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증거물의 수집 및 보관과정에서 접근제한 확보방안 : Approach in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the Digital Evidence Securing Measures Limiti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원-
dc.contributor.author박소연-
dc.date.accessioned2017-07-19T11:00:59Z-
dc.date.available2017-07-19T11:00:59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20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328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수리정보과학과 디지털포렌식학 전공, 2016. 2. 이상원.-
dc.description.abstract일반 증거물은 수사단계에서 몰수가능성을 중심으로 판단하여 압수 후 국가 점유·피압수자 소유를 인정하고 있다. 국가 점유의 인정으로 기소와 공소유지에도 도움이 되며 간혹 여죄를 발견하기도 한다.
반면 디지털 증거물은 예외적인 원본 압수의 원칙에 따라 복제본에 대한 압수 후 국가 점유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피압수자의 디지털 증거물에 대한 계속 점유가 인정되어 압수 후 원본을 이용한 복제, 활용, 무단 폐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디지털증거물 수집 단계에서 피압수자의 접근제한방안으로 암호화, DRM을 활용한 디지털워터마킹, 제3기관(가칭 : 형사디지털증거보관소)에 업로드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다만 압수물과 증거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디지털증거물의 전체가 몰수 예상되는 경우, 일부 몰수 예상되는 경우, 증거물에 공할 압수물인 경우로 나누어 접근방식을 달리 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증거물 수집 후 보관 단계에서 환부, 분석등의 변수가 발생하는 경우의 피압수자로부터 증거물에 대한 위, 변조 가능성 제기를 원천 차단할 기법으로 디지털 서명을 제시하였다.
앞서 서술한 암호화의 방식은 재사용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DRM 방식은 오히려 디지털증거물의 부본을 생산하는 현재와 구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디지털서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심가능성이 배제된 인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본 논문은 디지털 증거물 수집과 보관 단계에서의 피압수자와 압수자 모두 만족하는 접근제한방식으로 신뢰받는 제3의 기관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방향 2

Ⅱ. 일반압수물과 디지털증거의 개념 3
1. 개념정리 3
가. 압수물의 정의 3
나. 디지털증거의 정의 4
다. 디지털증거의 특징 6
라. 디지털증거의 종류 7
2. 요건 8
가. 압수물의 압수요건 8
나. 디지털증거(전자정보)의 압수요건 9
3. 처분 10
가. 압수물의 처분 10
나. 디지털 증거의 처분 14

Ⅲ. 디지털증거 수집 및 보관 현황 19
1. 디지털 증거의 생애주기 19
2. 현행 디지털증거수집 과정 19
가.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 실무 19
나. 압수수색영장 발부시 주의사항 21
다. 압수시 주의사항 24
라. 디지털증거의 몰수 기준 분류에 의한 원본압수여부 27
마. 저장매체의 특성에 의한 원본압수여부 29
바. 원본 정보저장 매체의 예외적 압수 29
3. 외국의 예 31
가. 미국에서의 디지털 증거의 수집 31
나. 영국에서의 디지털 증거의 수집 33
다. 독일에서의 디지털 증거의 수집 37
라. 일본에서의 디지털 증거의 수집 38
4. 소결 39

Ⅳ. 접근제한 방안 41
1. 암호화 41
2. DRM기법과 디지털 워터마킹, 핑거프린팅 43
3. 신뢰받는 제3의 기관에 업로드 45
가. 필요성 45
나. 업로드(Upload)방식 45
다. 디지털서명(Digital Signature)활용 46
라. 디지털증거의 처분에 활용 51
마. (가칭)형사디지털증거보관소 구상도 52
바. 법률적 적용 52
4. 소결 53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55

참고문헌 57
Ι. 국내자료 57
Ⅱ.국외자료 59

Abstract 6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461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dc.subject디지털증거물-
dc.subject몰수-
dc.subject점유-
dc.subject접근제한-
dc.subject.ddc510-
dc.title디지털증거물의 수집 및 보관과정에서 접근제한 확보방안-
dc.title.alternativeApproach in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the Digital Evidence Securing Measures Limiting-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61-
dc.contributor.affiliation융합과학기술대학원 수리정보과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