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factors and learning curve associated with complete endoscopic resection of colorectal adenomas : 대장 선종의 내시경적 완전 절제에 관련된 요인 및 학습곡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지민

Advisor
김병관
Major
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denomatous polypspolypectomycolonoscopyendoscopistlearning curv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상의과학과, 2014. 2. 김병관.
Abstract
서론: 대장암의 발생률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선종성 용종의 완전절제가 중요하나 내시경적 완전 절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내시경적 절제의 완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용종 절제술의 학습 곡선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3년 2월 사이에 대장내시경 및 1개 이상의 용종 절제술을시행받았던 환자 1666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체 3069개의 용종성 선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1차 결과는 내시경적 불완전 절제에 영향을 미치는 용종의 특성으로하였고, 2차 결과는 전문 시술자와 비교하여 성공적인 완전 절제에 요구되는 시술 경험의 수준으로 하였다.

결과: 3069개의 용종성 선종중 989개 (32.2%) 는 한명의 전문 시술자에 의해, 2080개 (67.8%) 는 7명의 전임의에 의해 제거되었다. 전문 시술자군에서 분할 절제율이 유의하게 적었고 (2.7% vs. 10.3%
P < 0.001), 음성 절제연이 더 많이 확보되었다 (65.1% vs. 45.2%
P < 0.001). 전문 시술자군에서는 큰 직경 (≥10 mm), Is 형, 톱니형 선종이 불완전 절제와 연관을 보였고, 전임의군에서는 용종의 특성보다는 시술 경험의 수준이 절제의 완전성에 더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전임의군에서 300개 이상의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였을 때 완전 절제율이 전문 시술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만큼 개선되었다.

결론: 전임의군에서 300개 이상의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기 전까지는 내시경적 완전절제를 위하여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4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