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극의 담기 관점에서 본 스마트폰 메모행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유진

Advisor
이중식
Major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디지털정보융합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마트폰 메모자극의 담기와 가공정보 캡쳐감각의 확장내용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융합과학부(디지털정보융합전공), 2013. 8. 이중식.
Abstract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사람들의 메모 행위가 달라지고 있다. 수첩과 펜으로 대표되었던 메모는 이제 스마트폰으로 대체되고 있다. 주머니 속에서 스마트폰을 쉽게 꺼내 몇 자 적거나, 한 두 마디를 남기거나, 사진을 찍는 등 접근성과 미디어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이전의 메모 도구들을 넘어서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이나 도구의 등장은 인간의 감각의 확장을 가져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디어 형식의 변화는 미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행동 방식, 동기, 내용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가정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메모 연구와 비교할 때 빠른 속도와 접근성, 고 해상도의 카메라, 다양한 작성 도구 등 스마트폰의 정보 캡쳐 기술이 가져온 근본적인 변화가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했다. 무엇보다도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이전보다 더욱 외부의 자극을 빠르고 쉽게 메모의 형태로 캡쳐하고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현상에 주목, 매체별, 동기별, 내용 유형, 자극 유형에 따라 스마트폰 메모의 특성을 검증해보려고 했다.이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의 미디어 현상학, 인지 심리학에서 이해하는 인간의 정보 처리 모델,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관점에서 기존의 메모 행태 연구에서 시작하여 메모의 일반적인 특성과 역할을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실제 스마트폰 메모의 행태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파일럿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방법과 문제를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기본 메모, 노트, 카메라, 이메일, 할 일 관리, 캘린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음성 메모, 손글씨 중 2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최근 3 주 동안 10 개 이상의 메모를 작성한 사람들을 온라인 사전 설문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 44 명을 최종 참가자로 모집했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작성한 15 개 메모의 화면을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전송 받고, 이어서 개별 메모에 대한 작성 동기와 매체 동기, 자극의 가공 여부 및 자극 상황을 온라인 설문조사로 병행하여 메모의 화면 내용만으로는 알 수 없는 메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실험 후에는 설문 응답의 내용과 전송해준 메모 화면과 일치하는 사후 설문으로 다시 확인하였다. 데이터를 수집을 마친 후, 근거 이론적 접근 방식으로 스마트폰 메모의 매체 동기, 자극 유형, 내용 유형을 분류하고 매체별, 동기별, 내용별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에서 메모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매체 형식으로 작성되고 있었다. 자극과 가공도의 측면에서 전체 메모의 약 80%가 외부의 자극을 담은 메모로 담기형 메모가 매우 높은 비중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총 11 개의 자극 유형에서는 검색, 준비, 대화, 탐색 등이 자극이 되어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어진 자극을 캡쳐하는 것 뿐 아니라, 특정한 정보나 과업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자극을 미리 찾아 저장하는 검색, 준비, 완료 등 새로운 자극 유형이었고, 대화나 회의, 사교 등 관계적인 활동에서의 자극이 촉매가 되어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메모의 동기에서는 스마트폰이 종이나 컴퓨터 메모와 비교할 때 가장 빠른 작성 도구인 동시에 몸에 가장 밀착되어 있는 정보의 외부 저장소로 빠른 검색이 용이하다는 스마트폰 매체의 장점을 알 수 있었다. 또 20 개의 메모 내용 유형 중, 길찾기를 수월하게 하기 위한 지도를 캡쳐한 메모, 한꺼번에 기억이 어려운 복잡한 구매 번호나 코드, 제목, 미디어와 콘텐츠는 기존 매체에서 등장하지 않았거나, 적게 나타났지만 새롭게 나타난 메모들, 물리적 세계인 실재 정보와 매개된 정보, 주변 정보, 자아 정보의 네 가지 중 분류에 따라 자극의 담기와 가공도의 분포가 큰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스마트폰 메모 행태에서 발견된 특성을 1) 매체 형식의 혼종 2) 밀착성, 3) 판단을 유보한 반응형 메모, 4) 자극의 담기에 따른 내용의 변화, 5) 관계적 메모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학문적인 논의가 부족했던 스마트폰 메모의 이용행태를 정량적, 정성적 분석으로 새로운 분류 체계와 특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의성을 가진다.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기존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메모를 정의하고 방법을 참고한 동시에, 스마트폰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점을 알기 위하여 유연한 접근으로 메모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점,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메모의 화면 수집과 함께 설문조사가 가진 상호 교류 부족의 단점을 보완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increase of smartphone users implies the changes in people' everyday information capturing practice. The particular interest of this paper lies on memo behavior, traditionally referring to personal records on the paper or with digital input. Recently, it seems that smartphone memo tool replace the traditional one by providing various ways of capturing information: typing or copy-and-paste text, taking a picture, or recording voices, and consequently it brings changes the accessibility and diversities of media usage.
As Mcluhan viewe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s the extension of human sense, it is assumed that the form of smartphone technology reframes the way people are engaged in media, in other words, the cont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jor changes among smartphone users' memo behaviors by focusing on external stimulus and refinement. In particular, it was started from the idea that the phenomenon of capturing technology such as quick access to the operating system, high- definition camera, and diverse tools, made serious changes in routines of memo behavior, in which it blurs the boundary between information capturing and creation.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smartphone memo in following sub- topics: media forms, motivation, contents, and refining stimulus.
The study pursued these questions by collecting the screenshots of smartphone memo with online survey from 44 smartphone users with various demographic backgrounds. Smartphone memo, is defined as a digital records which refers to the wide range of information capturingactivities with smartphone, assuming that the current smartphone memo is not bound to a single memo tool compare to traditional forms. In addition, three types of information capturing strategy were specified based on whether and how much it contains
stimulus:capture, summarize, and diary type.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wo parts: the participants sent the screenshots of recent fifteen memo through mobile messenger from more than two of following smartphone applications: default memo, note, camera, e-mail to self, to-do list, calendar, social network service, voice, and sketch, and conducting retrospective online survey for each memo that participants created. The survey questions, both opened and closed, included the external stimulus and refining was engaged in,
context, and motivation for information capturing. 655 screenshots and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average four applications per person were used for information capturing practice with smartphone. While 37% of 655 memo were recorded with camera phone, as a copy of external stimulus, default memo, note, task management, sketch applications tend to contain less stimulus and capture type. In media types, although a large number of memo up to 83% was text-based media, it appears that either non-text or partly non-text memo such as image, voice took 17%, which implies the hybridity of media types are increased. In terms of stimulus and refinement, 80% of total memo contain external stimulus, and the types of stimulus were varied from search, conversation, browse, prepare, appreciate, to meeting, social activity, notification, and serendipity. Not only participants use smartphone memo in order to refer later as frequently mentioned in previous researches, they also do memo in order not to forget,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While 24% of the choice of media was its quick and simple writing as same 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memo, there were unique reasons to choose smartphone due to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hained work with smartphone, proximity, and retrieval. Lastly, the contents of the memo became more diverse than traditional memo, particularly, wayfinding, code, title, shopping, contents, and media whose information type is quite complex and large.
In conclusion, the fiv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memo behavior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hybridity of media types, embodied proximity, reserving judgment, close to the world, relational-driven memo.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at explicating new phenomenon in smartphone memo as a research topic in alignment with media theory, cognitive psychology, and previous memo behavior user studies. However, the future study is expected to elaborate the improvement in survey data of the study which may lack the validity compare to actual behavioral logs, by track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data of information capturing practic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2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