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renga pinnata 뿌리의 화학성분 : Chemical Constituents from Arenga pinnata Roo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진웅-
dc.contributor.author박예정-
dc.date.accessioned2017-07-19T11:19:50Z-
dc.date.available2017-07-19T11:19:50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560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3356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5. 2. 김진웅.-
dc.description.abstractArenga pinnata Merr.는 야자과(Arecaceae) Arenga 속의 목본나무이며 열대지방인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Arenga pinnata는 주로 전통 설탕을 만들거나 열매의 과즙을 음료로 사용하고, 줄기의 전분으로 biopolymer를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다. A. pinnata는 multipurpose의 식물로 각광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화합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A. pinnata의 뿌리를 이용해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는 A. pinnata의 구성 화합물과 그 활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화합물을 찾고자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male mouse 유래 macrophage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A. pinnata 뿌리의 100%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EtOAc, n-BuOH, H2O 층으로 나누었고, 이 중 농도 의존적으로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활성이 나타난 EtOAC층을 대상으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MPLC, HPLC 등을 사용하여 총 1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합물들은 UV, IR, FAB/ESI-MS, 1H-NMR, 13C-NMR, 1H-1H COSY, HMQC, HMBC, NOESY spectra와 선광도, Circular Dichroism 등의 분광학적 데이터와 이화학적 성상을 종합하여 trans-scripusin A (1), cis-scripusin A (2), trans-scripusin B (3), trans-longusol A (4), cassigarol D (5), 4-[8-(3,5-dihydroxyphenyl)-7,8-dihydro-4-hydroxy-7-(3,4-dihydroxyphenyl)benzo[1,2
-
dc.description.abstract4,3']difuran-2-yl]phenol (6), 11,11-di hydroxy-vitisin E (7), cyperusphenol A (8), (3R,8R)-5,7-dihydroxy-3-[hydroxyl(4-hydroxyphenyl)methyl]- isobenzofuran–1(3H)-one (9), trans-resveratrol (10), trans- piceatannol (11), β-hydroxypropiovanillone (12), (+)-dehydrovomifoliol (13)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1~8, 10, 11은 stilbenoid 계열, 9는 phthalide 계열, 12는 phenolic 계열, 13은 norisoprenoid 계열 물질이다. 이들 화합물 중 6, 7, 9는 천연에서 처음 분리, 보고되는 물질이고, 화합물 1~9는 야자과 식물에서, 화합물 12, 13은 Arenga 속 식물에서 처음 분리, 보고되는 물질이다.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한 Griess assay를 시행하여 분리된 화합물들의 산화질소 생성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2, 3, 10, 11이 용량 의존적으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초록 ⅰ
목차 ⅲ
List of Abbreviations ⅵ
List of Figures ⅷ
List of Tables ⅹ
List of Schemes ⅹ

Ⅰ. 서론 1

Ⅱ. 실험 재료 및 방법 3
1. 실험재료 3
2. 시약 및 기기 3
2-1. 시약 3
2-2. 기기 4
3. Arenga pinnata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6
3-1. Arenga pinnata의 추출 및 분획 6
3-2. EtOAc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7
3-3. Phthalide 계열 화합물의 분리 8
3-3-1. 화합물 1의 분리 8
3-4. Stilbenoid 계열 화합물의 분리 9
3-4-1. 화합물 2의 분리 9
3-4-2. 화합물 3의 분리 9
3-4-3. 화합물 4의 분리 10
3-4-4. 화합물 5의 분리 11
3-4-5. 화합물 6의 분리 11
3-4-6. 화합물 7의 분리 12
3-4-7. 화합물 8의 분리 12
3-4-8. 화합물 9의 분리 13
3-4-9. 화합물 10의 분리 14
3-4-10.화합물 11의 분리 14
3-5. Phenolic 계열 화합물의 분리 15
3-5-1. 화합물 12의 분리 15
3-6. Norisoprenoid 계열 화합물의 분리 16
3-6-1. 화합물 13의 분리 16
4. RAW264.7 세포주에서 nitric oxide(NO) 생성 저해활성 검색
20
4-1. RAW264.7 세포주의 배양 20
4-2. Griess assay 20
4-3. MTT assay 20
4-4. 통계 처리 21

Ⅲ. 결과 및 고찰 22
1. 성분 연구 22
1-1. 화합물 1의 구조 분석 22
1-2. 화합물 2의 구조 분석 26
1-3. 화합물 3의 구조 분석 29
1-4. 화합물 4의 구조 분석 34
1-5. 화합물 5의 구조 분석 36
1-6. 화합물 6의 구조 분석 39
1-7. 화합물 7의 구조 분석 41
1-8. 화합물 8의 구조 분석 43
1-9. 화합물 9의 구조 분석 47
1-10. 화합물 10의 구조 분석 49
1-11. 화합물 11의 구조 분석 51
1-12. 화합물 12의 구조 분석 53
1-13. 화합물 13의 구조 분석 55
2. Arenga pinnata의 NO 생성 저해활성 58
2-1. Arenga pinnata의 추출물과 분획물의 NO 생성 저해활성 58
2-2. Arenga pinnata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NO 생성 저해활성 61

Ⅳ. 결론 64

Ⅴ. 참고문헌 65

Abstract 6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1926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Arenga pinnata-
dc.subjectArecacea-
dc.subjectRAW264.7-
dc.subjectLPS-
dc.subjectNO 생성 억제 활성-
dc.subjectstilbenoid-
dc.subject.ddc615-
dc.titleArenga pinnata 뿌리의 화학성분-
dc.title.alternativeChemical Constituents from Arenga pinnata Root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69-
dc.contributor.affiliation약학대학 약학과-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