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sage Of Smartphone Push Notifi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미나

Advisor
이중식
Major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디지털정보융합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침투 미디어스마트폰 푸시알림알림 수용 모델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디지털정보융합학과, 2012. 8. 이중식.
Abstract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스마트폰에서 수신되는 푸시 알림을 끊임없이 확인하는 모습은 현대 정보 사회의 일상적인 현상이 되었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 푸시알림을 대표적인 침투 미디어 사례로 보고, 이를 수용하는 방식을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의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고, 둘째, 스마트폰 푸시알림 수용의 요인별 특징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량에 따라 이용자를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로 구분하여 이들의 푸시알림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20~30대 남녀 52명의 이틀간의 스마트폰 푸시알림 기록이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푸시알림 기록은 스마트폰 스크린 캡쳐 기능을 통해 알림 이미지를 기록하고, 다이어리를 작성토록 하여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푸시알림의 이용의 일반적 특징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주로 메신저, SNS와 같은 사회적인 속성의 어플리케이션 알림을 많이 허용하고, 생산성, 게임/멀티미디어와 같은 비사회적인 속성의 어플리케이션 알림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메신저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알림이 가장 많았고, 생상성,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되는 알림이 가장 적었으며,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시간대에 관계없이 푸시알림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푸시알림 수용에 있어 일반적으로 알림을 수신 즉시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알림을 확인하며, 알림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푸시알림 수용의 요인별 특징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알림 메시지의 응답 필요성과 자신과의 관련성 여부에 따라 알림에 반응하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또한 장소와 상황에 따른 주의수준의 차이와 사회적 상호작용 여부에 따라 알림을 확인하는 시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푸시알림을 보내는 어플리케이션 알림의 가치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전달강도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량에 따라 이용자를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로 분류한 결과, 이용량에 따라 수신하고 있는 알림의 종류와 알림 수용에 차이가 있었으며, 알림 사용양식도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 푸시알림 이용을 실증적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와 관련 산업계에 알림 이용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rapid dissemination of smart phone, the scene of cheaking smartphone notification constantly is very common phenomena of modern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usage of smartphone push- notification as typical push media. First, cheak the general usage feature of smartphone push-notification, Second, investigate the usage feature based on each acceptance factors, Lastly, classified the user according to their amount of using push-notification, and find out usage pattern of each user groups.
The data of smartphone push-notification is gathered by images and diary using smartphone screen capture fun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2 participants(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to 30s for 2 days.
In result, as the typical feature of push notification, users were permitted social notification such as messenger and SNS, whereas users were block out non-social notification such as productivity, game/multimedia. The most frequency notifications were from communication like text message, and messaenger, and the most rare notifications were from productivity and system applications. Smartphone users were consistently exposed to push notification except for sleep hours. When push notification is coming, users promptly check notification message and then access the application. Also, users have quite great opinion of push notifications value.
As for characteristics of usage based on acceptance factors, respond rate of notification and estimate value were decided on message involvement and requirement for answering. Attention level of user and social interaction are also important contextual factors to make difference for the time of checking notification. Moreover, users set their notification interface depending on value of notification and context situation.
Participants divided into two groups(heavy user and light user) based on using rate of smartphones push notification. Two user groups were distinguished from notification permission, acceptance and usage pattern.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d empirical data of smartphone push-notification, which is likely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ture further studies and relevant industries regarding usage of push-notific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3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