해당소상팔경시권(匪解堂瀟湘八景詩卷)안견(安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 2017. 2. 장진성.
Abstract
텐리대학(天理大學)이 소장하고 있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권축(卷軸)은 현동자(玄洞子) 안견(安堅, ?-?)의 〈몽유도원도〉와,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을 포함해 전체 22명의 글을 한데 엮어 만든 서화합벽(書畵合璧) 작품이다. 세종(世宗, 재위 1418-1450)의 셋째 왕자인 이용은 1447년 음력 4월 20일 밤에 박팽년(朴彭年, 1417-1456), 신숙주(申叔舟, 1417-1475) 등과 함께 도원에 들러 경관을 즐기는 꿈을 꾸었다. 그리고 측근이었던 안견에게 꿈의 내용을 말하며 그림을 한 점 그리도록 명하였다. 이것이 조선 전기 회화의 대표작인 〈몽유도원도〉이다. 그림이 완성되자, 이용은 당대 21명의 명사들에게 시문을 받아 그림과 함께 엮어서 시·서·화 삼절의 〈몽유도원도〉 권축을 만들어냈다.
〈몽유도원도〉 권축은 그림과 글들을 모두 포함할 경우 총 길이가 20m에 다다르는 장권(長卷)의 작품이다. 이처럼 많은 인물들의 글이 그림과 함께 묶여 제작된 서화합벽 권축은 동아시아 삼국을 통틀어도 비교할만한 예가 거의 없다. 특히 후대에 작품을 감상한 이들에 의해 글이 더해지는 중국의 서화권과 달리, 〈몽유도원도〉 권축의 회화와 모든 찬문은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한다면 〈몽유도원도〉 권축과 유사한 형식을 가진 이전 시기의 작품을 찾기는 더욱 어렵다.
그런데 세종 재위 말년에는 〈몽유도원도〉 권축과 같은 독특한 형식의 서화합벽 작품들이 여러 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주목해 볼 만하다. 비록 작품은 전해지고 있지 않으나, 1442년부터 1448년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적어도 일곱 점의 서화합벽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세종대에 활동하던 문인들이 시회(詩會)를 즐겨 행하며 수많은 제화시(題畵詩)들을 남겼다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현재 확인할 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수의 서화합벽이 세종시대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세종시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서화합벽의 매체 형식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이를 세종대 서화합벽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을 통해 이를 배태(胚胎)할 수 있었던 문화적 배경을 분석하여, 세종대 서화합벽이 가졌던 정치적 의미를 규명하였다.
〈몽유도원도〉 권축과 함께 〈비해당소상팔경시권(匪懈堂瀟湘八景詩卷)〉(1442), 〈발암폭포시화축(發岩瀑布詩畵軸)〉(1442), 〈이사마산수도(李司馬山水圖)〉(1443), 〈팔준도(八駿圖)〉(1446), 〈팔준도〉(1447), 〈임강완월도권(臨江玩月圖卷)〉(1447) 등의 제작 기록을 살펴보면 세종대 서화합벽의 특징을 몇가지 확인할 수 있다. 첫째로, 세종대 서화합벽은 한 점의 회화를 중심으로 당대 여러 문사(文士)들의 글이 함께 하나의 권축으로 묶여 이루어졌다. 둘째로, 세종대 서화합벽의 중심을 이루는 회화작품은 자연의 모습을 담은 산수화였다. 셋째로, 세종대 서화합벽의 제작에는 안평대군 이용이 밀접하게 관여하였다.
첫 번째 특징과 관련하여, 세종대 서화합벽이 다른 어떤 문예 형식보다 회화를 중요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 볼 만하다. 세종시대 사대부 문인들에게 그림은 단순한 여기(餘技)를 넘어 시적 완상의 대상이었다. 고려 때부터 받아들여온 소식(蘇軾, 1037-1101)의 시화일률론(詩畵一律論)은 문인들 사이에서 회화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세종시대 회화가 시와 같은 중요성을 지니게 되었다는 점은 신숙주가 시는 소리 있는 그림, 그림은 소리 없는 시(詩爲有聲畵, 畵詩無聲詩)라고 말한 것에서 잘 드러난다. 시와 같이 높아진 회화의 위상은 회화를 중심으로 세종대 서화합벽이 구성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배경이었다.
세종대 서화합벽 중 회화가 자연을 소재로 한 산수화였다는 두 번째 특징은 문인들이 뜻을 나누기 위한 매개체로서 산수를 그린 그림을 선호하였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조정의 어지러움과 대비되는 이미지로서, 산과 자연은 은거(隱居)에 대한 전통적인 은유였다. 특히 15세기 사대부 문인들에게 귀거래(歸去來)를 통한 은일은 하나의 이상향과 같았다. 그러나 실제로 출사(出仕)를 포기하지 못한 많은 문인들은 조정에의 은거(朝隱)라는 개념을 통해 스스로의 모습을 변명했다. 이들에게 산수화는 조정에 앉아 자연을 향유하기 위한 가장 좋은 가자연(假自然)의 매체였다. 산수화를 두고 함께 와유(臥遊)하며 은일에 대한 희구(希求)를 가식(假飾)하고자 하는 마음은 세종대 서화합벽이 각기 다른 상황 속에서 제작되었음에도, 그 모든 중심에 산수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세종대 서화합벽의 제작에 안평대군 이용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세 번째 특징 또한 독특한 문예형식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실마리이다. 새로 세워진 국가의 주도 세력이었던 조선의 사대부들은 스스로의 권력에 당위성을 부여하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할 필요를 절실하게 느꼈다. 아울러 정권을 둘러싼 이합집산(離合集散) 속에서 서로가 같은 뜻을 가졌음을 확인하는 유대(紐帶)의 모임 또한 그들에게 끊임없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용은 자신의 풍부한 재력과 대군으로서의 지위를 바탕으로 당대 인사들과 다양한 모임을 통한 교류를 여러 차례 주관하였다. 세종대 서화합벽의 제작 역시 이같은 맥락 속에서 이용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회화와 함께 여러 점의 시문이 모여 하나의 작품을 이루었던 세종대 서화합벽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제작 과정에 여러 문사들의 교류가 있었음은 자명하다. 이는 전통적 아집(雅集)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고아한(雅) 매체들을 통해 이루어진 만남(集)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와 대등할 정도로 격상된 회화의 위상과, 은거를 가식하고자 했던 문인들의 의지, 문인관료 간의 정치적 회합의 필요성 등이 대규모 시·서·화 종합예술이 제작될 수 있는 사회문화적 바탕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세종시대의 문화적 지형 안에서 안평대군 이용은 회화를 중심으로 고아한 만남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한 만남의 결과인 세종대 서화합벽은 조선 초기 회화의 역할과 기능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Scroll (夢遊桃源圖卷軸), now in the Tenri University (天理大學) Library, is a marvelous handscroll representing the level of landscape painting in early Joseon Korea . It is composed of the painting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夢遊桃源圖) by the eminent early Joseon painter An Gyeon (安堅, active 1440s-1470s) and the accompanying colophons by twenty-two scholars, including Prince Anpyeong (安平大君) Yi Yong (李瑢, 1418-1453). On 20 April 1447, Prince Anpyeong fell asleep and had a dream in which he and his scholar-friend Bak Paengnyeon (1417-1456) made a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After he woke up, the prince asked An to paint a picture that he had seen in his dream. In response to Prince Anpyeongs request, An immediately painted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depicting the splendors of a mystical paradise. Prince Anpyeong gathered colophons from scholars of the time and made them into a long scroll with Ans painting. The result is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a masterpiece embodying the Three Perfections (三絶):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s a long handscroll that is about twenty meters in length when it includes the painting and the colophons. It has almost no parallel work in the form of a scroll in east Asian art in terms of the number of colophon-writers who were contemporaries of the paint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imilar forms of scrolls were made in the late period of King Sejong (世宗, r. 1418-1450). Although none of these scrolls have survived to date, textual records show that at least seven of the so-called Harmonious Combin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書畵合璧), a combination of painting and its accompanying colophons, were made during the 1440s. Furthermore, given that the scholars of the Sejong period often gathered and made poetry together, we can assume that many other Harmonious Combination works were made.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 in detail this unique art form made in the Sejong period and name it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Sejong Period (世宗代 書畵合璧). Furthermore, by researching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period, I investigate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as a medium of art. Along with the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scroll, the textual records of Poems for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Commissioned by Prince An Pyeong (匪懈堂瀟湘八景詩卷), Balam Falls (發岩瀑布詩畵軸), Landscape for Grand Marshal Yi (李司馬山水圖), Playing with the Moon near the River (臨江玩月圖卷), and two of Eight Horses (八駿圖) show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First, the Harmonious Combination consists of one painting and many contemporaneous colophons. Second, landscape paintings were used to constitute each of these works, which are examples of this collective art form. Third, Prince Anpyeong was at the center of making the Harmonious Combination.

