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혈소판 생리적 기능에 기반한 : Development of functional prediction marker for SSRIs response capitalizing on platele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소진

Advisor
정진호
Major
약학대학 약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혈소판SSRI우울증EpinephrineSerotoninAggreg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3. 2. 정진호.
Abstract
Serotonin을 포함한 신경전달물질의 조절 이상은 우울증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는 대표적인 항우울제로, pre-synaptic neuron의 serotonin transporter (SERT) 의 작용을 차단하여 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시킴으로써 시냅스에서 serotonin의 양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일부 환자의 경우 SSRI 약물 치료에 의한 임상 증상 개선을 보이지 않는 non-responder로 보고되고 있어, 약물 치료 전 SSRI response를 예측하기 위한 생체지표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혈소판은 serotonin의 저장, 분비 및 감작 등 주요 조절과정이 시냅스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신경세포 연구를 위한 peripheral model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혈소판의 SERT와 serotonin receptor (5-HT2AR) 는 신경세포에 발현되어 있는 것과 유전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소판과 신경세포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혈소판의 반응성과 우울증의 발현 및 SSRI에 의한 치료효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계획하였다.
혈소판의 생리적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정상인 및 우울증 환자의 혈액에서 Platelet rich plasma (PRP)를 분리하여 agonist 및 SSRI 에 대한 혈소판의 반응성을 확인하였다. Agonist로는 neurotransmitter인 serotonin과 epinephrine을 이용하였다. 정상인에서 Aggregation 반응에 개인차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SSRI (fluoxetine) 전처리에 의해 aggregation 반응 변화 정도에도 개인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혈소판성의 개인차는 우울증 환자의 혈소판을 이용한 aggregation, P-selectin expression 및 GPⅡb/Ⅲa activation 실험에서도 확인되었으며, SSRI(Escitalopram)을 전처리한 경우 혈소판 반응의 변화에도 개인차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혈소판 반응성과 SSRI 복용 시 임상적인 우울증 증상 개선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혈소판 반응성 지표 중 일부가 HAM-D score 변화 정도와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우울증 환자에서 SSRI 반응성을 미리 예측 하기 위한 생체지표로 혈소판이 가능성을 가짐을 시사하며, 향후 혈소판의 생리적 기능을 기반으로 한 SSRI 반응성의 예측 지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4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