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싫증이 의복 처분행동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현진

Advisor
추호정
Major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싫증의복 소비감정의복 소비과정의복 처분행동의복 사장행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4. 2. 추호정.
Abstract
현대사회의 패션 산업의 속도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경제·사회·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낮은 가격에 몇 주에 한 번씩 새로운 상품을 소개하는 글로벌 SPA(Specialized retailer of Personal label Apparel) 브랜드의 등장과 같은 패션산업 환경의 변화는 의복에 대한 인식과 의복 사용주기에 변화를 가져왔다. 의복 출시 주기가 짧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소유한 제품에 대해 느끼는 새로움이나 신선함이 더 빨리 사라지게 되었으며, 의복은 쉽게 입고 버리는 제품이라는 인식이 생기게 되었다.
의복의 소비과정은 구매, 사용, 사장 및 처분의 여러 단계를 포괄하며, 이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평가와 감정적 반응은 소비자의 욕구와 구매행동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의복은 표현적 기능이 중시되는 제품으로 소비과정에서 경험하는 감정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의복 감정관련 연구는 주로 구매 상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감정적 요인으로 인한 사장 및 처분행동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복 처분행동에 있어 싫증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개인 심층면접을 통한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여 의복 싫증의 관련요인 및 처분과정에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설문지법을 통한 정량적 연구에서는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의복 싫증이 처분과정에서 지니는 역할을 규명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처분과정에서 고려되는 감정적, 인지적 요소인 애착과 구매 시 투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 싫증의 관련요인으로 의복 효용감소와 새로운 의복구입 요인이 도출되었다. 의복 효용감소는 의복이 유행에 뒤처지거나, 오래되거나, 또는 낡아서 소유자가 인지하는 효용이 감소한 경우에 해당하며, 새로운 의복구입은 기존에 소유한 제품과 비슷한 제품 또는 단순히 새로운 의복을 구입한 경우를 의미한다.
둘째, 의복 싫증은 의복 효용감소와 새로운 의복구입이 보관의도와 처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한 매개효과를 지님을 밝혔다. 의복 효용감소의 경우 싫증감정을 완전히 매개하여 보관의도와 처분의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싫증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한편, 새로운 의복구입은 보관의도에 대해서는 싫증감정을 거칠 경우에만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 처분의도에 대해서는 싫증을 매개한 경우와 직접적으로 의복 처분으로 이어지는 경우 모두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의복 애착이 의복 싫증과 보관의도의 관계에 대해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유한 의복에 대해 느끼는 싫증 수준이 높더라도 애착을 지녔던 의복일 경우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소비자가 보유한 의복에 대해 싫증이 발생할 경우 처분하고자 하는 의도는 구매 시 들인 금전적, 시간적, 정보적 노력과 같은 구매 시 투입요소의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복 싫증의 개념과 관련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의복 사용과정에서의 감정 연구의 축적에 기여하고, 처분행동에 대한 싫증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 의복 처분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적인 요인으로 인한 의복처분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바람직한 의복 소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fashion life cycle is shorter than ever before. Economic, societal,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movement in fashion industry influenced consumers perception of clothing and the life cycle of apparel. Global fast fashion retailers introduce new products in two or three weeks, resulting in loss of newness of clothing in a shorter time. Also, there is a growing tendency among consumers to perceive clothing as a throwaway product.
The consumption cycle of clothing includes purchase, use, retention and divestment stage. Cognitive evaluation and emotional reaction during consumption again influence consumers needs and purchase behavior. In addition, the role of emotion during usage is emphasized as expressive function of clothing became more important. Current studies of clothing disposal usually focus on purchase situation, the role of emotion being relatively unnotic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boredom on clothing disposal behavior.
First, a qualitative study consisting of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 of clothing boredom, the precedent factors of clothing boredom and its effect on clothing disposition. For quantitative stud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00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Clothing boredom-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s were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boredom on clothing disposal behavior.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clothing attachment and monetary/non-monetary input during purchase stage were confirmed b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crease in clothing utility and purchase of new clothing factors were drawn as clothing boredom-related factors. Decrease in clothing utility factor includes cases when clothes get out-of-fashion, old, or worn, which decrease perceiv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utility. Purchase of new clothing factor includes cases when consumer buy clothes that are similar to his/her possession or buy totally new products.
Second, clothing boredom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oredom-related factors and retention/disposition intention. Clothing boredo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crease in clothing utility and retention/disposal intention, highlighting the effect of boredom. In case of purchase of new clothing, clothing boredom fully mediated its effect on retention intention, whereas partially mediated its effect on disposal intention.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edom and retention intention. It could be inferred that consumers have a tendency to keep clothing that has symbolic meaning to the possessor even though they feel highly bored of it.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input, which includes monetary, informational, and time input, during purchase stage was confirmed to increase disposal intention on highly bored clothing.
The study expands research on emotion related to clothing consumption cycle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of clothing boredom and its related factors. Also, the study confirmed the role of boredom, an emotional factor, in clothing disposal process contributing to clothing disposal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n clothing disposal behavior in altered fashion environmen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338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