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남자중학생의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 : Fashion reference group and seeking style of Korean middle school boy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지원

Advisor
하지수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소년문화남자중학생패션문화준거집단추구스타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3. 8. 하지수.
Abstract
청소년에게 패션스타일은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고 타인과 차별성을 지니는 의미를 내포한 상징적 언어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청소년의 패션스타일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오늘날 변화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 환경과 맞물려 현시대의 청소년들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더불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들의 신체나 심리상태도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 청소년 문화와 패션의 특성을 살펴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패션 관련 요인을 밝혔다. 국내 남자 중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패션소비문화의 특성 및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을 밝혔고 이는 국내 청소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션상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하는데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국내 청소년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는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특성을 살펴보았고 1990년대는 미디어 중심과 소비 지향문화, 2000년대는 인터넷 문화, 외모중시, 혼성화·글로벌화 문화라고 밝혀졌다. 또한 패션 관련 요인은 개인적 특성으로 외모관심, 의복의존성, 의복동조성, 또래유행추종, 자아 중심성이 나타났고 환경적 특성으로는 사회경제적 환경과 대중매체인 TV,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요인을 토대로 국내 남자중학생의 패션소비문화,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외모관심과 의복관심도 및 의복 의존성은 정정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러한 요인들은 남자중학생의 직접적인 의복구매동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남자 중학생은 스타일 면에서는 동조성을 보였으며 색상이나 브랜드를 통해 개성을 추구하려는 경


향을 보였다. 또한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유행추종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월평균 가계수입, 의류구입비, 부모의 쇼핑성향, 거주 지역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특성은 국내 남자중학생의 패션소비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보다 영향력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은 국내 남자중학생의 패션소비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나타났고 인터넷을 통해 패션소비와 연관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남자중학생의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외모관심도와 의복관심도 등에 따라 패션준거집단 존재 여부가 달라졌고 이러한 요인이 높게 나타난 학생들은 패션준거집단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았고 신체만족도가 높은 경우에는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이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패션준거집단은 키가 크고 신체 비율이 좋으며 슬림하다는 특징과 같은 신체적 이미지가 이상적인 경우와 패션 감각이 뛰어나며 화려하거나 독특한 패션스타일을 연출하는 경우로 나누어졌다. 따라서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신체이미지를 선호하여 패션준거집단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국내 남자중학생의 추구스타일은 개인적 특성이나 취향 등에 의해 트레이닝 스타일, 정장 스타일, 캐주얼 스타일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패션관심도, 외모만족도, 신체만족도, 의복동조성, 유행 관심도 등과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스타일을 선호하는 이유가 상이하였고 선호아이템도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캐주얼 스타일은 패션관심도와 유행 관심도에 따라 베이직하거나 트렌디한 스타일과 같이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남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패션문화와 스타일을 고찰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패션문화의 특성과 그들의 실질적인 추구패션스타일을 분석, 유형화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나 소수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진행한 연구이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지역과 좀 더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s for juveniles, fashion style may be understood as the symbolic language to show their existence, having an implication of the differential from others. Therefore, it's important to examine juveniles' fashion style for understanding their culture. Today, along with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juveniles of this age are creating a new culture. In addition, as the environment varies, their physical and mental states are also chang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defined the change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fashion-related factors by inspecting characteristics of domestic juveniles' culture and fashion. In-depth interview was done for 22 domestic middle school boy students,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consumer culture, fashion reference group and the seeking styl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s of help to designing and developing a fashion product for domestic boy students.
As for domestic juveniles, characteristics of sociocultural environmental changes were divided into those of 1990s and 2000s. It was identified that 1990s had media-centered and consumption-oriented cultures, and 2000s had Internet culture along with cultures of lookism, hybridization and globalization. Furthermore, as for fashion-related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ain appearance interest, clothing dependency, clothing conformity, peer's trend chasing, ego-centris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as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mass media including TV, Internet and Smart Phone. Based on such factors, a hypothesis was set up on the fashion consumer culture, fashion reference group and the seeking style of domestic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interest, clothing interest and dependen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evealing such factors are direct clothing-purchasing motives in middle school boy students. Secondly, domestic middle school boy students showed conformity in the style, having a tendency to pursue personality by color or a brand.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re's a phenomenon of trend chasing centered on the sports brand. Thirdl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 monthly average family income, clothes purchase expenses, parents' shopping propensity and a residential district, have an effect on the fashion consumption of domestic middle school boy students but less influence tha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ourthly, it showed that Internet is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the fashion consumer culture of domestic middle school boy students. They're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the fashion consumption through Internet.
In the domestic middle school boy students, fashion reference group and the seeking style vary from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ppearance and clothing interest, existence of the fashion reference group showed difference. As for students such factors revealed high, there were many cases fashion reference group existed. Also, in case of higher body satisfaction, it showed a tendency that fashion reference group and the seeking style correspond to each other. Cases of the fashion reference group were divided into the ideal physical image characteristic of large stature, good body proportion, slim size and into the outstanding fashion sense or brilliant and unique fashion style. Accordingly, findings were derived as follows
fashion reference group and the seeking style don't necessaril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ason why is that fashion reference group is selected by preference for the physical image.
In the domestic middle school boy students, seeking style showed 3 types of a 'training style', 'suit style' and 'casual style' by personal characteristic or tast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fashion interest, appearance & body satisfaction, clothing conformity, trend interest, there were many different reasons for the style preference with different preferred items. Particularly, 'casual style' may be subdivided according to fashion and trend interest like basic or trendy style.
In the situation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ashion culture and the style for middle school boy student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cedent studies in that it analyzed and classified their fashion cultur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fashion style they pursue.
However, as a study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or a minority, it has a limit to generalize findings. So, it's required to perform research for various regions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7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