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65세 이상 인구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과 급성신부전 발생위험에 관한 환자-교차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민

Advisor
박병주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예방의학 전공, 2013. 2. 박병주.
Abstract
프로톤펌프억제제는 위장관의 H+/K+-ATPase(Proton Pump)에 작용하여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강력한 약물이다. 프로톤펌프억제제의 처방량이 매년 증가하면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과 관련하여 급성신부전 발생위험에 관한 보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급여기준 심사청구자료(이하 심평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에 따른 급성신부전 발생위험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의 심평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환자에서 처방 및 진단정보를 확인하여 환자-교차연구를 수행하였다. 4,159,305명의 노인환자 중 급성신부전이 있는 환자는 6,300명이었다. 그 중 2005년 1월 1일부터 10월 31일 사이 급성신부전(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 code, N17)이 발생한 환자는 과거약물복용력을 파악하기 어려워 제외하였고, 급성신부전발생 이전에 신부전(ICD-10, N18-19)이나 간질성신염(ICD-10, N10-12)이 있었던 환자도 제외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 11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급성신부전을 처음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 1,333명으로 한정하였다. 급성신부전 발생위험과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간의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하나의 위험기간(hazard period)에 대하여 두 개의 대조기간(control period)을 1:2로 개별짝짓기하여 설정하였다. 노출기간(time window)과 중개기간(intervening period)은 각각 8주로 정의하였다. 성별, 연령군, 동반질환에 따라 층화하여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과 급성신부전 발생위험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고, 동반질환에는 심부전, 당뇨병을 포함하였다. 층화변수에 따라 대응위험도 차이가 있는지 p-value for interaction을 산출하여 확인하였다(p for interaction<0.1). 대응위험도와 95% 신뢰구간 산출은 조건부로짓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험요인인 약물군의 사용 및 급성질환의 진단 중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와의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맥네마검정을 시행하였고, 급성신부전과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우도비검정을 적용하였으며,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p-value가 0.1 이하인 위험요인만을 교란변수로 간주하여 통계분석 모델에 포함하였다. 모델에 포함된 약물군은 이뇨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안지오텐신-Ⅱ수용체차단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베타락탐계 항생제, 항진균제, 조영제, H_2 차단제 였고, 급성질환은 위장관출혈과 패혈증이 포함되었다.

약물군 사용과 급성질환 진단을 보정한 후에도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은 급성신부전 발생위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OR: 4.29, 95% CI: 2.06-8.91). 층화분석한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에 의한 급성신부전 발생위험이 높았고(aOR:8.97, 95% CI: 3.13-25.69), 동반질환으로 당뇨병이 있는 군에서 해당질환이 없는 군에 비해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에 따른 급성신부전 발생위험이 높았으며(aOR: 9.32, 95% CI: 3.35-25.88) 각각 군간 대응위험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for interaction<0.1). 연령군별, 심부전환자군별 층화분석을 한 경우, 층화변수에 따른 군간 대응위험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for interaction>0.1).

본 연구를 근거로 의사들은 노인에게 프로톤펌프억제제를 처방할 때 급성신부전 발생가능성을 주지하여, 환자에 대한 밀접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인과적 관련성을 보다 정밀하게 확정하기 위한 추가적 약물역학연구도 수행되어야할 것이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25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