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영자 작곡 <나비의 연가Ⅲ> 분석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경은

Advisor
임재원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국악기악전공), 2013. 2. 임재원.
Abstract
연주자의 연주활동에는 반드시 작품분석의 과정이 필요하다. 더욱이 국악기를 위한 다양한 현대 창작곡이 양산됨으로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해석의 과정은 연주자에게 있어 중요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본고에서는 이영자의 대금 독주곡 을 통하여 전체적인 악곡구조 및 선율구조에 나타나는 창작 기법을 분석하고, 연주에 있어 해석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서 대금 독주곡의 창작 가능성과 창조적 연주해석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작품은 이해인의 시 를 상징화한 기악 독주곡이다. 본 곡은 전체 네 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성과 박자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마디가 규칙적으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또한 전반적으로 연주자의 ad lib(즉흥연주)을 요구하며 연주에 있어 독창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ad lib.으로 정확히 기보되어 있는 부분 이외에도 리듬이 없는 선율을 제시함으로서 또는 명확하게 구분지어지지 않는 리듬의 형태를 제시함으로서 곡 전반에 걸쳐 연주자의 해석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요구한다.
구조는 크게 A, B, C, D 네 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진다. 미시적 단락 구분은 A는 ⓐ, ⓑ, ⓒ 세 부분, B는 ⓓ, ⓔ, ⓕ, ⓖ, ⓐ′ 다섯 부분, C는 ⓗ, ⓗ′, ⓗ″, ⓑ′, ⓔ′, ⓖ′ 여섯 부분, D는 ⓒ′, ⓘ,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단락별 세부분석을 살펴본 결과, 첫 단락 A에서는 첫 번째 선율단편을 동기로 선율이 변형, 확대 또는 축소되며 선율이 파생된다. 종결구에서는 새로운 선율을 제시하며 마무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B에서는 주제선율에서 변화된 선율이 처음과 끝에 나타나며, 중간 부분에는 Trumpet sound와 Flatter tonguing 주법과 함께 새로운 선율이 출현한다. C는 초반부터 중후반까지 확장된 꾸밈음과 긴 음가의 음이 교차로 등장한다. D의 후반부터는 리듬이 복잡해지고 음가가 점차 짧아지며 sf와 ff까지 crescendo되는 흐름으로 보아 본 곡의 정점으로 해석된다. D에서는 A의 선율이 변화되어 D의 처음과 끝에 나타난다. D의 중반에는 ad lib.(Multiphonic)이 나타나며 연주자의 해석적 기량을 발휘하는 구간으로 cadenza와 같은 성격을 띤다.
의 출현음은 다양한 형태로 조직되어 나타난다. D를 중심으로 하는 5음 중심(B♭ · C · D · F · G)의 음조직과 E♭·A♭·B♭장조의 조성이 드러나는 형태의 음조직, 그리고 완전4도(완전5도) 진행의 음조직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주요음의 흐름을 통하여 살펴본 선율의 윤곽은 완전4, 5도의 움직임, 증4도의 움직임, 상행과 하행의 움직임, 종지음으로의 상행도약 또는 급격한 하강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 등으로 나타난다.
본 곡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음형은 주제선율로 나타나는 확장된 농음 형태의 선율과 다양한 형태의 꾸밈음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4분음표 셋잇단음의 묶음은 본 곡에서 유일하게 나타나는 규칙적인 리듬 형태이다. 이외에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리듬의 형태, 리듬이 없는 선율 형태, 선율의 불협화 음정진행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주법적인 특징은 농음과 퇴성, Flatter tonguing, Trumpet sound, Multiphonic(다음주법)으로 나타난다.
연주해석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악곡의 재구성과 Phrase 해석, 리듬과 악상기호의 해석, ad lib.의 해석 그리고 특수주법의 적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악곡의 재구성은 을 중심으로 을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자연스럽게 편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 자연스러운 짜임이나 분위기 전환, 또는 연주자의 기량을 돋보이기 위해 새로운 선율을 첨가하는 창작의 가능성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Phrase 해석은 대부분 본고에서 제시한 선율단편 단위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며, 악상기호나 선율의 흐름에 대한 해석에 따라 연주자마다 프레이즈의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 리듬과 악상기호의 해석에 대한 가능성은 먼저 본 곡에서 나타나는 열린 형태의 리듬(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기 어려운 리듬)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리듬은 악상기호와 관련지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곡에서 나타나는 ad lib. 선율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특수주법의 적용에서 필자는 Multiphonic trill 주법과 air sound 주법을 적용하였고, 트릴, 목소리를 이용한 주법, 순환호흡 등 다양한 특수주법이 적용 가능하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0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