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이드라인 실행가능성 평가도구 (GLIA) 한국어버전 개발 및 검증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Appraisal (GL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주희

Advisor
오정미
Major
약학대학 약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이드라인 실행가능성 평가도구한국어버전타당도신뢰도검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2016. 8. 오정미.
Abstract
근거 중심 진료 지침은 환자의 건강 및 의료시스템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지식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새로운 임상 치료 가이드라인들이 해마다 국내와 국외에 배포되고 있고 이렇게 발간된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인의 환자 치료방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임상적 지식을 반영하기 위해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 및 실행에 막대한 자원이 투입되고 있지만 모든 보건의료인이 최선의 치료를 할 수 있을 만큼 가이드라인이 성공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고 임상 가이드라인의 개발 효과는 일관되게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배포 전에 실행 장애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실행가능성에 대한 평가도구가 필요하나 현재 국내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의 실행가능성 분야에 대한 평가 도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현재 미국에는 실행가능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실행가능성 평가도구(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Appraisal)란 도구가 있고 이 도구가 개발된 후 검증되고 사용자 친화적이어서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이 보다 더 잘 실행되고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실행가능성 도구 한국어판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가이드라인 실행가능성 평가도구 한국어판은 타국가에서 개발된 도구의 번역판 도구를 만들 때 널리 이용되는 교차문화적 적응 절차에 따라 번역-역번역 및 중재 과정을 거쳐 한국어판 도구 예비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GLIA 2.0 한국어판 도구로 먼저 10명의 참여자에게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이 단계에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후 확정된 GLIA 2.0 한국어판 도구 최종본으로 180명의 참여자에게 심리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본 개발 도구는 임상 가이드라인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이므로 대다수의 보건의료인에게 익숙할 수 있는 일반적인 만성질환인 이상지질혈증의 가이드라인인 2015년도 제 3판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을 평가할 가이드라인으로 선정하였다. 심리측정테스트에서는 구성개념 타당도, 동시적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심리측정테스트는 1차와 2차 설문으로 구성되었으며 2차 설문지는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1차 설문 완료 후 1-2 주일 이후에 실시하였다.
파일럿 테스트에서 내용타당도를 평가하였고 명확성의 평균 점수는 3.62이고 적절성의 평균 점수는 3.69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인 3점 이상으로 측정되었고, I-CVI도 모든 문항에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인 0.78 이상이고 S-CVI도 0.9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파일럿 테스트는 내용면에서 타당성이 입증되었고 사용된 예비본이 추가적인 변경 없이 심리측정테스트에서 사용할 최종본으로 확정되었다. 심리측정테스트에서 구성 개념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권고사항 1을 173명이(96.1%) 실행가능성이 높은 권고사항으로 선택하였고 권고사항 1의 총 점수가 17.41점으로 권고사항 2의 총 점수 12.60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이(P<0.01) 확인되어 본 도구가 국내 가이드라인 권고사항의 실행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동시적 타당도는 GLIA 2.0 한국어판 도구와 기존에 검증된 GLIA 2.0 영문판 도구의 문항별 점수를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P>0.05) 확인하여 영문판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는 타당한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적 일치도 신뢰도는 권고사항 1에서 0.6 보다 낮은 항목들이 세 가지 있었지만 이는 현재 근무지에 따른 권고사항 실제적인 실행 가능성의 차이와 주관적인 생각을 물어보는 문항에 대한 개인 차이로 인해 답변의 일치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것으로 여겨지며 권고사항 2에서는 모든 항목이 0.6 이상으로 한국어판 도구 자체의 내적 일치도 신뢰도가 비교적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평가하였고 r은 0.45-0.84로 보고되어서 모든 평가항목에서 0.40 이상으로 확인되어 중등도 이상의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설문지 답변이 신뢰할 만 하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가이드라인 실행가능성 평가 도구 한국어판을 개발하였고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평가 도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의 실행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만한 도구로 앞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임상 가이드라인 또는 임상 실무 가이드라인이 본 도구를 사용하여 근거 중심의 환자의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has been widely used as a knowledge tool internationally. New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every year and are released around the world, and these guidelines are influencing the way that clinicians treat patients.
In order to reflect the updated clin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remendous amount of resources are invested to develop clinical guideline. However, the effects of released treatment guideline has not been reported to be uniformly successful in influencing behavior of clinicians toward best practices. Therefore, the tool assessing guideline implementability is needed in order to detect any barrier that hinders guideline implementability and to implement guideline successfully. Currently, in Korea, there is no available tool which mainly evaluates 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Whereas in the United States, the tool named 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appraisal (GLIA) was developed which focuses on evaluating the implementability of guideline. This tool has been validated after development and it has been widely used around the world becaus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an online version tool. In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guideline implementability appraisal version 2.0 is developed and validated in order to aid in improving the implementability of clinical guidelines that are developed in Korea.
The Korean version of 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appraisal was developed by utilizing the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self-report measures which is the guideline frequently used to develop the translated version of tool. The process of forward translation, backward translation and reconcili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pre-final Korean version of instrument. After pre-final Korean version of instrument was finalized, it was pilot tested among ten participants. The content validity was assessed in pilot test. Then the final Korean version of GLIA 2.0 was tested in the psychometric test to 180 participants. Since this tool is for assessing the clinical guideline, the Korean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2015, ver.3) was selected as the guideline to be evaluated because dyslipidemia is one of the common chronic disease that most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aware of. In the psychometric test,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tested. The psychometric test was performed as a two-step survey.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1-2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rst survey in order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of GLIA 2.0 Korean version .
In the pilot test, the mean clarity rating was 3.62 and the mean relevance rating was 3.69. They were all higher than rating score of 3 which is the standard that is considered to be acceptable. I-CVI of all items were higher than 0.78, and S-CVI of all items were higher than 0.9,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cceptable score. Therefore, the pre-final Korean version of GLIA 2.0 did not need additional modification of item and became the final Korean version of GLIA 2.0.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matching the recommendation chosen to have greater implementability with the recommendation which had higher total score of GLIA 2.0 Korean version. 173 participants (96.1%) selected the recommendation 1 as a recommendation with greater implementability and the total score of recommendation 1 was 17.4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otal score of recommendation 2 which was 12.60 (p<0.01).
The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by comparing the scores of GLIA 2.0 Korean version with the scores of GLIA 2.0 English version. In every it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LIA 2.0 Korean version and GLIA 2.0 English version (P>0.05).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reported to be lower than 0.6. in three factors in recommendation 1 and the variability in the participants response seemed to be resulted from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recommendation-specific implementability due to variability in the current career field and subjective opinion about the recommendation itself. On the other hand all factors in recommendation 2 were reported to be greater than 0.6 which was considered to be acceptable. Because all factors in recommendation 2 were greater than 0.6, the factor items of GLIA 2.0 Korean version was proved to be reliable.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by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 and r of all reported factor items were between 0.45 and 0.84. Since all factor items were equal or greater than 0.4, moderate to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demonstrated and the response of survey was proved as reliable.
In conclusion, 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appraisal 2.0 Korean version tool was developed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tested. This tool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which can evaluate the guideline implementability of the clinical guidelines developed in Korea. From now on, this tool can be used to optimize patient treatment outcome and improve implementability of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64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