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부산과 박은하의 설장구 가락 비교 : 이부산 앉은반과 박은하 선반 설장구에 기하여 : Comparative Study of the Seoljanggu Rhythms of Lee, Bu San and Park, Eun H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소담이

Advisor
김우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설장구장구농악이부산박은하앉은반선반seoljanggujanggunongakLee Bu SanPark Eun Ha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4. 8. 김우진.
Abstract
설장구는 문자 그대로 가장 뛰어난 장구 연주자를 뜻하는데 즉, 풍물패의 수장구가 앞으로 나와서 뛰어난 기교적 연주를 보여주는 개인놀이를 지칭한다. 이 독주의 기원은 우도 농악에서 시작되었으며 다른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장구잽이들은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는 가락을 구축하여 연주하였고 창조적으로 변형시킨 가락과 기교를 통해 설장구 연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본래의 설장구는 독주와 독무로 이루어진 반면에 오늘날의 설장구는 선반의 독주, 선반의 합주, 앉은반의 독주, 앉은반의 합주 등 4가지 형태의 연주로 발전했다. 즉, 명인들의 제자를 통해 합주 형태로 발전되기도 했으며 춤 대신 장구의 가락에 중점을 두어 점점 더 화려한 기술을 도입하여 앉아서 연주하는 형태로도 발전되었다.
본 연구는 이부산의 앉은반과 박은하의 선반을 중심으로 설장구를 구성하는 6가지 장단(다스름, 휘모리, 동살푸리, 굿거리, 자진모리, 맺음가락)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의 연주 형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춤과 몸동작에 대한 부분은 음악을 설명하는 정도로만 언급했다.
연구결과, 이부산의 설장구는 화려한 기교와 가락에 중심을 두고 잔가락을 연달아 사용하고 기교도 다양하다. 반면에 박은하의 설장구는 무용작품에 음악적인 요소가 결합되었기 때문에 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연주하며, 잔가락이 적고 깔끔하다. 이러한 차이는 명인들마다 연주를 보는 중심적인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의 차이점이 각 장단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장구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악기이며 농악뿐만 아니라 한국 음악의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사용되지만 역사와 전통이 깊음에도 불구하고 예전 명인들의 자료가 보존되어 있지 않다. 현재 설장구를 비롯하여 타악기의 독주 음악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악보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이전의 명인들은 극소수의 제자들만 양성했기 때문에 녹음자료와 동영상자료도 찾아보기 어렵다.
현재 명인들의 가락과 전통은 그들의 제자들을 통해 전승되고 있으며 연주자마다 자신만의 특색을 연출하고 있다. 설장구는 음악의 계통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변화가 이어지는 한편 이를 보존하고 연구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토대로 현장음악으로서의 즉흥성을 고려한 교육과 체계적인 전승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0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