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분석과 연주의 관계성을 토대로 한 해석이론(Interpretationstheorie) 고찰 -쇼팽(F. Chopin)의 《Ballade Op.23》을 중심으로- : The Considerations on Interpretation Theor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Performance -Focused on 《Ballade op. 23》of F. Chopi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혜린

Advisor
오희숙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분석과 연주해석해석이론연주 분석쇼팽 발라드Op.23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2. 8. 오희숙.
Abstract
본 논문은 분석과 연주의 관계성을 토대로 한 해석이론(Interpretationstheorie)에 관한 연구이다. 음악에서의 해석(Interpretation)은 분석과 연주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것을 체계화 시킨 것이 해석이론이다. 음악은 다른 예술과 달리 작품을 창작하는 작곡가와 그것을 연주하는 연주자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과 연주에 있어 대립적 관계가 발생하고, 이러한 양분화는 두 분야 모두 해석이라는 분야를 함께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 기반을 구축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특히 철학자 데이비스와 레빈슨, 음악학자 다누저는 이러한 해석을 유형화시켜 설명하였다. 이들의 해석이론은 내용적인 면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들이 있었지만 다누저의 해석이론은 데이비스나 레빈슨의 해석이론을 넘어서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앞선 두 사람의 해석이론은 분석에서 연주로의 일방통행(분석→연주)만을 나타낸 반면, 다누저의 해석이론인 분석적 해석론은 양방통행(분석⇄연주), 즉 분석해서 연주하고 연주를 분석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분석과 연주의 대립되는 양상을 완화하고자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연주를 위한 해석이론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적 해석론이라고 명한 이 해석이론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분석을 필요로 하는데, 악보 분석, 작품 분석, 연주 분석이 그것이다. 그리고 해석이론이 작품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대상으로 쇼팽의 피아노 작품 《Ballade Op.23》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단계인 악보 분석은 악보의 출판 과정을 통해 악보를 어떻게 읽을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쇼팽 발라드 Op.23의 경우 작곡가 자신이 초판 과정에 참여 했으며 초판의 버전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하기도 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개정판의 경우도 어떤 버전의 초판을 참고하였는지, 주요 원전이 같은 것을 참고해도 개정판에서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해야 연주에서 쇼팽의 의도를 최대한 끌어 낼 수 있다. 이것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작곡가의 해석과 편집자의 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유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주자는 자신의 연주 방향을 설정하는 연주자의 해석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발휘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인 작품 분석은 작품의 형식과 구조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작품을 형식적 측면에서 본다면 같은 형식으로 작곡된 작품들 간의 형식적 유사성을 끌어 낼 수는 있다. 하지만 이미 정해진 틀 안에서 분석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쇼팽의 발라드 Op.23처럼 형식적으로 자유로운 작품을 분석할 때는 한계점이 있다. 작품의 구조는 상당 부분을 형식에 영향을 받지만, 작품 그 자체의 음악적 요소들이 가진 특징을 중점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연주를 할 때 작품 전체의 흐름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단계를 통해 우리는 작품 그 자체를 서술적으로 해석할 수 있고, 또한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게 된다.
세 번째 단계인 연주 분석은 기본적으로 악보나 작품에 대한 정보, 즉 주관적인 생각을 개입하지 않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해 오직 소리로만 연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주 분석을 통해 한 연주자의 연주 뿐 아니라 같은 작품을 연주한 서로 다른 연주자들의 연주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는 같은 작품을 연주하는 또다른 연주자들에게 연주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제공 할 수 있고, 비평가들이 연주를 들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연주 비평을 제공할 때에도 설득력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쇼팽 발라드 Op.23의 경우 낭만시대에 작곡된 작품인 만큼 필자는 지정 구간에서의 다이내믹과 템포 분석을 제안한다. 기존의 녹음된 연주 분석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새로 시도한 점은 곡의 일부분이 아니라 곡 전체 템포를 분석함으로써 연주 스타일이나 전체적인 흐름을 한 눈에 파악했다는 점이다. 또한 각 부분들의 분석을 통해 연주자들이 작품에서 극적인 표현은 어떻게 나타내는지 템포 루바토는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템포를 분석하는 방법론적인 면에서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악보에 표기된 다이내믹과 템포 기호가 실제로 그렇게 연주되는지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이는 작품의 다른 부분이나 새로운 연구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므로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특히 분석 대상의 연주자 수를 늘리면 작품의 특정 부분의 평균 연주 스타일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연주에 대한 실증적 예를 찾는 연구로도 그 범위를 발전시킬 수 있다.
