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Music (음악대학)
Dept. of Music (음악과)
Dept. of Korean Music (국악과)
Theses (Master's Degree_국악과)
이해식 작곡 25현 가야고로 그리는 4장의 <춤그림> 분석연구
- Authors
- Advisor
- 이지영
- Major
- 음악대학 음악과
- Issue Date
- 2014-0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춤그림
- Description
-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국악기악전공), 2014. 2. 이지영.
- Abstract
- 작곡가 이해식은 25현 가야금의 오른손의 복잡한 주법과 동시에 왼손 주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25현 가야금의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전통적인 음색 표현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곡가이다.
본고에서는 이해식의 25현 독주곡 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각 악장을 단락별로 나누어 악장별 주제와 특징적인 선율과 리듬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은 f#을 종지음으로 하는 프리지안 선법에 기초한 곡으로서 제1악장 노래의 주제 선율에 등장하는 음 진행 f#-a와 f#-b가 전 악장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악곡의 통일성을 이룬다. 제2악장 탱고는 탱고 음악 라 쿰파르시타(La Cumparsita)와 동일한 리듬을 사용하여 주제 선율이 제시되고, 이 주제 선율이 한 옥타브 간격 아래로 변주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3악장 판당고는 3박 계열의 춤인 판당고의 3/4박자의 선율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전성과 2도와 3도를 누르는 왼손기법이 빈번하게 출현함으로써 가야금 본연의 음색이 추구되는 악장이다. 제4악장 프롬나드는 이 악곡의 짤막한 코다 역할을 하는 악장으로 셋잇단음표 구성의 전개가 특징이다.
또한 은 론도 형식에 의한 주제의 반복과 변주, 동형진행의 순차적 상행과 하행이 악곡의 수평적 확대를 이루는 요소로써 각 악장별로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주요어 : 25현 가야금, 이해식, 춤그림, 라틴 민속춤, 프리지안 선법
학 번 : 2011-21810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