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푹스 대위법의 20세기 수용연구 : -쉔커의 대위법(Kontrapunkt)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하지혜

Advisor
오희숙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종별대위법푹스의 파르나소스로 오르는 계단쉔커20세기 대위법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2. 8. 오희숙.
Abstract
푹스(J. J. fux)에 의해 성립된 종별대위법은 작곡을 가르치기 위한 대위법 이론의 규정적 성격에 가장 부합하는 체계로서 후대 이론가들에게 꾸준히 수용되어 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대위법 이론은 교수법적인 기능 외에도 악곡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이론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대위법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푹스의 규정적 대위법이 20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한가 또는 유의미한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푹스의 대위법 이론서인 『파르나소스로 오르는 계단』(Gradus ad Parnassum)을 개관하고 그것의 특징들을 살펴본 후, 이것이 20세기 대위법 이론서들에서 나타나는 푹스 수용되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이 시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가였던 쉔커(H. schenker)의 대위법에 주목하여, 그의 이론서에서 푹스가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먼저 20세기에 시작된 분석적 대위법 이론은 푹스의 종별 체계와 엄격한 규칙이 아닌, 음악 작품 또는 양식 자체를 중요시하는 비종별 대위법이라는 새로운 경향으로 표방되었으며, 이는 푹스에 대한 비판을 전제로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푹스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대위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종별 전통의 계승과 함께 20세기 대위법의 성격과 기능의 변화와 확장을 증명하며, 이를 통해 20세기의 푹스 수용이 이전 시대와는 다른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쉔커의 푹스 수용은 단순한 과거의 재구성이 아니라 과거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이었다는 점에서 동시대 다른 이론가들의 수용과 구별되었다. 동시대 이론가들의 푹스 수용은 종별 체계 자체에 제한된 표면적이고 피상적인 수용이었다면, 쉔커는 푹스 대위법의 규칙들과 예시들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자신의 주장을 보완하였으며, 한편으로는 푹스의 오류와 한계점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원리를 제시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수용을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심층적 수용을 통한 쉔커는 대위법의 규정적 성격과 분석적 성격 두 가지 면모를 동시에 보여주었고, 결과적으로 이를 자신의 조성음악 분석 이론의 초석으로 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쉔커에게 푹스 수용은 필연이었고, 단순한 전통의 답습이 아닌 발전의 계기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0세기의 새로운 대위법은 결국 푹스의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는 사실이다. 이는 푹스가 단순히 20세기 대위법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20세기 대위법의 새로운 경향 속에서 그의 규정적 대위법을 뛰어넘는 또 다른 역할과 의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분석적 대위법은 푹스에 대한 비판을 전제로 시작될 수 있었고, 두 성격을 동시에 갖는 쉔커의 대위법에서는 도구로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푹스 이론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푹스의 영향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은 푹스의 유산을 재조명하고 그의 이론사적 위상의 재고를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밝힌 푹스 수용에 따른 20세기 대위법의 새로운 경향과 그 역사적 의미는 20세기 대위법과 특히 쉔커 이론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결정적인 단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는 영향사적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한 시대와 하나의 이론을 역사적 맥락 안에서 고찰하는 중요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본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역사적 상관관계 연구의 출발점이자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Species counterpoint established by Fux is a system that is in the best accordance with the prescriptive characteristic of counterpoint theory for composition teaching and had been consistently accepted by later theorists. But in the 20th century, counterpoint has extended its boundary further as the fundamental theory for music analysis, besides having instructive function. Having such paradigmatic shift of counterpoint as the background, I have come to the question of whether Fuxs prescriptive counterpoint had been still valid in the 20th century and started the inquiry on the topic.
In this paper, I thoroughly review Fuxs publication Gradus ad Parnassum, point out its notable features, and contemplate how such features of Fux were applied in the counterpoint of the 20th century. I especially pay great attention on the counterpoint by Schenker, who had been the most influencial theorist at the time, and analyze how Fuxs counterpoint was received in his theory.
As a result, I discovered that the descriptive counterpoint started in the 20th century was adopted as the new tendency called non–species counterpoint that considers the musical pieces or styles themselves as important elements, rather than the strict rules and Fuxs species system, and this new tendency was premised on the criticism against Fux. In other words, the new paradigm in counterpoint through critical and selective acceptance of Fux verifies the change and expans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ounterpoint of the 20th century along with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species counterpoint, and through this fact can it be seen that the reception of Fuxs counterpoint in the 20th century conveys historical significance, unlike in the preceding era. Especially, Schenkers reception of Fux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other theorists of the same time in that it is not a simple reconstruction of the past but active respond to the past. If the reception of Fux of other theorists of the time was a mere superficial and passive reception, Schenker went a step further and analyzed rules and examples of Fuxs publication and modified his ow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nd simultaneously showed more systematic and deeper reception by criticizing Fuxs errors and limitations and suggesting his principles. Schenker has presented both prescriptive and analytic characteristics of counterpoint through having more profound reception, and as a consequence, he could confirm that he had this as the cornerstone of his analytic theory for tonal music. Therefore, for Schenker to receive Fux was something inevitable, and it may be considered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was actually an opportunity of growth rather than a mere imitation of the tradi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reception of Fuxs counterpoint in the 20th century in fact provides evidence regarding the fact that Fuxs influence was still active during the time era. This is not solely based on the fact that Fux exists in the counterpoint of the 20th century, but there are also other notable roles and meanings found that exceed his traditional prescriptive counterpoint in the new trend of the 20th century. Thus, analytic counterpoint could start out with having criticism against Fuxs counterpoint as its premise, and in Schenkers counterpoint, which possesses both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there may be found a new potential of Fuxs counterpoint that exceeds its limit as a mere instrument.
Such an extensive research on Fuxs influence and power is a necessary task for the re-illumination of Fuxs legacy and reconsideration of his status in the history of music theory. And the new trend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20th century counterpoint with respect to the reception of Fux discovered in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crucial piece of evidence for understanding the counterpoint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Schenkers theory overall.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influencial-historical research whi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esent through past, and suggests an important method that contemplate a specific historical period and a theory in the context of entire history. And along with it, this research may serve as a initiation point of another historical correlation research to which such methodology mentioned in this paper may apply and also be motivation for seeking other various potential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0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