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한 Phlda3 유도와 간 세포 사멸 : Phlda3 induction by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hepatocyte deat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상우

Advisor
김상건 교수님
Major
약학대학 약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소포체 스트레스XBP-1Phlda3세포사멸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3. 2. 김상건.
Abstract
다양한 병리적 상황에서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 ER) 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초기에는 소포체의 기능적 용량을 늘려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지만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세포를 사멸에 이르게 한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때 세포의 생존과 사멸을 결정하는 스위치 분자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최근 pleckstrin homology-like domain, family A, member 3 (Phlda3) 가 Akt의 활성을 조절하여 세포 사멸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포체 스트레스 상황에서 Akt 억제 단백질인 Phlda3의 기능 및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소포체 스트레스 유도제인 tunicamycin을 마우스에 처치하였을 때 간 조직에서 Phlda3 mRNA가 증가하였다. 일차 간 실질세포와 간세포주에서도 Phlda3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 Phlda3의 전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루시퍼레이즈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Phlda3 유전자의 프로모토에 결합 가능한 전사인자로서 XBP-1이 예측되었고, tunicamycin 처치에 의해 마우스 간 조직과 간세포주에서 XBP-1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XBP-1s가 Phlda3 프로모토에 결합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Phlda3의 전사적 활성화를 지지한다. XBP-1 과발현에 의해서도 Phlda3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반대로 XBP-1 knockdown 시에는 소포체 스트레스 유도성 Phlda3 유도가 억제되었다.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한 XBP-1s와 Phlda3의 유도는 분자 샤페론의 처치에 의해 억제되었고 XBP-1의 상위신호인 IRE1을 knockdown 시켰을 때에도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Tunicamycin 처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가 사멸하였고 이는 분자 샤페론과 XBP-1, 혹은 IRE1, 그리고 Phlda3 knockdown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억제 되었다. 이는 Phlda3 유도가 ER stress 상황에서 세포 사멸을 조절함을 시사한다. 유사한 세포사멸 모델인 성장인자 고갈 모델에서도 소포체 스트레스의 발생과 Phlda3 유도를 관찰하였다. 종합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소포체 스트레스와 성장인자의 고갈이 지속될 때 Phlda3가 유도되어 세포 사멸을 유발하며, 이 과정에는 활성화된 XBP-1s에 의한 Phlda3유전자 전사활성화에 관여하는 것을 지지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4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