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안현정 작곡「해금과 정악가야금을 위한 新다스름」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New Daseureum for the Haegeum and Jeongak Gayageum 」Composed by Hyeon-jeong Ah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하림

Advisor
양경숙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평조 다스름新다스름해금표현기법요성추성퇴성Pyeongjo Daseureumnew DaseureumHaegeumexpressive techniqueYoseongChuseongToiseo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4. 8. 양경숙.
Abstract
창작국악은 전통음악의 요소를 지키면서 현대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음악양식 도입과 연주법 개발 등 음악적 지평을 확대하는 일련의 작업들을 통해 많은 발전과 변화를 이루어 왔으며, 현재에도 광대한 영역과 세분화한 장르 안에서 변화와 발전을 모색하고 그 활로를 탐색해 나가고 있다.
그 가운데 해금의 창작 음악은 악기의 구조적 특성상 이조(移調)와 전조(轉調)가 용이 하고 나아가 다양한 음역대와 다채로운 표현기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작곡가들에게 좋은 소재가 되어 활발히 작곡되고 있다.
그러나 해금이 가지는 이러한 매력에도 불구하고 해금창작곡의 연주 형태와 작품경향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도 있다. 이러한 비판적인 시각은 첫째, 대체로 다양한 음악적 변화와 타(他)음악과의 교류과정에서 해금 고유의 음색을 잃는 점에 대한 우려이며, 둘째, 지나치게 대중성을 앞세운 나머지 전통적인 해금창작곡이 소외되는 상황에 대한 것이며, 셋째, 예술성이 떨어지는 작품들도 창작국악이라는 미명아래 무분별하게 발표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비판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창작국악일지라도 예술성과 함께 전통의 맥을 잇고 있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며 연주자 또한 창작곡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곡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연구가 선행 된 후 이를 바탕으로 곡의 알맞은 표현 기법으로 연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稿)에서 필자는 안현정 작곡 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악곡 구조를 나누어 파악하고 해금과 정악가야금의 선율진행 분석을 통해 작품 안에 어떠한 전통음악요소가 내재 되어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이에 적절한 연주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곡은 단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율의 진행과 조성, 박자, 나타냄 말, 빠르기의 변화에 따라 도입부(Intro)-[A]-[B]-[C]-[A]'-종결부(Coda)의 총 6단락으로 나뉘고 [C]단락은 다시 작은 a-b-a'-c로 나뉜다.
둘째, 평조다스름의 선율을 주제선율로 차용하여 도입부(Intro)에 나타난 주제선율을 중심으로 각 단락이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확장, 변화, 재현을 하면서 진행된다.
셋째, 전통음악의 표현기법인 제 음과 한 음계 위의 음을 두 번 누르는 요성, 제 음에서 음을 밀어 올리는 추성, 그리고 제 음에서 음을 끌어내리는 퇴성이 해금과 가야금의 선율에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넷째, 음계는 E♭(黃)-F(太)-A♭(仲)-B♭(林)-C(南)의 5음 음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운지법 역시 전통적인 운지법 중 E♭, F, A♭, B♭, e♭, f의 6가지 중심음을 유현 일지로 잡는 운지법을 사용한다.
다섯째, 운궁법은 1음1활을 기본으로 하지만 평조 다스름의 선율이 크게 드러나는 부분은 최대한 정악어법을 이용해 활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점 사분음표를 한 활(♩.=1활)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은 평조 다스름의 형식과 가락을 주제선율로 차용했을 뿐만 아니라 전통음악의 표현기법인 요성과 추성 그리고 퇴성을 선율에 지속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정악적 색채가 잘 드러나 있고 창작 속 전통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작곡가의 의도가 잘 표현된 곡으로 분석되었다.
Making a start with the need to preserve the elem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at the same time, meet the various needs of modern times, creative Gukak has undergone much progress and transformation through a series of works to broaden the musical horizon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diverse musical styles and the development of playing techniques. Even today, it seeks for changes and development and explores its breakthroughs within the expansive field and the segmented genres.
Creative music of the Haegeum has been a good material for composers and subject to active composition because it is easy for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and allows for various registers and colorful expressive techniques.
In spite of such attraction of the Haegeum, there are critical voices about the performance forms and work trends of its creative piece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nique timbre of the Haegeum might be lost in the middle of diverse musical changes and exchange processes with other genres of music
second, too much emphasis on popularity may create a situation in which the traditional creative pieces of the Haegeum may be neglected
and finally, even the pieces whose artistry lags behind are recklessly announced in the name of creative Gukak.
Considering those points, it is apparent that even creative Gukak should have artistry and traditional heritage in order to have its value recognized. Players who want to play a creative piece should analyze and study one accurately before playing one with the right expressive techniqu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thus investigated the overall structure of New Daseureum for the Haegeum and Jeongak Gayageum by Ahn Hyeon-jeong.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elements of traditional music found in it and examined proper playing methods for it by analyzing the melodic progress of the Haegeum and Jeongak Gayageu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ece consists of single movements and contains total six paragraphs of introduction-[A]-[B]-[C]-[A]'-coda according to the melodic progress, tonality, beats, expression marks, and tempo changes. Paragraph [C] is comprised of a-b-a'-c.
Second, the subject melody is one in Pyeongjo Daseureum. Each paragraph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around the subject melody appearing in the introduction, making progress through extension, transformation, and reproduction.
Third, such expressive techniques of traditional music as "Yoseong," which presses the note a scale above the original one, "Chuseong," which pushes up the note by a semitone, and "Toiseong," which pulls down the note by a semitone, appear consistently in the Haegeum and Gayageum melodies.
Fourth, the piece is a pentatonic scale of E♭(黃) -F(太) -A♭(仲) -B♭(林)- C(南) and features the traditional fingering of capturing six central notes of E♭, F, A♭, B♭, e♭, and f in Yuhyeon index finger.
Finally, as for the bowing, the piece plays a bow per a dotted quarter note(♩.=1 bow) based on the one bow per one note principle since it is effective to utilize the bow with the traditional music style as much as possible at the parts where the melodies of Pyeongjo Daseureum are largely express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New Daseureum for the Haegeum and Jeongak Gayageum features the traditional colors well and expresses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with a solid conviction in tradition among creations by adopting the form and melody of Pyeongjo Daseureum as the subject melody and using such expressive techniques of traditional music as "Yoseong," "Chuseong," and "Toiseong" in melodies consistentl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0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