The first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gives prominence to painting. For scholars of the Sejong period, painting was not just a form of entertainment or for leisure but also a medium for poetic appreciation. The reception of Su Shi`s (1037-1101) literary theory of infusing painting with poetry among the Goryeo (918-1392) literati had raised the status of painting. Sin Sukju (1417-1475) demonstrates the theorys prominence by saying, Poetry is painting with sound, and painting is poetry without sound. The status of painting, which has highly elevated,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ultural background that enables painting to be at the center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enterprise.

The second characteristic suggests that scholars of the Sejong period preferred landscape painting and ued it as a means of their personal and political thoughts. In contrast to the royal court, natural sceneries are traditional metaphors for the living in seclusion, which was the ideal for the scholar-officials of fifteenth-century Joseon. However, many of them did not make a great deal of effort to practice their ideal of seclusion. Instead, they justified themselves with the concept of the reclusion at court (朝隱). Painting was a perfect medium as an imitation of nature (假自然) that enabled scholars to stroll in nature at home (臥遊). Scholar-officials desire to self-fashion themselves as hermits made it possible to put a landscape in every Harmonious Combination consistently.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prince Anpye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the Harmonious Combination, which is a salie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art form. In fifteenth-century Joseon, scholar-officials felt the need to reveal their political ideas and personal thoughts in the form of art. The Harmonious Combination served as a means of showing their personal and political thoughts. Political groups repeatedly reorganized themselves and scholar-officials looked desperately for the chance to verify each others political views and stances. Prince Anpyeong hosted gatherings several times thanks to his political position and financial ability. Making the Harmonious Combination could have functioned in the same political context. Taking account of the arrangement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which is composed of a painting and its accompanying colophons, there is no doubt that scholar-officials carried out exchanges amo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making it. This was a gathering (集) using an elegant (雅) medium, just as with the famous elegant gathering (雅集) tradition.

This paper presents three important cultural backgrounds for the birth of this important art form consisting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Sejong period—namely, the elevated status of painting, the scholar-officials strong desire to self-fashion themselves as hermits, and the scholar-officials need for political meetings. In this cultural topography, prince Anpyeong could have successfully arranged gatherings using the elegant medium of painting.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Sejong Period is an important result of the gatherings that shows the significant role of painting in the Sejong perio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2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