필자가 제시한 모델은 개별적 작품의 이론적 해석인 분석을 토대로 작품의 연주에 접근하는 분석적 해석론의 틀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지만, 연주 분석의 방법론적인 면에서 필자의 시각으로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상적인 연주를 위한 것이라고 해서 연주의 주체가 연주자에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해석이론에서 작곡가, 비평가/연구가, 음악가/지휘자/생산자, 청자 모두가 해석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연주는 테크닉에 의존한 소리 그 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음악학적 배경 지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분석적 해석이론은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해석이론에 옳은 하나의 해석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석의 다양성은 존중되어야 한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분석에 근거한 해석이론에 관한 연구 뿐 아니라 미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른 카테고리의 음악학에 근거한 해석이론에 관한 연구로도 그 범위가 확대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interpretation theor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performance. The interpretation in music is the learning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performance, and what organized this is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As, in music unlike other arts, composers who create works and players who play them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coherent relationship occurs between analysis and performance, and this bisection, despite two areas dealing with sphere of 'interpretation', arises from limitations failed to establish common ground.
Davies and Levinson, especially philosophers, and Danuser, musicologist classified and explained these interpretations. Their interpretation theories are partially consistent in terms of contents but, we could know, the interpretation theories of Danuser has gone beyond those of Davies and Levinson. Whereas the interpretation theories of the former(Davies and Levinson) show only one-way traffic (analysis→performance) from analysis to performance, those of the latter(Danuser) analytic ones show a two-way traffic (analysis⇄performance), that is to say, performance after analysis, and analysis after performan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esented a model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as a part of study mitigating conflicting aspects between analysis and performance. This interpretation theory expressed as 'analytic interpretation theory' needs analysis in terms of three aspects and they are score analysis, work analysis, and performance analysis. As a target to investigate how the theory applies to works, the piano work of Chopin Ballade op.23 was examined.
The first step, scores analysis is the research of how to read scores through the publication course of scores. The composer himself was involved in the first edition process in case of Chopin ballade Op. 23, and its contents was varied, we should note, depending on the version of the first edition. So which version of first edition referred to(even in case of the revised edition), and how differently it is represented in the edit of revision(despite the main original text referring to the same) must be analyzed to derive Chopin's intentions from performance as much as possible. In the course of this analysis, we can infer more accurately the composer's interpretation and the editor's and thereby the performer is able to exert at a higher level his interpretation setting up his own direction of performance.
The second step, works analyses is to approach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format and structure of the work. When it comes to formal aspect of work, we can derive formal similarities from the works composed in the same format. But defectively it must b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fixed already and especially like Ballade of Chopin Op.23, analyzing formally free works, it has limitations. The structure of work is affected by format in the significant portion but the characters with musical elements of work can be concentratively analyzed, so when a player performs, he or she can see the flow of the entire piece. It is very important. Through this step, we can interpret the work itself descriptively or can critically interpret it.
The third stage of 'performance analysis'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nly by sound, using computer software program, not involved in subjective ideas like the information of scores or works basically.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both performance of a player and those of other players played the same work can be analyzed comparatively. It can provide objective data on performance to other players to play the same work, and when critics provide performance criticism to persons who had never heard the performance, he can provide a convincing information. As Ballade of Chopin Op.23 are works composed in the romantic era, a dynamic and tempo analysis are proposed in the designated section. To differentiate traditional recorded performance analysis from what is newly attempted, by analyzing the entire song tempo not some parts of the tune, we can seize at a glance performance style or the overall flow.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part, we can see how players display dramatic representation in the work, and how they exhibit tempo rubato, and this is a new attempt methodologically that analyzes tempo. It could be compared whether dynamic and tempo symbols marked on scores actually play like that. This would be the basic data that develop another part of the work or new research directions, so it is worth saving as a database. Increasing the number of performers of analysis target, the 'average' performance style in certain parts of work can be extracted, and developed to the studies to look for empirical examples of ideal performance.
The model presented by the author,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works, has the frame of analytic interpretation theories to approach the performance of works but it is significant in that, in terms of methodology of performance analysis, it is newly presented in the author's perspective. The subject of performance is not limited to performers even if it is for ideal performance, and in this interpretation theories, composers, critics/researchers, musicians/directors/producers, and all listeners may be the subjects of interpretation. Thus, in that performance is not only the problem of sound itself depended on technique, and needs musicological background information, analytic interpretation theories has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theories don't have only one correct interpretation, so diversity of interpretation should be respected. In relation to this study, not only study of interpretation theories based on analysis, but also the study of interpretation theories based on aesthetics, psychology, sociology and other categories of musicology, I expect, should expand its scop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0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